• Title/Summary/Keyword: 해양한국21

Search Result 1,50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ne Pollution and Marine Litter Managements in Korea (우리나라 해양오염 및 해양폐기물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Kwang-Ha;Kwon, Young-Du;Kim, Jong-Sung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1 no.4
    • /
    • pp.33-43
    • /
    • 2013
  • That occur in the ocean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of marine litter on marine pollution oil spill response one step further strategies are needed. Marine pollution accidents occurred in 2011, a total of 287 and was found in runoff 369 kL,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ecreased by 13% and 39%. Average amount of marine materials during 5-years represent the oil flow of 310.5 kL (heavy fuel oil of 106.0 kL, diesel of 178.9 kL, oily bilge water of 22.3 kL, other oil of 7.7 kL) and the waste of 62.3 tons, the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was 510.6 kL. Marine emissions in 2011 by type of waste that a total amount of dumping 3,972 $m^3$, and livestock manure 795 $m^3$(20%), waste water 1,431 $m^3$(36%), sewage sludge 887 $m^3$(22%), wastewater sludge, 813 $m^3$(21%), manure 5 $m^3$(0.1%), other 41 $m^3$(0.9%), respectively. The concept of marine waste and needs to be more clearly defined. Integrate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according to the incident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remove of coastal pollution, response officer needs korean coast response system. Like the marine pollution response, coastal pollution response systems also require step response.

기상 이변 감시의 첨병,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사업

  • 최성봉
    • Aerospace Industry
    • /
    • s.87
    • /
    • pp.18-21
    • /
    • 2005
  • 과학 기술의 발전은 인류문명을 크게 발전시켰지만 수천, 수만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자연재해는 해가 갈수록 늘어만 가고 우리는 그 앞에 무릎 꿇어야 하는 운명을 맞이하고 있다. ''재앙''이라고 까지 불리우는 자연재해는 예방과 예보가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 그로 인해 세계 각국의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술은 날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통신해양기상위성 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 PDF

과학기술, 그 뿌리와 현주소 - 해양학편(하)

  • Park, Yong-A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11 s.366
    • /
    • pp.22-25
    • /
    • 1999
  • 20세기 중반부터 바다의 신비를 벗기는 혁신적인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동태평양과 흥해의 해저에서 뜨겁고 높은 염분의 해수가 솟아오르고 있으며 미국 오레곤주 깊은 수심의 태평양 해저에서는 1천미터 높이의 대형 물기둥이 발견되어 해양학자들은 크게 고무되고 있다. 이같은 세계적 규모의 해양연구는 앞으로 21세기 초반에 더욱 강화될 것이다.

  • PDF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OK's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한국의 해양안보전략서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 Kim, Kang-nyeong
    • Strategy21
    • /
    • s.45
    • /
    • pp.148-187
    • /
    • 2019
  •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OK's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necessity of the ROK's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the ROK's actual situation in relation to maritime security strategy and cases of major advanced oceanic countries; the vision, goals, strategic tasks,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ROK's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and conclusion.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marine strategic vision, such as the 'Ocean G5,' is of course possible when Korea can maintain and strengthen the maritime safety and maritime security of the people. The Sewol Ferry incident reminds us that we need a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white paper' like the advanced marine countries. In order for the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to be carried our efficiently, as in advanced oceanic countries, mere should be a dedicated department with sufficient authority and status to mobilize the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naval-coastal cooperation. It would be good to set up a tentatively named Maritime Security Council, an organization of minister-level officials involved under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and an executive body composed of working-level officials from related ministries.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national maritime security strategy for the maritime safety and maritime security of the people lik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e need to further strengthen our domestic cooperation and cooperation system,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maritime security. We have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maritime security strategies by the Navy; strengthening the operational link between the Navy and the Coast Guard; strengthening the maritime surveillance capability at the national level, and promoting sharing with the private sector, etc.

MCBMs in Northeast Asia: Can Effective and Functional Solutions be Found? (동북아 해양신뢰구축방안: 효과적 기능적 방안은 무엇인가?)

  • Yoon, Suk-Joon
    • Strategy21
    • /
    • s.32
    • /
    • pp.271-297
    • /
    • 2013
  • 2010년 초반 이래 지역 해양안보는 보다 개선된 신뢰증진을 위한 안보구도와 메커니즘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2011년 이래 전문가들은 지역 내 어려운 해양안보 문제들을 주요 현안으로 식별하고 있으며, 아울러 다양한 다루기 힘든 개념 위주의 지역 해양신뢰구축방안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최근 동북아는 다양한 해양분쟁과 갈등으로 점철되고 있으며, 대부분 국가들은 더욱 위험한 상황을 선택하기에 주저하지 않는 위험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첫째, 기본적으로 기존의 개념적 목적의 해양신뢰구축방안 이행에 대한 실패, 둘째, 개념적 해양신뢰구축방안을 넘어선 기능적이며 실질적 해양신뢰구축으로 변화에 어려움 그리고 셋째, 이를 동북아에서 어떻게 적용30)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전문가들은 개념적 방안 보다 효과적이며 기능적 해양신뢰구축방안을 적용하고 이해하는 것이 바른 "정답"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개념적 논쟁에 빠졌던 개념적 해양신뢰구축방안에 대한 과거 미련을 버리고 점차 진화된 복합적 문제로 대두되는 동북아 해양에서의 해양분쟁과 갈등을 기능적이며 실질적 해양 신뢰구축방안에 의해 해결하는 방법을 식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술적이며 제도적 해양신뢰구축방안이 인정되면, 지금까지의 작용-반작용의 악순환적 주기를 넘어설 수 있는효과적 해양신뢰 각론, 레짐 또는 거버런스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고질적이고 새로운 해양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신뢰 구축 전략을 제시하여 지역 해양안전과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다.

  • PDF

선박의 안전승무기준 개정을 위한 IMO동향

  • Jeong, Dae-Yul;Lee, Ye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39-140
    • /
    • 2010
  • IMO는 해양사고의 80% 이상이 인적과실에 기인하고 있음에 관심을 갖고 ISM Code를 채택 시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해양사고의 발생률은 줄었으나, 여전히 인적과실이 해양사고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선원의 피로가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IMO STW전문위원회에서는 1999년 11월에 개최된 제21차 회의에서 채택된 안전승무기준에 관한 결의서 A.890(21)의 개정이 필요하며, 현행 SOLAS협약 상 각 체약국 정부가 자체적으로 정하여 시행하고 있는 최소안전승무기준을 통일시켜 국제적으로 일관된 기준에 따라 적절히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 논문은 IMO STW전문위원회 논의결과 마련된 최소 안전승무기준의 주요내용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Systematic Management of Civilian Forces for Efficient Search and Rescue Mission in the Ocean (수난구호 업무의 효율화를 위한 민간해양구조세력의 체계적 관리에 관한 연구)

  • Soon, Gil-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4
    • /
    • pp.409-420
    • /
    • 2015
  • In this study, I researched, analysed and compared the examples of civilian maritime search and rescue auxiliaries of world lead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America, and the Korean volunteer fire fighting team. Through this, I suggest that the decentralized civilian maritime search and rescue forces of Maritime Rescue and Salvage Association and KCG Civilian Auxiliary should be united into unified search and rescue system and establish legal basis for stabilized support and development. It seem that we should organize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government to have centralized control of rescue mission as in the cases of America and Canada and elivate rescue mission capability with systemized education and training entrusted to specialized external training organization. I proposed to establish financial support such as fund for the stabilized status of civilian auxiliary, domestic and overseas training session for the civilian auxiliary to inspire integrity and sense of duty as a part of maritime search and rescue fo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