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자료 수집

Search Result 26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모니터링용 부이(buoy) 설치방법 개선

  • Kim, Tae-Min;No, Hui-Su;Kim, Tae-Yeol;Jeon, 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8-30
    • /
    • 2010
  • 해양환경에서 장기간 부이(buoy) 관측을 수행할 경우 고정용 앵커에 로프가 감기거나, 부이가 흐름에 의해서 회전을 하면서 부이와 로프가 엉켜서 자료의 수집이 불가능하거나 혹은 장비의 본실이라는 심한 문제가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부이설치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여 해양자료를 수집할 때 로프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Status and Service Plan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DB (해양수산 과학기술 연구 DB 구축 현황 및 서비스 계획)

  • Choi, J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99-99
    • /
    • 2017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에 따른 빅데이터가 이슈화 되고 정부의 공공 데이터 개방? 공유 정책 등으로 정부의 R&D 정보화 서비스도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해양수산 R&D사업은 해양이라는 공간적 제약으로 선박 및 특수 장비 등을 사용함에 따라 연구비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실정임에도 해양수산 연구 자료 및 관측자료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않고, 사업별 기관별로 산발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이에 따라 연구 DB 통합관리의 수요가 제기 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 R&D사업에서는 사업별 통합 DB 구축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관할해역해양정보 공동활용시스템(JOISS)'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JOISS는 2012년부터 시작된 '관할해역 해양정보 공동활용체계 구축'과제를 통해 자료 표준화 연구와 함께 해양과학조사 분야의 R&D과제들과 실시간 해양관측망으로부터 산출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서비스를 구현한 시스템이다. 2016년 1차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현재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해양관측 데이터 수집 공유 서비스 외 해양수산 R&D사업과 연계된 다양한 정보들을 나누고 소통하는 온라인 장을 구현하기 위해 '해양수산 R&D 지식정보 시스템(OFRIS)' 개발사업이 별도로 진행되고 있다. OFRIS는 해양수산 R&D사업을 통한 데이터의 원할한 수집 및 품질관리 등의 문제를 보완하고, 그 외에도 사업별로 분산 관리되고 있는 R&D 관련 정보를 연계하고, 기술공급자와 수요자를 직접 연결해 주는 '개방형 기술 정보 중개 시스템'으로의 역할, 국내외 해양수산 R&D관련 정책 연구 산업 동향을 엄선하여 제공하는 등 해양수산 R&D 종합 포털로서 기능구현을 목표하고 있다. 2017년 말 1단계 개발 완료를 앞두고 있으며, 1단계에서는 시급성 높고, 수요가 많은 (1) R&D동향, (2) 과제이력, (3) 연구성과, (4) 기술거래, (5) DB공유 등 5대 기능을 우선 구현하고, 2단계에서는 통계자료 생산 및 분석 기능 강화, 3단계에서는 해양수산 산업통계, 인력, 교육 등의 정보를 서비스하는 포털로 확장할 계획이다. JOISS, OFRIS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해양수산 R&D의 정보를 수집 관리 하는데 있어 다양한 현안 문제 등이 도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연구자들의 자발적 데이터 제공 협조, 데이터의 표준화 및 품질검증, 구축된 데이터의 활용 및 피드백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대응 방안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System for Marine Disasters (해양재해 예측 시스템에 대한 연구)

  • Park, Sun;Choi, Myung-Su;Lee, Sung-Ho;Meang, Se-Young;Park, Sang-Hyuk;Jeon, Sung-Min;Lee, Yeon-Woo;kim, Gyen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322-324
    • /
    • 2012
  • 최근 세계적으로 바다가 자원의 보고로 주목 받으면서 해양 환경 분석 및 예측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자동화된 해양 환경 자료의 수집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양재해를 예측하면 기름 유출에 의한 해양오염의 피해, 적조에 의한 수산업의 피해, 해양환경 이변에 의한 수산업 및 재해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해양 환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연구는 미흡한 편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의 원해 및 근 해역에서 수집된 해양 환경 자료를 분석하여 해양 재해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Model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의 모델)

  • Park, Sun;Kim, Chul Won;Lee, Seong R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0
    • /
    • pp.2113-2120
    • /
    • 2012
  • The study of automatic monitoring and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is not enough. Recently, the marine monitoring technology is actively being studied since the sea is a rich repository of natural resources that is taken notice in the world. In particular, the marine environment data should be collected continuously in order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marine environment, however the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is limited in many area yet. The prediction of marine disaster by automatic collecting marine environment data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can contribute to minimized the damages with respect to marine pollution of oil spill and fisheries damage by red tide blooms and marine environment upsets.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model. The proposed system automatically collects the marine environment information for monitoring the marine environment intelligently. Also it predicts the marine disaster by analyzing the collected ocean data.

Design of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해양환경 감시 및 분석 시스템의 설계)

  • Park, Sun;Choi, Myeong Soo;Jo, Ji Woo;Lee, Yeonwoo;Jung, Min A;Lee, Seong-Ho;Kim, Jun-Seok;Kim, Beom-Mu;Yang, Jun-Cheol;Lee, Seong R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609-612
    • /
    • 2011
  • 국내 해양 환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연구는 미흡한 편에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바다가 자원의 보고로 주목 받으면서 해양 모니터링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특히 해양 환경을 분석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해양 환경 자료를 수집해야 하나 아직 많은 부분에서 제약 사항으로 남아 있다. 자동화된 해양 환경 자료의 수집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양재해를 예측하면 기름 유출에 의한 해양오염의 피해, 적조에 의한 수산업의 피해, 해양환경 이변에 의한 수산업 및 재해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해양환경 감시 및 분석 시스템의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해양환경 정보를 자동 수집하여 해양환경을 지능적으로 감시한다. 또한 수집된 해양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양 재해를 예측한다.

A Study on the Marine Disasters Prediction System using Cloud (클라우드를 이용한 해양재해 예측시스템 연구)

  • Park, Sun;Baek, Jong Sang;Lee, Jae-Yeong;Oh, Seung Chan;Jeong, Hwan-Jong;Kin, Cho Hyun;Kim, Chul Ho;Lee, Sung 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15-417
    • /
    • 2013
  • 바다는 자원의 보고로서 많은 수산업 활동을 통환 경재활동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으나 기상 등의 해양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화된 해양 환경 분석 및 예측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수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재해로는 기름 유출에 의한 해양오염의 피해, 적조에 의한 수산업의 피해, 해양환경 이변에 의한 수산업 및 재해 피해 등 이외에 다양한 피해가 있다. 해양 환경 자료의 수집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서 해양재해를 예측하면 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해양 환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연구는 미흡한 편에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의 원해 및 근 해역에서 수집된 해양 환경 자료를 분석하여 해양 재해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 클라우드 기반의 해양재해 예측 시스템을 연구한다.

  • PDF

Marine Disasters Prediction System Model Using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양재해 예측 시스템 모델)

  • Park, Sun;Lee, Seong R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3
    • /
    • pp.263-270
    • /
    • 2013
  • Recently, the prediction and analysis technology of marine environment are actively being studied since the ocean resources in the world is taken notice. The prediction of marine disaster by automatic collecting marine environment data and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can contribute to minimized the damages with respect to marine pollution of oil spill and fisheries damage by red tide blooms and marine environment upsets. However the studies of the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are limited in South Korea. In this paper, we study the marine disasters prediction system model to analyze collection marine information of out sea and near sea. This paper proposes the models for the marine disasters prediction system as communication system model, a marine environment data monitoring system model, prediction and analyzing system model, and situations propagation system model. The red tide prediction model and summarizing and analyzing model is proposed for prediction and analyzing system model.

Hydrographic Survey Data Processing Sl Automatic Inventory Archiving System for Nautical Chart (해도제작을 위한 해양탐사자료의 처리 및 탐사 기록 자동생성 시스템 개발)

  • 박요섭;김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11a
    • /
    • pp.218-223
    • /
    • 1999
  • 국제 수로 기구(IH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에서는 해도제작을 위한 해양조사의 기준을 마련하고,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해도의 정확도를 표준화하고 있다. IHO에서는 탐사 기술의 발달을 반영하여, 기존의 단 빔 음향 측심기 이외에도 멀티 빔 음향 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와 사이드 스캔 소나(Side Scan Sonar)를 이용한 해양 탐사 시에 요구되는 정확도와 탐사 자료에 대한 메타 데이터(Metadata)의 작성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수로 측량에서 얻어진 측량 자료들의 처리절차와 자료관리 기법에 대한 연구이다. IHO 해양탐사 기준에 맞는 탐사 자료 처리와, 메타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측량자료관리 DB구축 및 관리를 주 기능으로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특히, 본 논문은 해양 탐사 자료 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해양 자료 처리 과정을 표준화하고, 국제적 해양 자료의 교환 표준인 MGD77과 호환 가능한 메타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며, 1Hz로 수집되는 GPS 측위자료로부터 특징점(Waypoint)을 정의하고, 이를 추출하여 측심선을 벡터화 (Trackline Vectorizing) 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현재 국립 해양조사원의 해양2000호에서 획득된 탐사자료에 적용, 운영되고 있다.

  • PDF

A Review on the Quality Control of Marine Fish Data (해양어류 자료의 정도관리에 대한 고찰)

  • LEE, HWAHYUN;SOHN, DONGWHA;KIM, SUAM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6 no.3
    • /
    • pp.277-289
    • /
    • 2021
  • Among various data types obtained from the ocean, the quality controls for abiotic data collected from chemical, physical, and geological field surveys haves already been partially established. Due to the difficulties in standardization of the data collections and basic analyses, however, the quality controls of biotic data are in its early stage. For marine fish, the necessity of quality control is more demanded due to the wide range of data usage, but there are currently no consistent quality control guidelines because of the diversity and scope of data types derived from species-specific and age-specific information throughout various habitats. In this paper, we provide examples of marine fish data utilization and also show methods of the marine fish data collection, limitations of the data collection method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marine fish data quality. We hope this paper will help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quality control for marine fish data from both fishery-dependent and fishery-independent surveys in Korea in the near future.

Efforts on Improving Comparability of Ocean Chemical Data (해양 화학 자료 상호비교성 향상을 위한 노력)

  • RHO, TAEKEU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6 no.3
    • /
    • pp.201-219
    • /
    • 2021
  • Recent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ocean in glob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various researchers have made efforts to integrate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world's oceans over the past half century. In Korea, public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are carrying out efforts to continuously monitor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e waters surrounding Korea. The various types of marine chemical data produced in this way have been independently manag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institution. Recently, efforts are being made to integrate various data led by the state. In this study, the data quality management method used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data of various types produced by various institutions abroad was explained. In this study, by applying this method, the format of data produced by various domestic institutions is unified, primary quality control of data according to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ary quality control using reliable data and comparison or standard materials, etc. It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arrying out these processes, and ultimately contribute to integrating data collected for various purposes in Korea into a data set that can be compared with each other regardless of the proficiency of produ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