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안전관리

Search Result 80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내항여객선의 운항관리제도에 대한 인식도 조사

  • No, Chang-G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79-183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내항여객선 운항관리제도의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운항관리제도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공동운항관리제도가 내항여객선의 안전관리업무에 유익정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중 운항관리비용에 대한 회사에서 부담과 운항관리자의 권한 부족에 대해서는 안전관리업무에 대한 저조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항여객선의 운항관리에 대한 운영방향에 대해서는 '현 체제(공동운항관리제도)로 운영한다'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최근 운항관리자 운영에 따른 운항관리 비용을 정부측에 국고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 관련연구가 진행되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밀도 기반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위험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양지민;최충정;백연지;임광현;노유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6-147
    • /
    • 2023
  • 해양사고는 도로교통과 달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인명피해가 주로 발생하는 주요 사고의 치사율은 도로교통의 11.7배 이상이다. 해양사고는 외부 환경에 따라 사고 위치가 변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워 타 교통에 비해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여전히 사고가 발생하고 난 후 대응하는 등 사후적 관리 단계에 무르고 있어 사고의 주요 요인을 사전에 식별·관리하는 선제적 관리단계로의 전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 지점 밀도 기반의 가변 공간 군집체계를 반영한 해양사고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반복적인 공간 가산분석을 통해 밀도가 높을수록 작은 규모의 격자 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상세한 공간 군집체계를 구성하였으며, 단순 사고 위험도 예측뿐만 아닌 사고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BN(Bayesian Network) 기반의 모형을 사용하여 해양사고 위험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Cost-of-Omission을 통해 해양사고 예측확률의 변화와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월별 해양사고예측 결과를 GIS를 활용하여 2D/3D 기반으로 시각화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for an Autonomous Navigation Element Technology Test (선박 자율운항 요소기술 시험을 위한 안전관리절차서 개발)

  • Woo, Donghan;Lee, In-Gyu;Im, Nam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5
    • /
    • pp.566-573
    • /
    • 2021
  • In this study, safety management procedures were developed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guidelines and related maritime law to ensure the saf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mart autonomous ship technology and Samsung Heavy Industry. The safety management procedur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MASS) sea trials (MSC.1/Circ.1604, Annex: Interim guidelines for MASS trials), proposed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for the relevant authorities and stakeholders of MASS to properly conduct tests of systems and infrastructure related to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developed safety management procedure applies to the maritime demonstration test of a system applying autonomous navigation element technology mounted as a navigation aid on a ship operating under a watch system, while complying with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navigation safety of the coast of Korea.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 및 안전관리자의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 Jin, Ho-Hyeon;Kim, Ji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5-7
    • /
    • 2013
  •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대형 해양사고에 대한 대처방안의 일환으로 진행된 국제해사기구에서의 조사 및 연구는 선박의 물리적 감항성 이외에 선박을 운영하는 인적자원의 과실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적과실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1994년에 '1974년 SOLAS 협약'의 부속서로 '국제안전관리규약'이라고 하는 이른바 'ISM Code'를 채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1999년에 'ISM Code'를 구 해상교통안전법(현 해사안전법)에 관련 조항을 신설하여 시행하고 있다. 최근 개정된 해사안전법에서는 해운선사가 선박의 안전운항 및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안전관리체제를 수립하고, 이를 이행하기 위한 사업장의 인적 구성원들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법률 이행당사자인 선박소유자 또는 안전관리대행업자 등은 조문내용을 해석함에 있어 명확하고 통일된 의견을 내지 못하고 있어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해사안전법상 안전관리책임자와 안전관리자의 자격기준 등에 관한 법률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목포연안 여객선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에 대한 고찰

  • Kim, Seung-Rin;Kim, Hyeon-Seong;Mun, Hyeo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45-47
    • /
    • 2019
  • 목포연안에 존재하는 다수의 여객선과 항로를 관리함에 있어 여객선 현황, 해양사고의 원인 및 운항변수에 따른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안전관리방안 제시.

  • PDF

A Study on Legis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Act for Deep Sea Drilling (심해 시추와 관련된 국내 해양 환경 및 안전 관련법 개선에 대한 입법론적 연구)

  • Hong, Sung-Hwa;Lee, Ch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1
    • /
    • pp.73-82
    • /
    • 2017
  • This study is focused on concepts and types of drilling investigating the scope of activity and problems the application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acts related to deep-sea drill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tinental shelf in Korea. For the systemic development of subsea minera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 a legislative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law based on the UK Offshore Installation (Safety Case) regulation and improv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maritime safety act and oil & mining safety regulation. Specially, this study emphasized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education, training and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ertification training for the domestic work force based on accident cases related to overseas offshore plants.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for Typhoon Shelter in Jinhae Bay Based on AHP Assessment (AHP 기법 기반 진해만 태풍 피항지 내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Kim, Ni-Eun;Lee, Myoung-Ki;Camliyurt, Gokhan;Park, Do-Hyeong;Kim, Dae-Won;Park,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4
    • /
    • pp.507-514
    • /
    • 2022
  • Jinhae Bay is used as a major typhoon shelter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However, when a typhoon strikes, the Jinhae Bay is facing the possibility of marine accidents caused by dragging anchors and the increased number of ships. This paper suggested ways to safely and efficiently manage the port of Jinhae Bay when a typhoon strikes from 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in the sea, derived relative importance by conduct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sessment to ship operators, and suggested safety measures reflecting manager and user opinions. In order to select safety measures factors for the AHP survey, VTS operators analyzed the evaluation of measures when a typhoon strikes in Jinhae Ba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survey based on the selected safety measure factors, it was found that ship operators consider the safety of ships more than twice as important as efficient management, and comprehensively consider them in the order of management of evacuated ships, management of anchorage area, management of evacuation information, preparation regulations and guidelines, improvement of system equipment, education, publicity, and notifi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measures and relative importance identified in this paper, it is believed that Jinhae Bay can serve as the basis for safely and efficiently managing typhoon shelters.

The Change of Education System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in Korea (해양오염방지관리인 교육 제도의 변화 - 해양오염방지법과 해양환경관리법의 비교 -)

  • Kim, Kwang-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71-175
    • /
    • 2009
  •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system has been opera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marine pollution from ships and marine facilities in Korea. As a new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replacing an ol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law" had entered into force from January 20. 2008, the education system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 is scheduled to change in some ways. Major changes in education/training institutions, education/training courses, trainees,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nager's works and business, marine facilities and educational subjects are summarized, comparing between new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ct" and old "marine pollution prevention a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