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세균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5초

해양세균, Shewanella sp. SR-14에 의한 규조류 Chaetoceros calcitrans 증식저해 - 세균이 규조류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

  • 김지회;윤호동;박희연;이희정;장동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37-138
    • /
    • 2002
  • 최근 세균을 이용한 적조 방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해양에서 다수의 미세조류 저해균이 분리되고 있다. 전보에서 저자들은 규조류 Chaetoceros spp.의 생육을 저해하는 해양세균 Shewanella sp. SR-14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은 대사산물을 생성하여 그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그런데 Shewanella sp. SR-14에 의한 Chaetoceros calcitrans의 생육저해는 대사산물(배양여액)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세균이 공존하는 경우에 그 활성이 휠씬 강하여 세균이 생성하는 저해물질에 의한 것으로만 이해하기 어려웠으며, 다른 미지의 기구가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중략)

  • PDF

수영만의 해양세균의 분포와 우점속의 균체 지방산 조성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Celluar Fatty Acid Composition of Dominated Genus in Suyeong Bay)

  • 강원배;성희경;문창호;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40-651
    • /
    • 1997
  • 수영만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양세균의 분포 및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영만에서 해양세균의 시${\cdot}$공간적 분포 양상의 변화 및 조사기간동안 수영만에서 분리된 해양세균중 우점속의 균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연구 해역의 총균수와 생균수의 분포는 각각 $10^7\~10^8/m\ell$$10^4\~10^6\;cfu/m\ell$ 범위였으며, 총균수는 표층과 저층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생균수는 저층의 경우 동계에서 하계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해양세균 총 303균주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Pseudomonas spp. $(30.4\%)$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그 다음으로 Acinetobacter spp. $(18.8\%)$, Vibrio spp. $(13.2\%)$, Flavobacterium spp. $(12.2\%)$, Bacillus spp. $(8.9\%)$ 등이 우점하였다. 수영만에서 분리된 해양세균 중 Gram 음성세균 중에서 가장 우점한 Pseudomonas속과 Gram 양성 세균중에서 가장 우점한 Baillus속 각각 5균주의 균체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 검출된 균체 지방산은 총 31종이었으며, Pseudomonas속에 비해 Bacillus속의 지방산 형태는 비교적 단순했다. 또한 Pseudomonas속의 균체 지방산에서는 단순불포화지방산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고 Bacillus속 에서는 쇄상지방산이 우점한 지방산 형태였다. 또한 Pseudomonas속에서 검출된 OHFA와 CFA는 Baillus속의 균체 지방산 조성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Pseudomonas속의 균체 지방산은$C_{16:1},\;C_{17:1},\;C_{18:1}\;and\;C_{16:0}$이 우점했고, Baillus속 세균들에서는 $C_{15:0}\;iso\;,\;C_{15:0}\;anteiso,\;C_{17:0}\;iso\;,C_{17:0}$가 많이 검출되었다.

  • PDF

단세포성 해양남세균 종주를 이용한 광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 (Current Status of Photo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Using Unicellular Marine Cyanobacterial Strains)

  • 박종우;김재만;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1호
    • /
    • pp.63-68
    • /
    • 2009
  • 광생물학적 수소생산 잠재력을 가진 다양한 미소생물 가운데, 남세균은 21세기의 수소경제 시대에 적합한 생물군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광생물학적으로 수소에너지를 생산하게 될 경우, 해양 단세포성 질소고정 남세균은 남세균류의 하부 분류군들 가운데 가장이상적인 종류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단세포성 질소고정 남세균을 이용한 수소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사항은 1) 자연계에 존재하는 최우수 수소생산 종주의 확립 2) 광생물학적 수소생산을 뒷받침하는 종주-특이적 최적조건의 탐색 3) 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한 수소생산 종주의 개량 등이다. 본고에서는 광생물학적 수소생산기술의 상업화를 향한 최근의 연구 개발 추세를 돌아보고, 해양 단세포성 남세균 종주를 이용한 광생물학적 수소생산 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세계선도적 지위 확보를 위해서는 향후 10-15년간 집중적인 연구 개발이 절실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감태 추출물의 항균특성 (Antibacterial Property of Ecklonia cava Extract against Marine Bacterial Pathogens)

  • 김지훈;김세봉;황혜진;김영목;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80-385
    • /
    • 2016
  • 사람과 어류에게 감염증을 유발하는 Edwardsiella sp., Streptococcus sp. 및 Vibrio sp. 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한 해조류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4종의 식용 해조류 중에서 감태 MeOH 추출물이 본 연구에서 사용 된 6종의 모든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감태의 MeOH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 추출물들 중에서, EtOAc 분획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6종의 해양 유해세균에 대하여 $128{\mu}g/mL$에서 $256{\mu}g/mL$의 MIC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HPLC 분석에 의해 감태 EtOAc 분획 추출물에 phlorotannin 화합물인 dieckol이 다량 존재하고 있는 것이 확인 되었다. 결론적으로, 감태 추출물의 phlorotannin 화합물이 여러 유해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해양 유해세균에 대해서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Bunker-C유 집식배양으로부터 해양세균 Plasmid의 분포 (Incidence of Plasmids in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the Bunker-C Oil Enriched Culture)

  • Park, In-Sick;Park, Jung-Youn;Jin, Deuk-Hee;Hong, Yong-K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0-274
    • /
    • 1988
  • 우리나라 연근해역의 해양오염중 주종을 이루는 Bunker-C유를 대상으로 부산 및 충무, 울산항구의 해수를 균원으로 접종하여 enrichment culture시켰다. 이와 같은 혼합배양 해양세균들의 plasmid DNA분포를 agarose gel 전기영동상에서 조사하여 보았다. 우선 오염되지 않은 해수로부터 분리한 세균들의 Plasmid 분포(22%)와 만성적으로 유류오염이 예상되는 각 항구의 세균 plasmid 분포(25%)에는 조금 차이는 있었으며 enrichment culture중에는 29%정도로서 plasmid 분포비율이 증가하였다. 각종 탄화수소 화합물들에 성장하는 세균중 약33%는 plasmid룰 함유하고 있었으며, 또 약 62%정도는 Gram 음성균이었다. Plasmid 함유 세균중 23% 정도는 2종 이상의 plasmid를 갖고 있으며, 41%의 plasmid는 20kb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식넙치에서 분리한 새로운 $\alpha$-용혈성 세균 Vibrio sp. Strain JM1의 특성

  • 강봉조;강형일;이동헌;윤병준;오덕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77-378
    • /
    • 2001
  • 어류에 질병을 일으키는 Vibrio속 세균은 V. anguillarum을 비롯하여 약 11종 정도가 보고 되어있다 (Edward, 1995). 2000년 12월에 제주도내 한 양식장의 양식넙치 중 세균성질병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병어로부터 혈액한천배지에서 녹색의 용혈환을 나타내는 그람음성세균이 분리되었다. 검체에서 기생충 및 다른 세균은 검출되지 않아 병어의 질병은 분리된 세균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생화학적 특징 및 유전자 분석 결과 補온속의 세균으로 추정되어 그 세균학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해양세균 Pseudoa/teromonas psicida TA20의 색소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생리활성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 from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

  • 박진숙;정동우;강명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132-1138
    • /
    • 2009
  • 해양세균 Pseudoalteromonas psicida TA20의 ethanol 색소 추출물에 대한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한 결과, 본 해양세균 색소는 pH 4.0에서 pH 8.0의 조건과 $40^{\circ}C$ 이하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25^{\circ}C$ 14일간 90% 이상의 잔존율을 나타내어 빛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이온의 경우 $Al^{3+}$$Cu^{2+}$를 제외한 실험된 모든 금속이온에 대하여 매우 안정하였으며 특히, 다른 색소추출물들에 비해 $Fe^{2+}$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세균 색소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 결과, free radical 소거 활성 (3495 ${\mu}g/ml$)이 나타났으며, 색소농도 10 ${\mu}g/ml$일 때 44%의 인체세포 DNA 손상 회복능이 있음을 보여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요 식품유해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해양세균 색소는 항산화능과 항균활성을 갖는 식품 색소로의 적용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 남부 해역 퇴적물과 저층 해수 세균 군집 조성의 계절적 변화 연구 (Seasonal Variation of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in Sediments and Overlying Waters of the South East Sea)

  • 최동한;김병모;최태섭;이정석;노재훈;박영규;강성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2호
    • /
    • pp.147-154
    • /
    • 2014
  • 해양 환경에서 세균은 다양한 생지화학적 순환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들의 다양성에 대한 정보는 생태계에서 세균의 생지화학적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CO_2$ 해양지중저장의 후보지인 동해 남부해역의 표층 퇴적물과 퇴적물 위의 저층 해수에서 최신 연구 기법인 pyrosequencing을 통하여 세균의 계절적 다양성을 분석함으로써, 동해 퇴적물 세균상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퇴적물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Gammaproteobacteria가 우점한 반면, 저층 해수에서는 Alphaproteobacteria가 우점하여 두 서식처에서 세균의 다양성은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속 수준의 다양성 분석에서도 저층 해수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SAR11 그룹에 속하는 Pelagibacter가 가장 우점한 반면, 퇴적물 시료에서는 Gammaproteobacteria에 속하는 미동정 속이 가장 우점하였다. 그러나 두 서식처 모두에서 5%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속의 수는 10 속 미만으로 소수였으며, 낮은 점유율을 갖는 많은 종류의 세균들이 군집 내에 공존하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세균 다양성 연구는 동해 저층 해수 및 퇴적물의 세균 다양성에 대한 특성의 이해와 더불어 $CO_2$ 해양지중저장 사업의 진행에 따른 세균의 다양성 및 기능 변화에 대한 사전 자료 및 해역이용영향평가 배경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조와편모조 Scrippsiella trochoidea와 해양세균 Pseudomonas spp.의 동시배양 시 지반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Dispecific culture of Scrippsiella trochoidea a Dinoflagellate and Pseudomonas spp. marine Bacteria)

  • 임월애;김학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6-191
    • /
    • 1993
  • 우리 나라 남해 연안수역 특히 마산만에서 초봄인 3~4월에 와편모조류로서는 가장 빨리 적조를 일으키는 종인 Xcrippsiella trochoidea와 해양생태계에서 분해와 물 질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해양세균과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마산만의 저니에서 분리한 X. trochidea의 cyst를 발아시켜 배양하고 배양액에서 공존하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 우점종인 Pseudomonas spp.를 S. trochoide과 함께 천연멸균해수에 투여한 후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C_{16:1},{\;}C_{16:0}$의 조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S. trochoidea 와 Pseudomonas spp.의 동시 배양이 $C_{20:5}과{\;}C_{18:0}$의 두 지방산은 S. trochoidea 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나 Pseudomonas spp.에서는 오히려 감소되어, 이 두종의 지방산 대사과정이 서로 연관된다고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