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양발전소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amcheonpo Ocean Small Hydropower Plant Using Operation Results Data (운전실적자료를 이용한 삼천포 해양소수력 성능평가)

  • Kang, Keum-Seok;Kim, Ji-Young;Cho, Hong-Y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03-406
    • /
    • 2007
  • 발전소 온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설계 낙차와 함께 남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른 낙차의 이용가능성을 인지하고 소수력 발전 방식과 조력발전 방식의 특정을 동시에 활용하는 해양소수력 발전소를 삼천포 화력발전소 배수로에 최초로 건설하여 운전함으로써 청정 재생에너지 개발 및 $CO_2$ 저감효과 창출에 이바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천포 해양소수력 발전소의 운전실적 자료를 토대로 조위 및 방류량의 변화에 따른 해양소수력의 효율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해양소수력 발전소의 효율은 방류량과 유효 낙차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관측한 수위 및 방류량, 해양소수력발전소 운전실적 자료를 토대로 효율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소수력 가동 이후 배수로에서의 수위 상승이 명확히 나타났으며, 배수로내 위어에서의 흐름구조가 완전월류 상태에서 불완전월류로 바뀌면서 배수로 전체의 수면 불안정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배수로의 범람이나 순환수 계통에의 큰 영향을 초래할 만한 수준은 아니었다. 성능시험 결과, 최대출력, 평균출력, 최소출력 모든 부분에서 설계 보증치 이내의 값을 보였으며, 효율 또한 설계 보중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다. CWP 유량 분석결과, 소수력 발전소에서의 유량이 과소 측정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최대낙차에서 최대효율을 보이고, 저낙차일 때는 보증치보다 효율이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조위조건을 고려한 유량을 이용하여 산정한 효율 곡선이 보증치와 가장 일치하였으며, 전체 시스템 효율은 비교적 양호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원자력발전소 온배수에 따른 우렁쉥이의 성장

  • 김성길;곽희상;강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1-332
    • /
    • 2001
  • 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온배수는 해수의 수은을 변화시키며, 이로 인해 해양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Naylor, 1965). 발전소 온배수에 의해 27.2$^{\circ}C$~31.$0^{\circ}C$의 수온상승은 부착성 군집구조 가 우세하며, 37$^{\circ}C$이상의 수온에서는 수주고둥 및 따개비류를 제외한 모든 동ㆍ식물이 소멸한다 (Suresh et al., 1993). 또한, Ahamed et al. (1992)는 발전소 온배수의 영향을 받는 해역에서는 소수의 수주고둥과 남조류를 제외하고 해양생물 출현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Guidelines for Marine Environments in Construction Projects of Thermal Power Plant (화력발전소 건설사업의 해양환경 환경영향평가 가이드라인(안) 연구)

  • Maeng, Junho;Kim, Eunyoung;Kang, Taesoon;Son, Minh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1
    • /
    • pp.78-92
    • /
    • 2017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rmal power plant(TPP) is aimed at promoting sustainable coastal development by clearly identifying the marine physics and organisms effects of the project on the surrounding marine environment and minimizing its imp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EIA guidelines for TPP in order to assess how TPP construction projects influence marine environment and to establish the mitigaion plans of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this study, scientific and efficient EIA guidelines for the marine environments were established by a specialist forum consisted of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personnel from five public corporations in charge of TPPs and marine environment experts. In the study, fifteen EIA reports (2009~2015) on TPPs submitted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hortcomings of current assessment items on marine environment and to collect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EIA report formulation regulations,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al survey guidelines and EIA review comments on TPPs. Based on the findings, a specialist forum put together EIA guidelines for TPP construction projects.

Analysis of 1MW Closed OTEC Cycle Using Thermal Effluent and Waste Heat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1MW급 폐쇄형 해양온도차발전 성능해석)

  • Kim, Hyeon-Ju;Lee, Ho-Saeng;Jung, Dong-Ho;Moon, Deok-So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4
    • /
    • pp.470-476
    • /
    • 2010
  • The thermodynamic performance of closed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OTEC) cycle with 1 MW gross power was evalua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he optimal design of OTEC. The basic thermodynamic model for OTEC is Rankine cycle and the thermal effluent from power plant was used for the heat source of evaporator. The cycle performance such as efficiency, heat exchanger capacity, etc. was analyzed on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thermal effluent. The saturated pressure of evaporator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increase of thermal effluent temperature, so the cycle efficiency increased and necessary capacity of evaporator and condenser decreased under 1 MW gross power. As the thermal effluent temperature increases about $15^{\circ}C$, the cycle efficiency increased approximately 44%. So, it was revealed that thermal effluent from power plant is important heat source for OTEC plant. Also, if there is an available waste heat, it can be transferred heat to the working fluid form the evaporator through heat exchanger and cycle efficiency will be increased.

Water Level Variation Analysis in the Cooling Water Discharge Channel of Power Plant due to Installation of Ocean Small Hydropower Plant (해양소수력 건설에 따른 방류수로의 수위 변화 특성 분석)

  • Kang, Keum-Seok;Kim, Ji-Young;Ryu, Moo-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5
    • /
    • pp.391-404
    • /
    • 2009
  • A small hydropower plant(SHP) using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ower plant was constructed in Samcheonpo. This study presents predicted and measured hydrological data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mall hydropower plant in order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ater level variation of cooling water discharge channel which is a key factor in the design of SHP since the water level rise of channel is related to impact on circulating water system of the existing power plant.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for prediction of water level variation in the design stage from simple empirical formula to sophisticated 3-dimensional CFD method. Measured results reveal that mean value was similar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but measured results were larger than predicted in deviation. Moreover, simple formula, i.e. standard weir equation and Honma equation, were more useful before installation of SHP, but sophisticated methods during operation of SHP.

A State of the Art Study of Tidal Power Technology Development (조력 발전 기술 개발 동향)

  • 송원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8
    • /
    • 1993
  • 한국해양연구소는 1973년 설립이래 서해안 조력발전 사업을 계속 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조력발전사업의 해외동향, 특히 Rance 발전소 가동 실적, 영국의 Severn, Mersey강 하구 조력발전 타당성 검토사업 결과를 근간으로 하여 그간 이룩된 각종 기술의 개발 동향을 소개한다. 국내에서의 조력발전소 건설 타당성 검토는 192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다. 검토대상 지점은 경기도 강화군 남서쪽 동검도 일대의 해역이었으며 강화도 외측 조력발전 개발안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중략)

  • PDF

화력발전소 CWD(Cooling Water Discharge)를 활용한 해양소수력 개발의 기술적인 고찰(화력발전소 CWD와 조위특성과의 Harmony)

  • Eom, Bok-Jin
    • 열병합발전
    • /
    • s.69
    • /
    • pp.15-20
    • /
    • 2009
  • 소수력 계획 시 개발지점에 대하여 수많은 자료와 정보 등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특히 해당지역내의 유량분포에 대한 유황자료는 개발의 판단여부를 결정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소수력발전소의 설비용량에 직접 관계되는 설계유량의 결정과 재해방지를 위한 유출의 예측을 가능케 하고 발전소운영 시 가동률 및 경제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용한 요소이나 여기서 논하는 소수력개발은 하천이나 댐과 같은 유형이 아니라 일정한 유량을 확보하여 배출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그러나 계절별 부하에 따른 냉각수량의 변화 및 소수력 발전유량의 변동, 조위(해수면)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수위조절을 위한 수문은 이들의 변화에 따라 자동운전이 가능해야 하지만 운전시 발전정격수위를 맞출 수 있도록 수문을 조절한 다음 Turbine Governor에 의해 유량 및 수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냉각수 순환수 계통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언제나 적정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운전모드로 구축하는 것이 안정이라 볼 수 있다. 소수력발전설비 및 수문의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할 때 수위가 상승하여 냉각계통에 손실수두 증가, 취수펌프의 양정고 증가와 Surge 발생 등으로 발전소의 정상 운전에 미치는 영향이 없어야 하므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에 폐쇄시간과 수압상승 값 등 요인 분석후 설계하여야 한다. Figure A와 같이 국내 화력발전단지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는 발전소에 따라 ca.70~150 CMS로 ca.2,000~5000 kW 이상의 수력에너지(H=4m 형성 기준)를 보유하고 있으나, 현재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해양으로 방류되고 있어 이 수력에너지의 개발 방안을 오래전부터 검토하여 왔다. 발전소 온배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설계 낙차와 함께 남서해안의 조위변화에 따른 낙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소수력 발전 방식과 조력발전 방식의 특징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다.

  • PDF

시화호 유동특성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분석

  • O, Yu-Jin;Kim, G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63-64
    • /
    • 2018
  • 금회 연구대상지인 시화호는 과거 외해와의 소통이 차단되어 심각한 수질악화현상이 나타나 2001년 이후 해수의 상시 유통 및 환경개선에 노력중인 해역으로써 2004년 방조제에 조력발전소 건설이 확정된 이후 방조제 내 외측의 조차를 이용하여 발전 중이며 주변 도시의 산업단지 및 신도시 조성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간척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조력발전소 가동에 의해 일 2회 외해와의 해수 소통이 있으나 차폐된 해역으로 하천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와 내측 간척사업에 따른 수질 악화가 우려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역 특성을 고려한 해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금회 연구에서는 바람, 하천 유입, 조력발전소 유입수 등의 영향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유동 특성을 해석하였다. 검토 결과 시화호의 유동장은 조력발전소의 유출입과 하천의 유입에 의해 흐름 양상이 결정되며 간사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어 이에 따른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호수 내측의 조류 자료가 미비하여 이를 고려한 검증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강우를 포함하여 영향을 분석할 경우 추후 시화호 오염물질의 해양 확산 양상을 재현하는데 있어 기초연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es in Sea Water Characteristics Due to Operation of Shihwa Tidal Power Plant (조력발전소 가동에 따른 시화 해역의 해수특성 변화)

  • Kang, Young Seung;Chae, Yeongki;Lee, Hyung R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5 no.4
    • /
    • pp.219-235
    • /
    • 201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ea water characteristics and stratification due to operation of Shihwa tidal power plant, thre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is used. In summer, the density of inner part of Shihwa Lake is more affected by salinity than water temperature due to fresh water discharge. Before tidal power plant operation, the sea water characteristics in Shihwa Lake shows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low salinity. After tidal power plant operation, water temperature decreases slightly and salinity tends to increase in Shihwa Lake. Also, density increases and stratification tends to weaken by mixing with sea 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