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Level Variation Analysis in the Cooling Water Discharge Channel of Power Plant due to Installation of Ocean Small Hydropower Plant

해양소수력 건설에 따른 방류수로의 수위 변화 특성 분석

  • 강금석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 김지영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 유무성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A small hydropower plant(SHP) using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power plant was constructed in Samcheonpo. This study presents predicted and measured hydrological data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mall hydropower plant in order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water level variation of cooling water discharge channel which is a key factor in the design of SHP since the water level rise of channel is related to impact on circulating water system of the existing power plant.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for prediction of water level variation in the design stage from simple empirical formula to sophisticated 3-dimensional CFD method. Measured results reveal that mean value was similar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but measured results were larger than predicted in deviation. Moreover, simple formula, i.e. standard weir equation and Honma equation, were more useful before installation of SHP, but sophisticated methods during operation of SHP.

삼천포 화력발전소에서 냉각수로 이용되고 방류되는 해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소를 건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소수력 발전소 건설시 가장 중요한 문제인 기존 화력발전소의 순환수 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수로 수위의 해양소수력 건설 이전, 건설 중, 건설 이후 해양소수력 운전 상태에서의 변화를 예측한 값과 실제 계측값을 분석하였다. 설계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개수로 수리식에서부터 Flow 3D를 이용하여 3차원적인 수리해석 기법을 이용하는 것까지 다양한 예측을 시도하였고 관측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예측치와 실제 관측치의 비교 결과, 수위의 전체적인 평균값은 예측치와 관측치가 유사하였지만 수위의 변화 폭은 건설 중과 해양소수력 운전 상태에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소수력 건설 이전에는 표준위어식과 Honma식의 예측값이 관측값과 가장 유사하였으나, 소수력 건설 이후에는 HEC-2, HEC-RAS, Flow-3D의 예측값이 실측값과 가까운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영, 이대수, 강금석 (2005). 발전소 해수방수로의 수력개발에 따른 수리특성 분석.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98-501
  2. 산업자원부 (2004). 화력발전소의 해수방류수를 이용한 수력발전시스템 타당성 조사 연구 (최종보고서),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3. 산업자원부 (2007).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1,500 kW급 수력발전 상용화기술 개발(최종보고서)
  4. 이일생(2000). 하이소수력발전소 건설에 따른 삼천포화력발전소 냉각수 방수로 수리영향 검토. 기술검토보고서
  5. 조홍연, 정신택, 강금석(2006a). 삼천포 화력발전소 방류수로 및 방류해역의 흐름 관측 및 특성 분석.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329~337
  6. 조홍연, 정신택, 김정대, 강금석 (2006b). 소수력 발전소 건설에 의한 삼천포 화력발전소 방류수로 흐름변화 예측.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8권 제4호, pp. 338~347
  7. 최영박, 지정환 (1997). 최신 수리학, 제7장, 제8장, (주)교학사
  8. 한국전력공사 (1994). 삼천포화력 5,6호기 설계기술 용역, 배수구 구조물 기본설계보고서 (최종분), 89700-C411-001(9-287-C3411-001)
  9. 한국전력공사 (1996). 삼천포화력 5,6호기 설계기술 용역, 순환수계통 설계서 (최종분), 87900-C466-001 (0-280-C3316-001)
  10. 한국남동발전(주) (2005). 삼천포 소수력발전소 기본설계보고서
  11. 홍경욱(2002). 열발전소 배수암거 부정류 수치모의.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