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양과학기술

검색결과 2,002건 처리시간 0.029초

긴급상황 시 선박 대피항로 선정 지원 기술 시뮬레이션 검증 : 비상투묘와 충돌위험도 중심으로

  • 신대운;양찬수;전호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19
  • 해상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선박운항자는 짧은 시간에 신속 정확한 의사 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해양사고(충돌, 좌초, 화재, 엔진고장, 조타고장) 심각성에 따른 대피항로(해경선, 비상투묘, 표류, 임의좌주, 주변선박) 선정 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선박운항자를 위한 긴급대피지원안내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피항로 선정 지원 기술 중 비상투묘와 충돌위험도를 중심으로 시스템 적용 모델의 타당성의 평가하고 알고리즘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비상투묘 지원 기술의 검증을 위해 국내외 해양사고 보고서 및 재결서를 분석하고 알고리즘에 적용해 결과를 비교하였다. 충돌위험도를 검증하기 위해 재결서의 선박 충돌 사고 사례를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하였고, 시뮬레이션 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PARK model, IWRAP MK2 프로그램을 이용해 충돌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해양사고 발생 시 선박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IS 데이터를 활용한 격자 기반 선박항로계획에 관한 연구

  • 이형탁;최혜민;한희정;윤석;이정석;김민규;조익순;양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1-373
    • /
    • 2022
  • 현재 선박의 항로계획은 항해사들의 항해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자율운항선박의 등장으로 항로계획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가 학계와 산업계에 관심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AIS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박의 항로계획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 격자기반의 최단경로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이는 자율운항선박의 항로계획 생성에 있어 안전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부산 영도 내만에서 원핵생물 성장 및 다양성의 주간 변동 특성 (Weekly Variation of Prokaryotic Growth and Diversity in the Inner Bay of Yeong-do, Busan)

  • 양원석;노재훈;이호원;이연정;최동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31-43
    • /
    • 2021
  • To understand the temporal variation of prokaryotic communities in a temperate coastal area, prokaryotic abundance, activ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every week for over a year at a coastal monitoring station of Yeong-do, Busan. The prokaryotic abundances fluctuated about 10 times, ranging from 2.0 to 20.1 × 105 cells mL-1 and tended to be high in spring when phytoplankton bloom occurred. The prokaryotic thymidine incorporation rates (TTI) varied in a low range between 0.2 and 11.5 pmol L-1 h-1 in winter. However, in summer, TTI were increased up to a range of 8.3 to 17.4 pmol L-1 h-1, showing an increasing pattern in summer. During the study period, Alphaproteobacteria was the most dominant class for most of the year, followed by Flavobacteria. While the seasonal variation of prokaryotic composition was not apparent at the class level, many prokaryotic species showed a distinct temporal or seasonal variation for the year. In the coastal site, prokaryotic biomass and activity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emperature and chlorophyll-a, which are well known to regulate prokaryotic growth in marine environments, suggesting that the study area may be affected by diverse sources of organic matter for their growth.

가을철 독도 연안에 출현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 및 군집 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during Fall on the Dokdo Coast, Korea)

  • 강수민;이형곤;김상렬;최진우;박찬홍;유옥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1권2호
    • /
    • pp.47-61
    • /
    • 2019
  • The Dokdo coast is known for its high biodiversity.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biodiversity and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subtidal soft-bottom. Therefore, we collected macrobenthos (> 1 mm) using a Smith-McIntyre grab ($0.1m^2$) at 15 stations along the Dokdo coast in September 2016. The sediments consisted of badly sorted (1.7) coarse sand with gravel and the mean sediment grain size was $-0.4{\phi}$. In total, 177 macrobenthic species were collected; their mean density was $1,566ind./m^2$.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of macrobenthic fauna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mean grain size. The dominant species were the amphipods Melita denticulata (16.5%) and Melita shimizui (5.5%), polychaete Salvatoria clavata (5.4%), bivalve Glycymeris aspersa (4.4%), and ophiuroid Ophionereis dubia (4.3%). The dominant macrobenthos species on the subtidal soft-bottom differed from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suggesting that the difference in the sediment grain size affected the macrobentho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to divide the study area into four groups,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orrelated with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in the study area were the combination of the four parameters of salinity, dissolved oxygen, total organic carbon and depth. A future seasonal investigation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kdo macrobenthos.

자율운항선박 입·출항지원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법·제도 환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gal and Regulatory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Arrival and Departure Support Technology of MASS)

  • 천관욱;김건우;한동원;임근태;김혜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9-90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자율운항선박 및 유관 기술개발이 현재 진행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법·제도적 규정 마련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2017년부터 자율운항선박의 운용에 관한 규정 검토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일본, 중국, 노르웨이 등의 국가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및 기술개발을 위해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기존 법률의 정비방안을 발표하는 등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과 함께 법·제도 규정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율운항선박과 관련하여 자율운항선박기술의 개발 및 실증을 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없다. (중략...)

  • PDF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지원 기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Technology for MASS Arrival and Departure)

  • 김혜진;김동함;박정홍;강민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4-75
    • /
    • 2023
  • 선박의 자율지능기술은 국방분야에서 무인화 기술 개발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해운분야에서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이 해상 물류의 수단으로 사용화되기 위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항만 입출항을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을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을 위해서 요구되는 기능을 식별하고, 요구 기능이 개발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검토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 지원을 위해서는 항만과 선박의 정보 공유 및 동기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고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및 운항 경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 개발 및 운용 (Introduction of Testbed Vessel for MASS Technologies)

  • 전송만;임승현;한동원;안해성;임근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36-337
    • /
    • 2022
  • 자율운항선박기술의 상용화를 위하여 개발되는 요소 및 통합기술의 성능시험과 실증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테스트베드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서 개발되는 기술의 성능검증을 위하여 울산시 고늘지구 인근에 성능실증센터가 구축되고 있으며, 성능실증센터는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를 비롯한 육상테스트베드와 시험해역과 시험선을 포함한 해상테스트베드로 구성된다.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은 설계 단계에서부터 자율운항기술의 해상 실증 및 성능시험을 고려하여 건조되었으며, 본 논문을 통해 해상테스트베드 시험선의 기능과 구성요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성능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의 기능 분석 (Functional Analysis for Simulation-based Testb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MASS)

  • 임승현;안해성;전송만;한동원;임근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1-34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을 추진 중이며, 자율운항선박 핵심 기술뿐 아니라, 상용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평가·검증 관련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율운항선박의 핵심 기술과 주요 장비의 성능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현황과 자율운항선박의 시뮬레이션 기반 테스트베드가 갖춰야 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으며, 자율운항선박의 특수성이 반영된 동역학 모델 기반의 조종 시뮬레이션 테스트베드에서의 성능검증을 위한 기능 분석 및 세분화를 통해 플랫폼 운영에 효과적인 기술들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