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자원

Search Result 30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Geomagnetic Depth Sounding to Investigate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지자기 수직 탐사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전기전도도 구조)

  • 오석훈;양준모;이덕기;남재철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5
    • /
    • pp.437-444
    • /
    • 2002
  • Geomagnetic depth sounding (GD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ep resistivity structure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data that have 0.01 nT precision were collected from 5 geomagnetic observatories and measured every one or five second. In this study, amount of 16 days of geomagnetic data were used for analyzing. Generally the sea affects the GDS data seriously due to its high conductivity. However, though the Korean peninsula is surrounded by seas in three sides, the results given by induction arrow strongly show that the trend of electrical conductivity at neighborhood of the Korean Peninsula is reigned by some geological features. Also it is believed that observation in Jeju island is related with the electrical structure around the East China Sea.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on Jeju Island by Remotely Sensed Based Water Quality Analysis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 Baek Seung-Gyun;Park Maeng-E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8 no.4 s.173
    • /
    • pp.395-409
    • /
    • 2005
  • To explor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to the coastal zone of Jeju Island, the water quality analysis with seasonal remotely sensed data was carried out. If the groundwater is directly discharged into the ocean, the water quality of coastal zone is influenced. Therefor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the transparency, and Chlorophyll-a's concentration were analyzed for extracting the anomaly zone related with SGD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TM) data acquired on April, August, and December. Th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prings, which located along the coastal area, were analyzed by CIS data integration based on Fuzzy logic. The integr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nomaly zone extracted from Landsat TM data, and it is considered that springs has close relationship with SGD.

Antioxidant Activation of Plum (Prunus mume Sieb. et Zucc.) Flesh, Pericarp and Stone Extracts (매실 과피, 과육과 핵의 품종별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 Seo, Ji-Won;Choi, Hyun-Sun;Chun, Jung-Nam;Song, Won-Seob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100-100
    • /
    • 2019
  • 매실에는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피루브산 등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서 체내의 대사작용을 돕고 세포와 근육에 필요물질인 젖산을 분해하여 피로를 감소시켜주며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있다. 또한 피루브산은 간의 피로, 해독작용을 활발하게 도와주며 카테킨산은 장내의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식중독을 예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설사와 변비를 치료하는데도 효과가 있으며 다량의 비타민C의 함유로 인하여 체내의 피로회복을 돕고 있다. 이러한 효능을 가진 매실은 전라남도 해안가에서 주로 재배하고 있다. 특히 순천과 광양지역에서 다양한 품종들을 재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순천과 광양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남고, 천매, 고성, 앵숙, 풍후, 옥영, 임주, 청축, 백가하 등의 잎과 과육, 핵의 추출물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은 핵, 과육보다 잎에서 양호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매실의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던 바, 매실의 대부분의 품종에서 항산화 활성이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부위별에서는 핵보다는 잎과 과육에서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품종별로는 앵숙, 남고, 청축에서 다소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매실의 항산화 활성은 품종별, 부위별로 상이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Agroclimatic Zone and Characters of the Area Subject to Climatic Disaster in Korea (농업 기후 지대 구분과 기상 재해 특성)

  • 최돈향;윤성호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4 no.s02
    • /
    • pp.13-33
    • /
    • 1989
  • Agroclimate should be analyzed and evaluated accurately to make better use of available chimatic resources for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cropping systems. Introducing of appropriate cultivars and their cultivation techniques into classified agroclimatic zone could contribute to the stability and costs of crop production. To classify the agroclimatic zones, such climatic factors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sunshine, humidity and wind were consider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the crop growth and yield. For the classification of rice agroclimatic zones, precipitation and drought index during transplanting time, the first occurrence of effective growth temperature (above 15$^{\circ}C$) and its duration, the probability of low temperature occurrence, variation in temperature and sunshine hours, and climatic productivity index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agroclimatic zones for rice crop were classified into 19 zones as follows; (1) Taebaek Alpine Zone, (2) Taebaek Semi-Alpine Zone, (3) Sobaek Mountainous Zone, (4) Noryeong Sobaek Mountainous Zone, (5)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6) Northern Central Inland Zone, (7) Central Inland Zone, (8) Western Soebaek Inland Zone, (9) Noryeong Eastern and Western Inland Zone, (10) Honam Inland Zone, (ll) Yeongnam Basin Zone, (12) Yeongnam Inland Zone, (13) Western Central Plain Zone, (14) Southern Charyeong Plain Zone, (15) South Western Coastal Zone, (16) Southern Coastal Zone, (17) Northern Eastern Coastal Zone, (18) Central Eastern Coastal Zone, and (19) South Eastern Coastal Zone. The classification of agroclimatic zones for cropping systems was based on the rice agroclimatic zones considering zonal climatic factors for both summer and winter crops and traditional cropping systems. The agroclimatic zones were identified for cropping systems as follows: (I) Alpine Zone, (II) Mountainous Zone, (III) Central Northern Inland Zone, (IV) Central Northern West Coastal Zone, (V) Cental Southern West Coastal Zone, (VI) Gyeongbuk Inland Zone, (VII) Southern Inland Zone, (VIII) Southern Coastal Zone, and (IX) Eastern Coastal Zone. The agroclimatic zonal characteristics of climatic disasters under rice cultivation were identified: as frequent drought zones of (11) Yeongnam Basin Zone, (17) North Eastern Coastal Zone with the frequency of low temperature occurrence below 13$^{\circ}C$ at root setting stage above 9.1%, and (2) Taebaek Semi-Alpine Zone with cold injury during reproductive stages, as the thphoon and intensive precipitation zones of (10) Hanam Inland Zone, (15) Southern West Coastal Zone, (16) Southern Coastal Zone with more than 4 times of damage in a year and with typhoon path and heavy precipitation intensity concerned. Especially the three east coastal zones, (17), (18), and (19), were subjected to wind and flood damages 2 to 3 times a year as well as subjected to drought and cold temperature injury.

  • PDF

Feasibility Study of Wind Turbine Test Site around Saemangeum Region by using Meteorological Observation Data (기상 관측자료를 이용한 새만금 일대의 실증단지 적합성 분석)

  • Jang, Jea-Kyung;Lee, Kyo-Yeol;Ryu, Ki-Wah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81.1-181.1
    • /
    • 2010
  • 풍력터빈에서 전력생산량은 속도의 세제곱에 따라 바람의 속도에 크게 영향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새만금 인근 해안의 2005부터 2007년까지의 AWS(지역별 관측자료)와 해양에서 떨어진 새만금 서해의 2000년부터 2009년까지 QuikSCAT위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에 따른 확률 밀도 분포를 획득하였다. 측정된 관측 데이터는 80m 높이에서의 보정 자료를 근거로 하였으며, IEC 61400-12와 13을 근거로 실증단지 적합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standards and design guides for safety facilities on coastal zone (연안역 안전시설의 설치기준 및 국내.외 안전기준 분석)

  • Youn, Sang-Ho;Yi, Gyu-Sei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457-460
    • /
    • 2010
  • 연안역이란 해안선을 기준으로 인접해 있는 육지(연안지역)와 바다(연안해역)를 포함한 개념, 즉 인근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배후 육지와 바다를 합친 자연환경 대이다. 국토해양부는 연안역의 공간이동 효율성을 높이고 부존해양자원의 체계적인 개발과 보전을 위해 "연안역관리법" 특별법으로 관리한다. 하지만 연안역의 안전시설물에 대한 체계적인 설계지침이나 유지관리 등의 지침서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현재 연안역 설치되어 있는 안전시설물에 대한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국내 외도로, 해안, 항만구조물의 안전시설기준을 비교, 분석, 정리하였다. 또한 인간공학을 통해 위험을 감소할 수 있는 청각적 시각적 신호 체계를 분석하여 연안역에 맞는 새로운 신호체계를 마련할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tudy the Analysis 60kv 80Mw HVDC on power system transient stability in Jeju-do (제주계통 60kv 80Mw HVDC의 과도안정도를 고려한 해석 연구)

  • Park, Kyoung-Ho;Lee, Wook-Hwa;Jung, Yong-Ho;Moon, Hyung-Bae;Na, Hyun-Kook;Lee, Deok-Jin;Yoon, Min-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68-269
    • /
    • 2011
  • 제주도는 내륙과 EJfdjwu 있는 섬으로 독특한 계통 특성을 가지고 있다. HVDC는 제주 계통을 내륙 계통과 연계시켜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주파수 유지를 담당하고 있다. 현 제주-해남 사이의 이외에 추가로 제주-진도 사이의 2단계 HVDC가 2011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다. 1단계 HVDC와 풍부한 바람 자원을 이용한 풍력 발전 단지가 운영 중이고, 해안 풍력 발전 단지 뿐만 아니라 해상 풍력 발전단지도 건설될 예정이다. 또한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가 제주도에 건설될 예정이기 때문에 향후 풍력 발전량이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2013년 이후부터는 추가 건설될 2단계 HVDC와 현재 운영되고 있는 1단계 HVDC가 협조 운전을 하게 된다. 풍력 발전 단지의 증가와 추가 HVDC는 제주 계통의 전원 구성에 변화가 예상된다.

  • PDF

DMZ의 지속 가능한 이용에 대한 전략에 있어서의 교육의 이용과 환경적 해석

  • Jones, Grant
    • Hwankyungkyoyuk
    • /
    • v.10 no.1
    • /
    • pp.115-128
    • /
    • 1997
  • MZ는 국제적 환경 생태 지대가 될 수 있으며, 황해의 한-임진 강어귀를 열곡 중심에 있는 철원 유역과 이으며, 동해안 바위투성이 해안에 있는 설악산과 금강산 사이의 태백산까지 잇는다. 이 통일의 자연 기념비는 인류의 희망의 성지와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은 국경 지대에서 평화의 상정이 된 멸종 위기의 학의 보호 구역이 될 수 있다. White-napped 학 (Grus vipio), Red-necked 학 (Grus japonensis), 아시아에서 충성의 상징인 Hooked 학 (Grus monacha)은 곧 멸종할 운명에 처해 있다. 임진강 어귀 근처에서 시작되는 귀중한 풍경은 여러분의 유산을 재발경하고, 풍경에 내재된 본질적인 자연?문화적 가치를 포착하고, 그리고 환경적으로 건강한 개발을 하면서도 다음 세대를 위해 그것들을 보존할 완전한 자원망이다. 환경교육은 '고객으로서의 장소'의 모델과 연계된 환경 교육은 DMZ의 미래를 위한 일치된 의견을 이뤄내는 관문이 될 것이다.

  • PDF

조역발전을 위한 국가적 과제

  • 이덕선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6 s.2
    • /
    • pp.33-38
    • /
    • 1974
  • 우리나라 남${\codt}$서해안선의 총 연장은 5,000천에 달하며 크고 작은 섬들만도 2,000여개가 산재하고 있다. 여기에 밀려드는 조석 및 파력에너지의 포장량은 전력으로 환산하여 줄잡아 $10^{8}KW$ Order의 ''이론적 포장에너지량''이 부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수력의 경우 구주각국이나 일본에 있어서는 ''기술적 포장수력''의 $25{\~}50{\%}$가 ''기술적 포장수력''으로, 그리고 $10{\~}20{\%}$가 ''경제적 포장수력''이라는 통계치가 나와 있다. 조력의 경우 이와같은 수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겠지만, 수천만kw Order의 기술적 또는 경제적 포장능력이 우리나라 남서해안에 부존할 수 있음에 수긍이 간다. 이론적으로 포장량을 기술적 포장량으로 바꾸고 이를 다시 실현성있는 경제적 포장량화하는 원동력은 인간의 지혜 곧 ''기술''과 역사의 흐름 곧 ''시운''에 좌우된다고 하겠다. 정부는 국내 부존에너지자원의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74년도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력발전기초조사를 과학기술처 산하 ${\ulcorner}$한국해양개발연구소${\lrcorner}$를 중심으로 하여 실시하게 된다. 국내 관계기관 및 전문가들의 적극적 참여와 협조를 바란다.

  • PDF

Pollution Risk Assessment of Oil Spill Accident (해양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 Lee, Moon-Jin;Kim, Hye-Jin;Hwang, Ho-Jin;Lee, Seung-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7.05a
    • /
    • pp.9-14
    • /
    • 2007
  • 해양유류오염사고 유출유 피해 위험도 산정을 위한 평가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위해도 평가에서는 과거 사고 사례에 근거하여 선정한 사고 해역에 대하여 여러 경우의 유출유 확산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 규모 둥을 산정한다. 유출유의 피해 가능성, 도달시간, 피해규모는 환경민감자원 현황에 근거한 해역별 해안 및 어장 양식장을 대상으로 산정하며, 각 해역별 피해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해역별 위해도를 산정한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유류오염사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피해 위험을 제시할 수 있으며, 실시간 피해 위험 예측과 연계하여 보다 타당성 있는 유류오염사고 위해도 평가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