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안방조제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방조제 체절시 사석 및 돌망태의 적정규모 산정을 위한 매뉴얼 개발 -II. 현장적용- (Assessment Manual for Optimization of Structural Scale of Stone and Gabion at the Final Closure of Sea Dike -II. Application at the actual site-)

  • 송현구;김종규;황인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45-15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 결과 및 기존 경험식의 비교검증을 토대로 개발된 사석 및 돌망태 규모를 산정하기 위한 매뉴얼을 이용하여 새만금 방조제 끝막이 공사기간 동안 사전에 예측된 일별, 매시간별, 발생 유속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유속에 따른 사석규모와 사석규모의 한계유속 초과시 적절한 돌망태의 혼용율을 시공현장에 제공하였다. 또한 시공에 따른 수심변화를 고려하여 수심별 사석규모도 제공하였다. 개발된 매뉴얼을 통해 발생유속에 따른 사석 및 돌망태 규모와 사석과 돌망태의 적정혼용율을 제시함으로써 시공에 따른 재료(사석 및 돌망태)의 유실을 최소화하여 성공적인 끝막이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매뉴얼의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강화 교동도의 해안저습지 개간과 수리사업 (Tidal-Flat Reclamations and Irrigation Systems of the Kyodong Island)

  • 최영준;홍금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35-561
    • /
    • 2003
  • 인천시 강화군의 교동은 역사시대이래 계속된 간척활동을 통해 크고 작은 섬이 하나로 연결되어 현재와 같은 면적 47.1$\textrm{km}^2$의 단일 도서로 발전하였다. 구릉성 산지 사이에 퇴적된 교동도의 간석지는 한강ㆍ임진강ㆍ예성강에서 유출되거나 연해에서 운반된 미립물질로 구성되며 일찍부터 해안평야로 개발되었다. 개발 과정은 현지 농민의 개간과 더불어 변방방어와 왕도수호의 차원에서 방조제를 축조하고 둔전을 조성한 고려이전의 초기간척시대, 통어영의 유치로 경지개간이 체계화되는 한편 유이민에 의한 사전개발이 활발했던 조선시대, 식민자본에 의해 농장이 개설ㆍ운영된 일제시대, 다양한 토목장비가 동원되어 간석지개간이 종합적으로 추진된 최근세 이후의 4시기로 나뉜다. 고립된 도서로서 수원이 충분하지 못했던 교동에서는 간척지를 조성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동답, 제언, 물광, 담수로, 관정, 대규모 저수지 등 독창적인 수리방안을 모색하였다.

홍수전파와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새만금호 내부 수리특성의 동적응답 (Dynamic Response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Inner Saemankeum Reservoir According to Gate Operation and Flood Events)

  • 서승원;조완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9-279
    • /
    • 2005
  • 새만금호의 방조제 완공이후와 내부 개발이후 만경강 및 동진강의 홍수량 유입과 내부 수위를 관리하기 위해 수문을 작동할 매 수리특성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를 평가하기 위한 수치실험이 수심적분된 ADCIRC 모형을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2차원 동적하도추적에 따르면, 상류에서는 홍수수문의 시간적 변화가 민감하나 홍수파가 호 내로 유하 하면서 급확대되는 물리적 특성에 따라 호 중심부터는 안정화된다. 평상시 관리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수문을 제어하는 경우, 내부개발이후가 방조제 완공직후에 비해 수문 인근영역에서 유속, 수위 등에 동적응답이 즉각적으로 보다 크게 일어나고, 외해수를 호 내측으로 받아들이면 불규칙 수면교란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데 내부개발 전후에 따라 최대 10km 및 16km정도까지 상류방향으로 전파된다.

안면도의 면적 변화와 연안침식지역 해안선의 속성 분포 (Area Change and Coastline Attribute Distribution of Coastal Erosion Zone in Anmyondo)

  • 김백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43-148
    • /
    • 2010
  • 191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와 2003년에 구축된 해안선 조사측량 DB를 비교하여 안면도의 해안선 길이 및 면적 변화와 해안선의 속성 분포를 산정하였다. 안면도의 해안선은 수많은 간척사업으로 단순화되어 58%정도 감소하였으나, 면적은 36%정도 증가하였다. 2003년에 자갈 해안선의 분포가 가장 우세하였다. 방조제 해안선의 길이도 전체 해안선의 33%에 달하였다. 자갈 해안선은 안면도 동측 해안에, 모래 해안선은 안면도 서측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안선 속성을 연안침식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과거의 해안선이 요구되는 바, 1910년대에 제작된 지형도는 이러한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안역 안전시설 관련 연구 및 개발추진계획 (Research and Development Plan of Safety Facilities in the Coastal Zone)

  • 임남형;이진옥;성익현;장선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39-341
    • /
    • 2009
  • 연안역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연안역을 따라 많은 산업화와 관광권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안전시설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충청권 연안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적(관광, 산업, 방조제 등) 및 자연적(조수, 해일, 지진, 해양기름유출, 해안습지, 태풍 등) 특성을 고려한 연안역 안전시설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선행연구로 서해안 연안역 현장조사를 통한 안전시설물의 설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안역 안전시설의 성능 및 설계기준, 건설재료 등에 대한 연구를 기획하였다. 연구과제의 최종 수행결과물로서 제시될 해안 안전 시설물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대한 개발추진계획을 제시한다.

  • PDF

음해조석모형의 목포항 인근해역에의 적용 (Application of FIT Model to Near Mokpo Harbor)

  • 강주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21-328
    • /
    • 1995
  • PCGS(preconditioned conjugate squared) 방법을 사용한 음해법적 조석모형인 FIT(fully implicit tidal)모형을 개발하여 목포항 인근해역에 적용하였다. M$_2$분조에 따른 유속과 조위에 대한 검증결과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빠른 유속을 갖는 협수부와 수심과 지형이 복잡한 곳에서도 모형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개발된 모형을 통해 목포구의 완충효과를 규명하여 하구언 및 방조제 건설에 따른 목포항 부근의 조석 확폭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2차원 Eulerian-Lagrangian 모형을 이용한 연안해역의 확산해석 (Coastal Dispersion Analysis Using Two-Dimensional Eulerian-Lagrangian Model)

  • 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3-181
    • /
    • 1993
  • 확산-이송 방정식 모델을 비교, 고찰하여 개선된 2차원 Euierian-Lagrangian 방법에 의한 수치기법을 수립하였다. 실제해역에서 장기간 단속적으로 방류되는 방조제 공사시의 토사확산을 모의하기 위하여 Fourier 공수를 이용하여 source항을 표현하였다. 연구결과 본 Eulerian-Lagrangian 모형은 장기간의 연속적 및 단속적 연안해역의 확산을 매우 효율적으로 모의할 수 있었다.

  • PDF

해도를 이용한 해안 지형의 변화량 산정 (Estimation of Coastal Terrain Differences Using the Chart)

  • 양인태;한성만;최승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7-214
    • /
    • 2002
  • 서해 연안의 개발은 갯벌의 감소로 해양생태계를 위협하고 있으며 산업화에 따른 대형 매립공사는 주변의 기상변화와 해상변화를 일으켜 해저지형 및 해안선에 많은 변화를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선박의 안전한 입, 출항을 위한 항로에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도에 나타난 기준선인 최저저조면의 해양 기준면에 근거한 해안선(0 m선), 수심 2 m선. 그리고 지형도에 근거한 해안선(육지부분)으로 나누어 수치화하였으며 수치화 된 도면을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 건설, 신도시 개발, 방조제 공사 등의 서해 연안 개발에 따른 해안과 해저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았다.

준설공사시 부유사 확산 예측시스템의 개발 (A Prediction System of SS Induced by Dredging)

  • 정태성;김태식;강시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5
    • /
    • 2004
  • GUI를 이용하여 연안해역에서 항만개발, 방조제 건설, 준설 등의 해상 공사 시 발생하는 부유사(SS)의 이동 및 확산과정을 편리하게 예측할 수 있는 모의시스템(KUSSMOS)을 개발하였다. 모의시스템은 2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사용하여 해수유동을 모의하고, 입자추적모형을 사용하여 부유사 이송-확산을 모의한다. 군산해역 준설공사에 대해 수립된 시스템을 적용한 결과, 유속과 부유사 농도가 비교적 관측치와 일치하는 양호한 계산결과를 보였다.

위성영상의 신경망 분류에 의한 평안남도 온천군 해안지역의 환경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Coastal Area in Oncheon Gun of Pyeongnam Province by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Using Satellite Images, West Coast of North Korea)

  • 이민부;김남신;이광률;한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8-290
    • /
    • 2005
  • 본 논문은 1988년 Landsat TM 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신경망 분류법을 이용하여 북한 서해안 평남 온천군 해안지역의 지형 및 환경변화, 토지이용의 변화과정을 추정한 것이다. 연구지역 내에서도 변화가 특히 심한 광량만과 서부지역은 해상도 60cm의 Quick Bird 영상을 통해 정밀한 지표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인공신경망 기법은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보다 높은 분류 등급과 분석 오차의 감소 등 개선된 지표 피복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1988년 TM영상과 2002년 ETM 영상의 비교에 의한 측정 변화의 결과를 보면, 1988년 건설 중이던 광량만 방조제가 2002년에는 완성된 상태였다. 그리고 1988년의 간척지는 주로 염전으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2002년에는 염전과 함께 안정화된 간척지, 염전에서 전향된 논농사 지역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두드러진 변화는 간척된 염전이나 방조제 외곽에 새로운 간석지 지형이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북한 해안환경 변화의 database화, 북한의 합리적이고도 생산성 있는 토지이용에 대한 협력방안 강구, 통일 후 국토관리 및 계획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