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rea Change and Coastline Attribute Distribution of Coastal Erosion Zone in Anmyondo  

Kim, Baeck-Oon (Saemangeum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Kun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v.22, no.3, 2010 , pp. 143-14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Changes in coastline length and land area as well as coastline attribute distribution in Anmyondo were quantified by comparing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0's with coastline survey database compiled in 2003. Numerous reclamation has simplified complicated coastline, which resulted in reducing coastline length by 58% but increasing land area by 36%. In 2003, gravel coastline was mostly dominated. Coastline of tidal barrier also reached up to 33% of overall coastline. Gravel coastline occurred dominantly at the eastern side of Anmyondo, whereas sand coastline at the western side. An application of coastline attribute to coastal erosion zone required accurate coastline data, but it was conceived that the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0's was not useful for this purpose.
Keywords
modern age Korea 1:50,000 topographic map; coastline survey DB; coastal erosion; coastline attribute; coastline length; Anmyondo;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백운, 이창경 (2009). 해안 매립지에서 과거 해안선의 산정 (I): 항공사진의 이용.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1(5), 371-379.   과학기술학회마을
2 강대균 (2003). 해안사구의 물질 구성과 플라이스토세층. 대한지리학회지, 38(4), 505-517.   과학기술학회마을
3 강대균 (2004). 안면도의 해안지형과 경관-서쪽 해안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1(3), 75-84.
4 고의장, 이승곤 (2000). 태안 해안 국립공원의 관광 지형학적 특성. 지리학연구, 34(1), 27-37.
5 곽호제 (2009). 고려-조선시대 태안반도 조운의 실태와 운하굴착. 지방사와 지방문화, 12(1), 301-325.
6 노백호 (2007).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2(3), 344-354.   과학기술학회마을
7 배선학 (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93-103.
8 김선희 (2008). 오만분일지형도에 나타난 20세기 초 한반도의 지명 분포와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1), 87-103.   과학기술학회마을
9 김성환 (2005).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 사주의 지형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16-427.   과학기술학회마을
10 범선규 (2002). 영산강유역의 농경지개발에 따른 지형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14(3), 37-54.
11 양태진 (1998). 근세 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 경인문화사.
12 이경훈, 이윤균, 이성민 (2004). 수치지도상에서의 해안선 추출 및 국토면적 산정전략.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숍 논문집, 75-79.
13 이준선 (1998). 강릉지역의 저습지 개간과정. 문화역사지리, 10, 55-68.
14 김백운, 김부근, 이상룡 (2007).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9(4), 361-374.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조동오, 장학봉 (2003). 바다모래 수급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55 p.
16 허철호, 최상훈 (2007). 관광지질학 활성화를 위한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 개발에 관한 연구-태안해안국립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8(1), 75-86.   과학기술학회마을
17 황세열, 서병덕, 진준호 (2004). 우리나라 해안선 조사측량 및 DB구축 현황. 한국의 해안선 정립을 위한 워크숍 논문집, 2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