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안면

Search Result 5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atistical Properties of Group Velocity in Nonlinear Random Waves (비선형불규칙파의 군속도의 통계학적 특성)

  • 조용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137-141
    • /
    • 1993
  • 최근 천해역에서의 파랑의 변화양상에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괄목할만한 진전을 보였으나 그 연구범위가 단일한 형태의 파랑을 대상으로한 확정론적인 접근방법에 치우쳐 있었다. 그러나 해수면의 상당 부분은 언제나 불규칙한 파랑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이러한 불규칙성은 바람의 mechanical energy가 해수면으로 전이되는 과정에 기인하는 데 [Phillips, 1980] 따라서 파랑장의 해석에는 통계적인 방법이 이용되곤한다. (중략)

  • PDF

바이오 폴리머를 사용한 친환경 포장의 적용

  • Lee, Tae-Hyeong;O, Yeong-Tak;Gang, Mu-Seok;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43-45
    • /
    • 2018
  • 근래 국내 해안에서도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파랑에너지의 증가로 인해 해안침식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다공성 골재 포장 재료인 투수 바이오 콘크리트를 해안의 침식사면에 적용하고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파력저감 및 세굴방지와 식생이 복원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호안 사면의 시공과 함께 생겨날 수 있는 바닷가 친수공간에 다공성 포장으로 산책로를 시공하여 오염물질의 해안 유입을 저감하여 해안 생태계를 보호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하천에서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여 해안으로 연결되는 하천을 보호하는데 다공성 포장을 적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Morphological Correlation and Chronology of Lower Terrace Formations of Southeastern Coast of Korea (한국 남동해안 저위단구 퇴적층의 지형대비 및 형성시기 고찰)

  • Choi, Weon-Hack;Kim, Ju-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10a
    • /
    • pp.48-54
    • /
    • 2005
  • Terrace morphology is so conspicuous in the south eastern coastal areas. Coastal terraces can be divided into 5 main surfaces, including beach and coastal alluvial plain(AP, $4{\sim}5m$), Low Terrace(LT, 8 $^{\sim}$ 25m), Middle Terrace(MT, 36 $^{\sim}$ 55m), High Terrace(HT, 63 $^{\sim}$ 86m) and upper High Terrace(uHT, above 90m). Among them Lower Terrace Formation is distributed between 8m and 20m in altitude. Both Tephra deposited of LT2 formation and OSL datings of sand layers in LT 2 and LT 3 Formations support the age of the LT 2 formation is MIS 5d or 5e, most probably 5e. The age of LT 3 is interpreted MIS 5a, based on tephra production in organic mud layers and OSL dating of sand deposits just above the beach pebbles of the LT 3. Particularly the transgression, possibly equivalent to the well-known Monastirrian episode in the Mediterranean Sea.

  • PDF

Effect of Summer Sea Level Rise on Storm Surge Analysis (하계 해수면 상승이 폭풍해일고 분석에 미치는 영향)

  • Kim, A Jeong;Lee, Myeong Hee;Suh, Seung 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6
    • /
    • pp.298-307
    • /
    • 2021
  • Typhoons occur intensively between July and October, and the sea level is the highest during this time. In particular, the mean sea level in summer in Korea is higher than the annual mean sea level about 14.5cm in the west coast, 9.0 to 14.5cm in the south coast, and about 9.0 cm in the east coast. When the rising the sea level and a large typhoon overlap in summer, it can cause surges and flooding in low-lying coastal areas. Therefore, accurate calculation of the surge height is essential when designing coastal structures and assessing stability in order to reduce coastal hazards on the lowlands. In this study, the typhoon surge heights considering the summer mean sea level rise (SH_m) was calculated, an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of abnormal phenomena was reviewed by comparing it with the existing surge height considering the annual mean sea level (SH_a). As a result of the re-analyzed study of typhoon surge heights for BOLAVEN (SANBA), which influenced in August and September during the summer sea level rise periods, yielded the differences of surge heights (cm) between SH_a and SH_m 7.8~24.5 (23.6~34.5) for the directly affected zone of south-west (south-east) coasts, while for the indirect southeast (south-west) coasts showed -1.0~0.0 (8.3~12.2), respectively. Whilst the differences between SH_a and SH_m of typhoons CHABA (KONG-REY) occurred in October showed remarkably lessened values as 5.2~ 14.2 (19.8~21.6) for the directly affected south-east coasts and 3.2~6.3 (-3.2~3.7) for the indirectly influenced west coast,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e SH_a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increased summer mean sea level, so it is evaluated that it is overestimated compared to the surge height that occurs during an actual typho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discuss the feasibility of the surge height standard design based on the existing annual mean sea level, along with the accurat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surge height.

Development of Evacuation Algorithm from Coastal Inundation (해안침수 대피경로 알고리즘 개발)

  • Kim, Won Beom;Jung, Woo Chang;Son, Kwa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55-355
    • /
    • 2020
  • 최근 쓰나미와 해일 등 이상기후에 의한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한 해안지역의 침수가 빈번해지고 있다. 태풍 매미의 경우, 피해규모는 인명피해 130명, 이재민 4089세대 10975명, 재산피해 4조 7810억원이며 침수피해는 규모는 주택 21,015동과 농경지 37,986ha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태풍은 경남 사천시 부근 해안에 상륙할 때의 중심기압은 950hPa로 중심부근 최대풍속 40m/s 이었으며 풍속 15 m/s 이상으로로, 태풍의 강도는 [강], 크기는 [중형]이었음에도 그 피해는 과거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내륙과는 달리 해일 등의 피해로 인한 해안지역의 침수피해 저감기법은 월파방지 파라펫 설치 또는 침수예상 지역의 지반고를 높이는 이외에는 확실한 대책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따라서 해안지역 침수예방은 월파방지 파라펫과 함께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선행시간을 통한 대피안내와 가장 효율적인 대피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창원지역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해안지역 침수를 모의할 수 있는 2차원 부정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매미 당시 창원지역의 침수피해 결과와 비교하여 프로그램 모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해안을 따라 다양한 높이의 월파방지 파라펫을 모의하여 시간대별 대상지역의 침수규모를 시간대별로 예측하였다. 모의결과 월파방지 파라펫 규모 별 침수규모와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규모를 산정하였으며 경제성 원칙에 따른 최적의 파라펫 규모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때 시간대별 침수범위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등침수선을 제시하고 일정 시간대별 등침수선을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도로 경사와 대피자의 연령 등을 고려한 대피소요 시간을 산정하여 침수 소요 시간과 비교하여 대피가 가능한 대피경로를 제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알려진 대피경로와는 달리 다양한 침수저감 기법규모에 따라 다양한 대피경로를 제안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양한 대피 시나리오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투수 바이오 콘크리트를 사용한 해안침식 저감 방안

  • Lee, Tae-Hyeong;O, Yeong-Tak;Gang, Mu-Seok;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7-219
    • /
    • 2018
  • 근래 국내 해안에서도 해수면의 상승에 따른 파랑에너지의 증가로 인해 해안침식 현상에 대처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오고 있다. 본 연구는 해안침식을 저감시키는 방안으로 다공성 골재 포장 재료인 투수 바이오 콘크리트를 침식사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소재의 내구성과 해안수리의 반응특성의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기 수행된 북해 시공성과와 국내 해안에의 실제시공 및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파력저감 및 세굴방지와 식생이 복원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 PDF

Detection of Changes in Coastal Sand Dunes Using GIS Technique and Field Monitoring (GIS 기술과 현지 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안사구 변화 탐지)

  • Park, 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5
    • /
    • pp.511-521
    • /
    • 2002
  • Coastal sand dunes in West coast of Korea are under stress. Due to the newly constructed Seohaean(West Coast) Highways,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anthropogenic pressures will keep rising in near future. Sea level rise due to the global warming may cause a lot of damage to the natural resources and residents of coastal area. Therefore, many countries including United States are doing nationwide coastline survey using highly sophisticated methodology. In this study, high resolution IKONOS satellite images along with aerial photographs taken since 1960's have been sequentially analyzed using GIS software (Erdas Imagine 8.3). Onsite monitoring has been performed at the 31 measuring points in 10 beaches since the May of 2001 in order to measure the sand budget. Post-construction monitoring after installation of sand fences is also being done on sites regularly. Restoration works seem to be effective at this moment.

제주도 동부지역 수문지질에 관한 연구(I)

  • 박윤석;고기원;강봉래;함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81-84
    • /
    • 2002
  • 제주도 동부지역 구좌읍 한동리-송당리를 연결하는 직선상의 4개 지점에서 착정한 심부관측정에 대한 시추코어 지질검층과 심도별 수온ㆍ전기전도도 검층 결과, 제주도를 형성시킨 화산활동과 관련된 화산분출물(용암류 및 쇄설물)은 해수면하 136~170m 범위까지만 분포하고 있고, 그 하부에는 미교결의 U층(U Formation)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좌읍 한동리에 소재한 둔지봉(해발 280m)을 경계로 해안지역의 U층 상부에는 용암이 바다속으로 흘러갈 때 생겨나는 베개용암(Pillow Lava)이 분포하고 있음이 최초로 확인되었으며, 이 베개용암층을 통해 고염분지하수가 내륙쪽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담수지하수체 하부에 존재하는 고염분 지하수체는 해안에서 내륙쪽으로 오면서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기저지하수체(담ㆍ염수 혼합대를 형성하는 지하수체)는 해안으로부터 약 6~6km(해발 120~130m)지역까지 분포하고 있으며, 담수지하수 렌즈체의 두께는 이론적인 G-H비 보다 훨씬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ea Surface Cold Water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ind Effect (한국(韓國) 남동해안(南東海岸)부근의 해표면(海表面) 냉수(冷水) : 바람의 영향(影響))

  • Byun, Sang-Ky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24 no.3
    • /
    • pp.121-131
    • /
    • 1989
  • Cold water observed at sea surface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in summers 1982 and 1983 was studied by using data of hydrography, sea level, wind and satellite image. In summer season when water column shows 3-layered structure a "full" upwelling occurs by southwesterly transient wind continuing for several days. During upwelling event, surface water of high temperature moved offshore, middle water of low temperature outcropped to the sea surface, and sea level was lowered, however, equilibrium depth of surface layer was not changed. It may be concluded that cold water at the surface originates from middle layer and strong surface front is a result of surfacing of seasonal thermocline. In order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 of surface front and wind input, a model of Csanady (1982) was applied in a rigid lid approximation. The results show that frontal position can be determined by wind input and water structure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Cold water in summer can appear at the sea surface only when there is wind larger than a minimum wind impulse of order $10m^2/sec$.

  • PDF

Production of Flood Expectation Map in the Reclaimed Land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3차원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안 매립지역 침수예상도 제작)

  • Lee, Jae-On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4
    • /
    • pp.97-102
    • /
    • 2007
  • Recently, coastal damage according to the natural disaster like storm-surge, overflowing of the sea has been massively increased. In case of earth fill at the seaside, there are a lot of weak areas of the natural disaster and it has also high possibility that a large disaster happens. Thus flood expectation map in the reclaimed land using 3D spatial information was produced in this study. The area around Myungji, Kangsugu, Busan which was made with the large scale earth fils at the seaside was designated as a study area. Observation of both costal datum and ground height using the tidal date and field surveying dates was conducted. Terrain model using the GIS program was produced and than 3D building model was produced using 3D MAX. It was shown that there are possibility more than 50% if over 4.5m storm-surge is happening,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virtual flooded area on the produced cartographic ma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