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시계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nstallation of Sundials at National Youth Space Center

  • Shin, Yong-Cheol;Kang, Wonseok;Kwon, Sun-Gill;Lee, Sang-Ga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2
    • /
    • pp.52.2-52.2
    • /
    • 2016
  • 해시계는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통해 시간과 좌표계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는 도구 중 하나이다. 국립고흥청소년 우주체험센터에서는 지평면 해시계와 수직 해시계를 덕흥 천문대에 설치하였다. 지평면 해시계는 관측자 자신의 그림자로 시각을 알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관측자가 서는 곳에 아날렘마, 매월 1일의 위치 및 각 절기를 표기하여 균시차를 보정할 수 있게 하였다. 벽면 해시계는 가로 1.8m, 세로 1.8m 크기로 황동 주물제작하여 정남향으로 설치하였다. 눈금의 간격은 15분이며 균시차 보정은 하지 않았다. 두 해시계 모두 실제 센터의 경도에 맞춰 설계했으며 표준시와 시간차이를 보이게 했다. 지평면 해시계와 수직 해시계는 센터를 찾아오는 방문객에게 과학적 호기심을 일으키는 야외 체험전시물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해시계를 활용한 실험체험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이 시간과 좌표계의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nstallation of Sundials for Youth (청소년 교육을 위한 다양한 해시계의 제작 및 설치 계획)

  • Shin, Yong-Cheol;Lee, Yong-Bok;Lee, Sang-Gak;Kang, Wons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0 no.1
    • /
    • pp.87.2-87.2
    • /
    • 2015
  •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는 1m 반사 망원경의 완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천체 망원경으로 관측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천구 좌표계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본 센터에서는 천구의를 활용한 프로그램 이외에는 시간과 좌표계를 다루는 체험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다. 센터에서는 참가자가 자신의 그림자로 시각을 알 수 있는 지평면 해시계, 센터에서 쓰지 않고 있는 구형 가마솥을 재활용한 앙부일구, 덕흥 천문대 교육동의 벽에 벽면 해시계의 제작 및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차후 이를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참가자에게 제공한다면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통해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을 쉽게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과학적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obile Sundial (모바일 해시계)

  • Lee, Yu-Ri;Park, Ji-Young;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7a
    • /
    • pp.303-304
    • /
    • 2012
  • 본 눈문은 시각의 중요 수단으로 여겨지는 빛보다, 새로운 시각 표현 방법인 그림자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한 작품 에 대한 것으로 은 전통 시계인 해시계로부터 모티브를 얻었다. 이는 아두이노 보드(Arduino Board)와 SSR(Solid State Relay), 거리감지 센서, 220V 전구 등을 이용하여 제작했다. 이는 전구가 순차적으로 켜지면서 시계방향으로 그림자가 생기는 것을 작동 원리로 한다. 이 작품은 관객 참여를 바탕으로 하며 추후에 모바일 응용 분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 PDF

Analysis on the Korea's Treasure No.840, a Stone-carved Horizontal Sundial

  • Mihn, Byeong-Hee;Lee, Yong Sam;Kim, Sang Hyuk;Choi, Won-Ho;Ham, Seon Young;Choi, Go-e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48.2-48.2
    • /
    • 2017
  • 우리는 문화재청에서 제공한 보물 840호의 3D 스캔 자료를 이용하여 이 해시계의 위도와, 영침의 길이와 형태, 그 위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에는 조선후기 돌널판에 제작된 지평일구가 남아있다. 보물로 지정된 두 유물 중 840호에 새겨진 신법지평일구라는 명문에 의거하여 이 해시계 명칭이 사용되었다. 서양의 구면천문학을 적용하여 제작된 이 지평일구는 단지 시각선과 절기선이 새겨져 있고, 그 밖에 핀 모양의 홈과 깊은 구멍 하나가 흔적으로 남아 있다. 우리는 지평일구의 시각선이 수렴하는 점을 직교좌표의 원점으로 삼았다. 3D 스캔 자료에서 시각선의 연장선은 한 점이 아닌 원점 근처에서 수 mm 이내에서 분산되었다. 각 시각선마다의 원점을 설정하여 계산한 해시계의 위도는 평균 $37^{\circ}\;15^{\prime}{\pm}26^{\prime}$을 보였고, 이는 보물 840호 명문의 37도 39분과 24'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우리의 분석에 따르면 시반의 구멍은 영표가 서있는 위치였으며, 영표의 길이는 $43.7{\pm}0.7mm$로 핀 모양 홈의 길이인 43.1 mm에 근접하였다. 이를 통해 이지평일구는 북극을 지시하는 삼각영표가 아닌 수직의 핀 모양의 영침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Yanggyeonggyuilui(兩景揆日儀) in Joseon Dynasty

  • Lee, Yong Sam;Kim, Sang Hyuk;Mihn, Byeong-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1
    • /
    • pp.86.2-86.2
    • /
    • 2014
  • 양경규일의(兩景揆日儀)는 세 개의 목판을 이용하여 시간과 계절을 알 수 있는 조선후기에 사용한 해시계이다. 이상혁(李尙赫)과 남병철(南秉哲, 1817~1863)은 각각 "규일고(揆日考)"와 "의기집설(儀器輯說)" "양경규일의(兩景揆日儀)"에 이에 대한 설명과 제작법 등을 기술하였다. 현존하는 양경규일의의 유일한 유물은 헌종 15년(1849)에 제작한 것으로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횡표입표일구(橫表立表日晷)라는 이름으로 전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세부적인 검토와 연구가 미진하여 많은 문헌과 인터넷 사이트에는 잘못된 설명이 제시되고 있다. 문헌기록을 살펴보면 계절이 표시된 2개의 입판(立版)과 또 다른 2개의 횡판(橫版)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절후는 13개 곡선의 절후선 사이에 초후(初候) 중후(中候) 말후(末候)로 3등분하여 모두 37개의 절후선이 그려져 있고, 12시(時) 시간을 알리는 표시가 있다. 우리는 이상혁과 남병철의 문헌에 대한 세세한 분석을 통해 과학적 원리분석과 복원 설계 등을 진행하고, 실제 유물을 재현하여 천문학적 검증작업을 통해 과학적 규명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이와 유사한 동서양의 해시계와 서로 비교하였다.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세종 이도(1397~1450년)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1 s.368
    • /
    • pp.27-29
    • /
    • 2000
  • 조선조 4대 임금 세종은 32년 재임하는 동안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큰 업적을 남겼다. 본명이 이도인 세종은 한글을 만들어 보급했고 특히 천문학에 놀라운 공을 세웠다. 칠정산을 완성해 일식, 월식 등 천체운동을 미리 알아냈다. 세종은 경복궁 경회루 둘레에 온갖 규모의 천문기구 즉 혼천의와 간의, 규표와 동표, 자격류, 해시계, 측우기, 수표 등을 세워 서양보다도 앞선 과학기술의 꽃을 피웠다.

  • PDF

The history of conic sections and mathematics education (원뿔곡선의 수학사와 수학교육)

  • Jin, Man Young;Kim, Dong Won;Song, Min Ho;Cho, Han Hyuk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5 no.4
    • /
    • pp.83-99
    • /
    • 2012
  • The conic sections are defined as algebraic expressions using the focus and the directrix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is difficult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conic sections without environment which they can manipulate the conic sections. To make up for this weak point, we have found the evidence for generating method of a conic section through a sundial and investigated the history of terms 'focus', 'directrix' and the tool of drawing them continuously.

A Study on the Il-seong-jeong-si-ui (日星定時儀) in King Sejong Era

  • Kim, Sang Hyuk;Mihn, Byeong-Hee;Lee, Yong Sa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63.1-63.1
    • /
    • 2016
  • 일성정시의는 표준시보장치인 보루각루의 시각을 교정하는 천문시계로 알려져 있다. "세종실록"에 기록된 김돈(金墩,1385~1440)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의 서(序)와 명(銘)에는 기기의 상세한 구조와 치수, 그리고 사용법을 소개하고 있다. 우리는 실록의 기록을 분석하여 세 종류의 일성정시의로 구분하였다. 또한 Needham et al. (1986)의 연구와 비교하여 일구백각환, 성구백각환, 주천도분환, 계형 등의 사용법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해시계와 별시계로써의 일성정시의의 시간 측정 정밀도를 제시하였다.

  • PDF

A Design and Effect of STEAM PBL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수학사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젝트기반학습(STEAM PBL)의 설계 및 효과 분석)

  • Lee, Minhee;Rim, Haemee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1
    • /
    • pp.159-177
    • /
    • 2013
  •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STEAM education. We hav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ggested teaching method, and analysed the result for exploring the potential and effect of STEAM.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Science (S) is related to the 24 divisions of the year, the height of the sun, the movement of heavenly bodies. Technology (T) is related to the exploration with graphic calculators. Engineering (E) is related to design sundial and research on the design principles. Art (A) is related to literature review about mathematical history,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he mathematics. Mathematics (M) is related to the trigonometric functions. We have considered that Project-Based Learning is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for STEAM education, we have designed the STEAM PBL and analysed the results focused on the developing integrative knowledge, mathematical attitude including mathematical value, the competencies of 21 centur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e find that STEAM education activates students' collabora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improves representa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lso STEAM education makes positive changes of students' mathematical attitudes including the values of the mathema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