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침투 저감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astal seawater intrusion mitigation research by negative and positive hydraulic barriers (해수양수공법과 담수주입공법의 해안지역 지하수 해수침투 저감 효과)

  • Jung, Eun Tae;Park, Nam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3-83
    • /
    • 2015
  • 최근 수자원 이용량의 증가 및 수자원 공급의 부족에 따라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지하수 이용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내륙 지역의 지하수 개발 시와 비교할 때 해안 지역의 지하수 개발에는 해수침투 현상에 대하여 추가적 고려가 필요하다. 알려진 바와 같이 해안 지역의 과잉 양수와 해수면 상승 으로 해수침투가 더욱 깊이 침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정략적인 해수 침투길이 산정과 더불어 해수침투를 허용가능한 범위 내로 제한 시키는 지하수 개발이 필요하다. 해수침투 저감 공법에는 저투수차수벽 설치, 담수주입공법, 해수양수공법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저투수차수벽의 해수침투 저감 효율은 크지만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으로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담수주입공법은 대수층에 담수를 주입하여 해수침투를 저감시키는 공법으로 인근에 양질의 수원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해수양수는 해안가에 양수정을 설치하여 해수침투를 저감시키지만 양수정에서의 담수가 혼합되어 담수낭비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중 담수주입과 해수양수공법의 효율을 검증하고 각각 공법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지하수 경계면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수리수문 변수들이 미치는 영향과 해수침투 정도를 사례별로 연구하였다. 담수주입공법의 경우 담수주입량 많을수록 해수침투가 저감되는 경향이 있지만 최적의 담수주입량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해수양수공법에는 해수양수량이 증가하고 해수양수정의 위치가 해안선에 접할수록 해수침투 저감 효과가 있었다. 담수주입공법과 해수양수공법을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 해안가에 적용할 경우 해당 지역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여 적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Using Tidal Fluctuation (조위 변화를 이용한 무동력 해수침투 저감 방법에 대한 실험연구)

  • Nam, Byunghee;Park,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1-91
    • /
    • 2018
  • 해안 및 도서지역의 경우 다양한 목적으로 지하수를 개발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은 내륙의 담수와 해안의 바닷물이 대수층에서 만나게 되는데, 비중차이에 의해 섞이지 않고 해수-담수 경계면을 가지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담수영역에 위치한 지하수개발관정의 과잉양수와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해 해수침투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기존 해안지역 지하수개발관정이 해수로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수침투로 오염된 대수층의 경우 회복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취수원으로 사용이 어렵게 된다. 국내외에서는 해수침투저감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 해수침투 저감방법으로는 해수양수로 내륙으로 침투하는 해수를 제거하거나 담수 주입으로 침투 하는 해수를 밀어내게 된다. 또는 지하 차수벽 설치로 해수침투를 조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해수침투 저감방법들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적용지역에 적절한 해수침투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해수침투 저감 방법의 경우 공통적으로 해수양수, 담수 주입을 위한 동력조달 혹은 차수벽 설치비용과 같이 경제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위를 이용한 무동력 해수침투 저감 방법을 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기존 해수침투 저감방법과 비교해서 설치 및 운영비측면에서 장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nalysis of Reduction Effect of Seawater intrusion Zone through Groundwater Management in Yeo-su Region (여수지역의 지하수위 관리를 통한 해수침투 영역 저감 효과 분석)

  • Kim, Il-Hwan;Yang,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9-119
    • /
    • 2017
  • 기후 온난화로 인하여 빙하의 해빙과 해수의 팽창으로 해수면의 상승 속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48mm/yr로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남해는 2.89mm/yr로 가장 크게 상승하고 있다. 해수면의 상승과 더불어 해수침투 영역 확장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수위 또한 낮아지고 있어 해수침투에 대한 피해를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해수침투로 인한 피해는 연안지역에서부터 시작하여 점점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해수침투 피해는 직접적으로 토지의 염수화로 지하수의 오염, 농작물의 염수 피해, 주변 생태계의 교란 등으로 나타나고 한 번 염수화가 진행된 지역을 되돌리는 것은 많은 노력과 재화가 들어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수침투 범위가 증가하는 것이 해수면의 상승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해수침투 쐐기를 구성하는 담수 지하수위가 낮아지면 더욱 가속화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의 여수지역을 SEAWAT으로 구성하여, 현재의 상황을 나타내고 지하수위, 해수면, 지하수 이용량, 함양량 등을 대상으로 선형적인 상승 혹은 하강으로 미래의 상황을 나타내었다. 적용된 시나리오에 지하수위 관리 방안을 적용하여 해수침투 영역 저감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지하수위 관리 방안으로는 지하수위 하강 시기에 지하수 이용량 규제, 도심지에서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물 중 침투 증진 시설 보강 등을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시나리오를 통해 해수침투 영역 저감 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위의 관리는 해수침투에 대한 피해 방지와 더불어 지속가능한 지하수 이용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seawater intrusion countermeasures considering future sea level rise in Yeosu region using SEAWAT (SEAWAT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여수지역 해수침투 저감 대책 효과 분석)

  • Yang, Jeong-Seok;Lee, Jae-Beom;Kim, Il-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6
    • /
    • pp.515-521
    • /
    • 2018
  • Seawater intrusion areas were calculated in Yeosu region considering sea level rise and the effects of countermeasures for seawater intrusion were analyzed using SEAWAT program. The estimated seawater intrusion area was $14.90km^2$ in 2015. When we applied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area was changed to $19.19km^2$ for RCP 4.5 and $20.43km^2$ for RCP 8.5 respectively. The mitigation effects by artificial recharge with total $50m^3/d$, $100m^3/d$, and $300m^3/d$ are from 3.75% to 10.68% for RCP 4.5, and from 5.82% to 10.77% for RCP 8.5 respectively. If we install barrier wall with the thickness 0.8 m, 1.3 m, and 1.8 m, the mitigation effects are from 6.67% to 12.04% for RCP 4.5, and from 6.17% to 14.98% for RCP 8.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 a logical means of quantitative grounds for policy decisions to prev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and subsequent secondary damage in coastal areas.

Evaluation of salt water intrusion and soil salinization in agricultural reclaimed lands by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에 따른 간척지의 해수침투 및 염류화 영향 평가)

  • Jung, Euntae;Park, Namsik;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3-223
    • /
    • 2019
  •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해안 지하수의 해수침투를 야기해 해안 지하수의 염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해수면 상승은 토양 염류화를 심화시켜 농작물에 피해가 발생하며, 지하수위를 증가시켜 불포화대의 토양두께가 감소한다. 이처럼 지하수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포화대와 토양 염류화가 발생하는 불포화대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대부분 포화대와 불포화대 연구는 별도로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간척지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포화대의 해수침투 및 불포화대의 토양염류화 영향을 연계하여 모의하였다. 포화대 모의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개발한 3차원 이송확산 모델인 SUTRA, 불포화대 모의는 미국환경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에서 개발한 1차원 이송확산모델인 VADOFT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IPCC에서 공표한 바와 같이 RCP 4.5와 RCP 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고, 미래 2100년까지 자료를 사용하였다.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라 해수침투 및 토양염류화 면적 그리고 지하수위 및 불포화대 토양두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한반도 91개 간척지에 대해서 모의를 수행하였고,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지하수 해수침투 면적이 $82.19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83.71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양 염류화 면적은 과거 대비 미래 후반기 RCP 4.5 시나리오에서는 $22.25km^2$, RCP 8.5 시나리오에서는 $24.86km^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수호 또는 저수지가 있는 대상 지역에서는 해안선으로부터 거리 및 관리 수위가 해수 침투를 야기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해수침투 저감을 위해서는 해안선 인근 저수지 수위의 적절한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안선의 위치변화와, 기존 관정에서의 양수량, 강수량 변화를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위의 세 가지 사항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iveness of Double Negative Barriers for Mitigation of Se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Sharp-Interface Modeling Investigation (경계면 수치 모델을 이용한 해안 지역 이중 양수정의 해수침투 저감 효과)

  • Jung, Eun Tae;Lee, Sung Jun;Lee, Mi Ji;Park, Nam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87-1094
    • /
    • 2014
  • Saltwater pumping method can be used to mitigate salt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 However, the saltwater pumping well may discharge large freshwater along with saltwater, thereby wasting precious resources. A double negative barrier was proposed: an inland well to capture freshwater and a saltwater well near the coastline to pump saltwater. A previous study anaylzed effects of double negative barriers in dispersion-dominated coastal aquifers and determined the critical pumping rate at the saltwater well which minimized the saltwater ratio at the freshwater well. However, the study resulted in 1~15% of saltwater ratios, which were too high, for example, for drinking water standards. This study analyzed cases that were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y, but for advection-dominated cases, and found that freshwater with sufficiently low saltwater ratios could be developed at the freshwater well. In addition, for optimal groundwater management of a watershed not only the minimum saltwater ratio at the freshwater well but also the least freshwater wasted at the saltwater well must be pursued.

영광 해안지역 염수지하수의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특성연구

  • Ji, Se-Jeong;Jang, Ho-Wan;Kim, Nak-Hyeon;Kim, Tong-Gwon;Yun, Uk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3-107
    • /
    • 2003
  • 임해지역의 도시팽창과 산업화는 각종 용수공급을 위해 지하수의 양수할 경우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의 염수화를 야기 시켜, 지하수의 해수기원의 성분에 대하 농도변화에 의해 식수나 관개용수로의 지하수 사용에 부적합한 사례들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Barker et at., 1998; Bear et al., 1999). 임해지역에서 해수침투의 영향에 대한 저감화를 위해 지하수의 수리지질학적 및 수리지구화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중략)

  • PDF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제주도 성산유역의 담수와 염수 지하수 개발의 영향)

  • Park, Namsik;Koh, Byoung-Ryoun;Lim, Youngduc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7
    • /
    • pp.783-794
    • /
    • 2013
  • Saline groundwater, in addition to fresh groundwater, is actively developed for inland aqua culture in Jeju Island where groundwater is practically the only source of freshwater. In this work we analyzed impacts of saline and fresh groundwater development on groundwater systems in Sungsan subwatershed in Jeju. A sharp-interface model was used to simulate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flows. Withdrawal of freshwater imparted adverse impacts by lowering groundwater level and inducing saltwater encroachment. Withdrawal of saline water imparted mixed results: on one hand it lowered ground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it reduced saltwater encroachments. However, freshwater development lowered groundwater level much more than salinewater development did. Modified Ghyben-Herzberg ratio was developed for a transition zone with finite width. Comparison against observed data resulted in fair agreement.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Affected by the Seawater Intrusion near Simulated Underground Storage Caverns in the Coastal Area (임해지역의 모의 지하 비축 시설 주변에서 해수 침투에 의한 지하수 유동 특성)

  • 황용수;배현숙;서동일;김경수;김천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9 no.1
    • /
    • pp.17-29
    • /
    • 1999
  • There are three major processes to impact the groundwater flow near underground storage caverns in the coastal area; effect of topography, effect of sea water intrusion, and effect of excavation.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three items were numerically studied to identify the major cause for altering the flow pattern. It turned out that the excavation i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The groundwater pressure distributions and consequent groundwater pathways were significantly altered near the openings. By increasing the groundwater pressures from water curtain holes, the potential leakage of storage cavern was properly prevented

  • PDF

Fresh Water Injection Test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for the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시험)

  • Shin, Je-Hyun;Byun, Joong-M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4
    • /
    • pp.371-379
    • /
    • 2010
  • Fresh water injection test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was applied as an efficient approach to lower saline concentrations in the saltwater-freshwater transition zone formed by seawater intrusion in a coastal area. The methodology and effectiveness of fresh water injection for hydraulically controlling seawater intrusion is overwhelmingly site dependent,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characterize the permeable fractures or unconsolidated porous formations which can allow for seawater flow and transport. Considering aquifer characteristics, injection and monitoring boreholes were optimally designed and completed to inject fresh water through sand layer and fractured bedrock, respectively. We devised and used the injection system using double packer for easy field operation and maintenance. Overall fracture distribution was systematically identified from borehole image logs, and the section of fresh water injection was decided from injection test and monitoring. With fresh water injection, the flui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onitoring well started to be lowered by the inflow of fresh water at the specific depth. And this inflow leaded to the replacement of the fluid in the upper parts of the borehole with fresh water. Furthermore, the injection effect lasted more than several months, which means that fresh water injection may contribute to the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in a coast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