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수면 온도의 변화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robability Precipitation Estimation according based on Sea Surface Temperature (해수면온도 변동에 따른 확률 강우량 산정)

  • Park, Myeong-Sun;Oh, Tae-Suk;Moon, Young-Il;Yoon, Sun-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37-13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생하는 자연재해의 형태는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한강우사상의 발생 빈도의 양상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효과를 반영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기상청에서 관측하고 있는 서울지점을 대상으로 일강우자료를 활용하여 강우사상의 변화특성에 대한 변동성과 경향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지역가중인자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마지막으로 수문기상인자인 해수면온도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변화한다고 가정하여 미래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 PDF

Analysis of Saltwater Intrusion Effects into Coastal Aquifers in Ko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Effects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한 한반도 해안지역 대수층의 해수침투 영향 분석)

  • Yang, Jeong-Seok;Nam, Jae-Joon;Park, In-Bo;Kim, Sangd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1B
    • /
    • pp.71-85
    • /
    • 2011
  • Saltwater intrusion effects of coastal aquifers in Korea peninsula were analyzed through trend analysis with groundwater level, seawater level, seawater temperature, and electrical resistivity(EC) data sets. Groundwater level and EC data sets from 27 coastal reg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Groundwater level was stable for all the regions however EC data showed stable or changing trends (9 increasing, 10 stable, and 8 decreasing regions). Seawater temperature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14 regions and they are increasing for most regions (12 increasing and 2 stable regions). Seawater level was also collected and analyzed for 24 regions and is rising for most regions (18 rising, 3 stable, and 3 falling regions). Especially, west cost regions have stronger increasing tendencies of seawater level, seawater temperature, and EC than eastern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Therefore the saltwater intrusion problem can be serious for west cost regions in Korea peninsula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minimize the damages from saltwater intrusion.

A Study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hanges over long and short-term scale within and across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95 and 1997 (이산화탄소의 장.단주기적 농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송기범;윤용훈;오상인;이현지;김기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395-397
    • /
    • 2000
  • 지난 100 여 년 동안 지상 대기와 해수면 온도는 온실기체의 증가로 인해 0.3~0.6 $^{\circ}C$ 가량 상승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IPCC, 1995). IPCC의 예측에 따르면 2030년경에는 $CO_2$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의 두 배에 달하게 되며, 지구 평균기온이 1.5~4.5 $^{\circ}C$ 상승하여, 해수면이 20 cm 정도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2100년경에는 기온이 약 3~6.5 $^{\circ}C$, 해수면은 약 65 c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IPCC, 1995). (중략)

  • PDF

Forecasting of Sea-Level Rise using a Semi-Empirical Method (반경험식법을 이용한 미래 해수면 상승 예측)

  • Kim, Tae-Yun;Cho, Kw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9 no.1
    • /
    • pp.1-8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dicted sea-level rise for RCP 4scenarios(RCP 2.6, RCP 4.5, RCP 6.0, RCP 8.5). To calculate sea-level rise, a semi-empirical method was used and it needs atmospheric temperature rise for each scenario.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ea-level has been rising steadily in all scenarios. By 2050 the maximum difference of sea-level rise between the scenarios was within 0.08 m, but its difference was showed more than 0.5 m in 2100. The values of sea-level rise for RCP 2.6, RCP 4.5, RCP 6.0, RCP 8.5 scenarios are 0.87 m, 1.21 m, 1.02 m, 1.36 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RCP 8.5, the slope of atmospheric temperature rise since 2060 was very steep compared to the other scenarios so that the maximum difference of sea-level rise between the scenarios will be much larger after 2100. Estimated by a simple approximation, the maximum difference of sea-level rise can be more than 1.2 m in 2120.

Marine Heat Waves Detection in Northeast Asia Using COMS/MI and GK-2A/AMI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2012-2021) (천리안위성 해수면온도 자료 기반 동북아시아 해수고온탐지(2012-2021))

  • Jongho Woo;Daeseong Jung;Suyoung Sim;Nayeon Kim;Sungwoo Park;Eun-Ha Sohn;Mee-Ja Kim;Kyung-Soo H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1
    • /
    • pp.1477-1482
    • /
    • 2023
  • This study examines marine heat wave (MHW) in the Northeast Asia region from 2012 to 2021, utilizing geostationary satellit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Meteorological Imager sensor (MI) and GEO-KOMPSAT-2A (GK-2A)/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sensor (AMI)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Our analysis has identifi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MHW events, especially post-2018, with the year 2020 marked by significantly prolonged and intense events. The statistical validation using Optimal Interpolation (OI) SST data and satellite SST data through T-test assessment confirmed a significant rise in sea surface temperatures, suggesting that these changes are a direct consequence of climate change, rather than random variations. The findings revealed in this study serve the necessity for ongoing monitoring and more granular analysis to inform long-term responses to climate change. As the region is characterized by complex topography and diverse climatic conditions, the insights provided by this research are critical for understanding the localized impacts of global climate dynamics.

Retrieval of Oceanic Skin Sea Surface Temperature using Infrared Sea Surface Temperature Autonomous Radiometer (ISAR) Radiance Measurements (적외선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양 피층 수온 산출)

  • Kim, Hee-Young;Park, Kyung-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1 no.6
    • /
    • pp.617-629
    • /
    • 2020
  • Sea surface temperature (SS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limate change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can be divided into skin sea surface temperature (SSST) observed by satellite infrared sensors and the bulk temperature of sea water (BSST) measured by instruments. As sea surface temperature products distributed by many overseas institutions represent temperatures at different depths,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SST and the BSST.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n observation system of infrared radiometer onboard a marine research vessel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o measure the SSST. The calibration coefficients were prepared by performing the calibration procedure of the radiometer device in the laboratory prior to the shipborne observation. A series of processes were applied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of the layer of radiance emitted from the sea surface as well as that from the sky. The differences in skin-bulk temperatures were investigated quantitative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structure of temperatures in the upper ocean were understood through comparison with Himawari-8 geostationary satellite SSTs. Comparison of the skin-bulk temperature differences illustrated overall differences of about 0.76℃ at Jangmok port in the southern coast and the offshore region of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21 April to May 6, 2020. In addition, the root-mean-square error of the skin-bulk temperature differences showed daily variation from 0.6℃ to 0.9℃, with the largest difference of 0.83-0.89℃ at 1-3 KST during the daytime and the smallest difference of 0.59℃ at 15 KST. The bias also revealed clear diurnal variation at a range of 0.47-0.75℃.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d ski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showed a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ely 0.74℃ and a bias of 0.37℃. The analysi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in the skin-bulk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depth. This suggests that further ocean shipborne infrared radiometer observations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the offshore regions to understand diurnal variation as well as seasonal variations of the skin-bulk SSTs and their relations to potential causes.

Regional optimization of an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for the retrieval of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Korean Sea area using NOAA/AVHRR data (NOAA/AVHRR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의 해수면온도 추출을 위한 지역적인 대기보정 알고리즘의 적용)

  • Yoon, Suk;Ryu, Joo-Hyung;Ahn, Yu-Hwan;Won, Joong-S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64-169
    • /
    • 2008
  • 한국해양연구원에서 수신한 자료인 NOAA 12, 16, 17, 18호등의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AVHRR) 센서자료와 국립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해양실측자료인 정선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의 알고리즘 적용을 통하여 비교 및 분석을 해보고자 한다. 연구 기간은 2006년 1월부터 4월 자료 중 구름의 영향이 없는 영상에서 실측자료와 동일한 날짜 총 107개의 정점 값을 추출하였다. 위성 자료에서 해수면 온도 추출방법은 split window 방법으로, 고정계수 값을 사용하는 linear algorithm(MCSST), nonlinear algorithm(NLMCSST)을 이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동해, 황해, 남해 지역에 대한 지역별로 두 알고리즘을 비교 적용하였다. 전 해역의 값을 이용하여 위성자료와 실측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linear algorithm방법의 평균 오차 값은 0.71$^{\circ}C$이고 상관도는 1%이고, nonlinear 방법의 오차 값은 0.35$^{\circ}C$ 상관도는 1%로 나타났다. 해역별로는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해는(ES)는 R=1, 오차 값은 0.37$^{\circ}C$ 황해(YS)는 R=0.99 오차 값은 0.125$^{\circ}C$ 남해(SS)는 R=0.99 오차 값은 1.2$^{\circ}C$보였다. non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동해는(ES)는 R=1, 오차 값은 0.4$^{\circ}C$ 황해(YS)는 R=0.99 오차 값은 0.13$^{\circ}C$ 남해(SS)는 R=0.99 오차 값은 0.82$^{\circ}C$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동해와 황해지역은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가 실측자료와의 오차 값이 작았고, 남해지역은 linear한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보다 nonlinear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이 작은 오차 값을 보여주었다. 이는 남해 해역의 자료가 대기의 상태나 다른 영향을 받아 해수면온도 값이 추정된 것으로 보여 진다. 해역별로 최적화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수면온도의 산출을 통해서 위성자료의 정밀도 지구환경변화 모니터링 등 많은 연구에 위성자료의 활용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into East Sea along the Shoreline of Southern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한반도 동해안 유출 지하수에 대한 연구)

  • Kim, Hyeong-Su;Kim, Seong-Ju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4 no.1
    • /
    • pp.71-84
    • /
    • 2001
  • A study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into the sea could be used as a possible water resources. This paper presents a preliminary information about the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along the shoreline of East Sea. Major discharge sites were selected primarily on the basis of the informaion on surface temperatures of the sea. Hydrogeologic and geographic conditions were also considered in selecting the major discharge site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discharging groundwater were estimated roughly, considering populations, industries and social development compatibilities of the selected areas. Groundwater dams and linked usage with surface water were suggested as possible development methods for the groundwaters.. Based on this study, we selected about 60 sites as the major discharge areas and tentatively recommended 6 sites as optimal sites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s being discharged into the sea. However, detailed in-situ hydrogeologic surveys are required prior to the final decision.

  • PDF

Global Wanning and Trends of Typhoon Variation (지구 온난화와 태풍의 변화 경향)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238-239
    • /
    • 2010
  • 근래, 이산화탄소로 대표되는 온실효과 기체의 증가에 동반하여 대류권의 기온이 정정 상승하는 지구 온난화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지구 온난화가 지속되면 해수면온도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해빙 면적의 축소와 해수면 상승이 동반된다. 이와 같은 지구 온난화의 상황이 지속되면 이상기상이 지구상 각지에서 빈발할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장기간의 태풍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태풍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태풍의 발생 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태풍의 세기는 서서히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태풍의 이동경로 중에서 정상진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서진형진로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최근에 들어 통해(또는 일본)를 통과하면서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수가 증가하는 반면 서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가장 큰 기상재해를 입히는 남해를 통과하는 태풍의 수는 시계열 상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Changes on Mixed Layer Depth with Climate Variability : SCHISM model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 변화양상 검토: SCHISM 적용)

  • Yoo, Hyung Ju;Lee, Joon-Soo;Kim, Dong Hy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3-273
    • /
    • 2022
  • 혼합층(Mixed layer)은 온도가 일정한 수심층으로, 해수표면에 작용하는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여 해수가 위아래로 섞여 형성된다. 이러한 혼합층은 영양염의 순환과 산소의 공급 등과 함께 일차생산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혼합층 두께의 변동은 양식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해양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여 수산업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강원연구원, 2017). 이에 국립수산과학원, 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 등 유관기관에서는 정선해양 수온 관측 및 해수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혼합층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으나 격자 구축 및 초기·경계장 설정의 한계가 존재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혼합층 분석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격자를 사용하여 격자 구축에 제약이 없는 SCHISM (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연안해역의 계절변화 및 기후변동성에 따른 혼합층 두께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서해·동해·남해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체 연안 해역(위도: 32°N ~ 39°N, 경도: 124°E ~ 132°E)으로 선정하였으며, 격자크기 100 ~ 3,000 m인 삼각격자로 격자를 구축하였다. 혼합층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직격자 층은 50층으로 SZ(Sigma Z coordinate system)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초기·경계장은 FES(Finite Element Solution)2014, HYCOM(Hybrid Coordinate Ocean Model) 및 대기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설정하였다. 수치모형 검증을 위하여 수온관측소에서 수심별 측정한 수온 값과 SCHISM 결과 값을 비교하였고, 상대오차가 약 10% 이내로 나타나 모형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해수면 상승 및 해수온 상승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계절별 연안해역의 혼합층 두께의 변화 양상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한 대기모델과의 혼합모형 구축 및 다양한 수심 별 관측자료를 활용한다면 실무에서 적용 가능한 혼합층 분석 및 수산업 피해 발생 지역에 대한 피해저감 대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