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송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1초

망실 내 해송 묘목에서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이동에 관한 연구 (Movement of Monochamus alternatus Hope (Coleoptera: Cerambycidae) Adults among Young Black Pine Trees in a Screen Cage)

  • 김동수;이상명;김철수;이동운;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6
    • /
    • 2011
  •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이동상황을 해송 유묘가 심겨진 망실 내에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총 15본의 묘목 중에서 암컷 1마리가 총 실험기간 동안 이동 방문한 묘목 수는 6.4본, 하루 평균 0.2본을 옮겨 다녔으며, 수컷은 총 실험기간 동안 7.2본, 하루 평균 0.3본을 이동하였다. 밤낮의 시간대별로 이동한 횟수를 조사한 결과 암컷은 74.6%가, 수컷은 80.7%가 밤 시간대(17시~08시)에 이동하였다. 성충이 한 기주에 머무는 기간은 최대 7일이었는데, 동일 기주에서 1~2일간 머무는 비율은 암컷의 경우 72.6%, 수컷의 경우 76.0%이었다.

Weibull분포(分布)에 의한 직경분포추정(直徑分布推定)에 관한 연구(硏究) - 동해안일대(東海岸一帶) 해송림(海松林)을 중심(中心)으로 - (Estimating Diameter Distribution with the Weibull Distribution -Case of Kore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tands on the Eastern Sea Coast of Korea-)

  • 윤종화;조현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420-426
    • /
    • 1991
  • 강원도 동해안 일대 유명피서지 (16개소)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림(海松林)의 합리적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고자 Weibull분포(分布)를 이용하여 직경분포(直徑分布)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도 동해안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해송림(海松林)의 평균흉고직경(平均胸高直經)은 10.3cm이며 각 지역별 평균직경(平均直徑)은 6.9-14.6cm로 나타났다. 2. Weibull 분포(分布)의 모수(母數)는 각 지역별로 추정되었으며, 전지역에 대한 모수는 a=5, b=5.6997, c=1.4079로 추정되었다. 3. 직경분포(直徑分布)의 추정치와 실측치를 Kolmogorov-Smirnov법에 의하여 검정한 결과, 5% 유의수준에서 잘 적합하였다.

  • PDF

Soft X-ray분석(分析)에 의한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 자란 해송(Pinus thunbergii)의 연륜(年輪)의 특징(特徵) (Characteristics of Annual Rings of Pinus thunbergii Grown in the Air-polluted Area by Soft X-ray Analysis)

  • 김종갑;김재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51-359
    • /
    • 1991
  • Soft X-ray에 의한 연륜밀도해석법(年輪密度解析法)으로 대기오염지역(大氣汚染地域)에서 자란 해송(Pinus thunbergii) 성목(成木)의 연륜(年輪)에 대한 특징(特徵)을 알아본 결과, 연륜폭(年輪幅)과 대기밀도(最大密度), 최대밀도(最大密度)와 최소밀도(最小密度)의 차(差)(이하DD)는 공장이 가동된 이후 오염원(汚染源)의 주변지역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오염원(汚染源)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地域)에서 가장 뚜렷히 감소하고 있었고 추재율(秋材率)과 최소밀도(最小密度)는 오염(汚染)으로 인한 감소와 증가의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연륜폭(年輪幅) 및 최대밀도(最大密度), DD는 공장가동직후 5년동안보다도 5년이후부터 더욱 감소되고 있었으며 감소율(減少率) 역시 공장가동 5년이후 부터 증가되었고 연륜폭(年輪幅)의 감소율(減少率)이 가장 컸다. 이와같이 본조사를 통하여 본 해송의 연륜폭(年輪幅) 및 최대밀도(最大密度), DD는 오염으로 인한 생장저해(生長沮害)의 지표(指標)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추측되었다.

  • PDF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Flora of Kyongpo Provincial Park Area)

  • 박용진;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4-235
    • /
    • 1998
  • 본 조사는 1997년 6월부터 1998년 6월까지 4회에 걸쳐 조사된 경포대 일대의 관속식물 종조성과 우점종군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본 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87과 240속 281종 51변종 7품종으로 총 339종류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노랑갈퀴, 오동나무(재), 개쑥부쟁이 등 3종은 한국특산종이다. 양치식물계수는 0.61로 나타났으며 귀화식물은 12종류로 이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218종류의 5.5%에 해당한다. 우점종은 해송과 소나무로 대표되었으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소나무와 해송, 관목층은 해송, 소나무, 산벗나무, 초본층은 큰기름 새, 김의털, 장구채, 쑥, 애기수영, 닭의장풀, 털질경이 등이 우점하였고, 전체적으로는 아교목층과 관목층이 매우 빈약한 불안정한 임상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송엽(海松葉) Litter의 분해(分解)와 N, P 및 K의 동태(動態) (Decomposition and,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Dynamics of Pinus thundbergii Needle Litter)

  • 이명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303-310
    • /
    • 1991
  • 해송엽(海松葉) litter의 분해(分解)와 그에 따른 양분방출(養分放出)의 동태(動態)를 일본지방(日本地方)의 해안(海岸) 해송림(海松林)에서 litterbag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다. litter의 분해(分解)에 따른 건물중(乾物重)의 소실(消失)은 초기(初期) 1년간(年間)에 빨랐고 그후는 보다 둔화(鈍化)하였으며, 분해(分解) 1년동안의 소실율(消失率)은 약(約) 40%였다. 분해계수(分解係數)는 0.5-6.0, 반감기(半減期)(년(年))는 l.1-l.4의 범위였다. 분해(分解)에 따른 잔존(殘存) litter내의 N과 P의 양분농도(養分濃度)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K의 농도(濃度)는 감소(減少)하였다. K의 양분(養分)의 절대량(絶對量)은 분해(分解)가 진행(進行)하는 동안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N의 절대량(絶對量)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해(分解)에 따른 방출(放出)은 K>P>N의 순(順)이었다. 실험기간중 N의 무기화(無機化) 단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방위(方位) 및 수관부위별(樹冠部位別)에 의한 해송 침엽(針葉) 수지구수(樹脂溝數)의 변이(變異) (Variation of Resin Canal Numbers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Parl.) Needles by Tree age and Topophysis of Crown)

  • 이강영;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7-70
    • /
    • 1974
  • 수령별(樹齡別) 수관(樹冠)에 착생(着生)된 부위(部位)와 방법(方法)에 따른 해송 침엽(針葉)의 수지구수(樹脂溝數)를 알고자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든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령별(樹齡別) 평균(平均) 수지구수(樹脂溝數)는 5년생이후(年生以後)에서는 증가(增加)되고 10년생이후(年生以後) 부터는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는다. 2. 엽장(葉長)의 수지구수(樹脂溝數)는 2~9의 Range를 보였고 그 이상(以上)은 발견(發見)되지 못하였다. 3. 방위(方位) 및 수관(樹冠) 부위별(部位別)에 의한 수지구수(樹脂溝數)를 분산분석(分散分析)한 결과(結果) 유의차(有意差)는 없었으며 5년생(年生)의 것은 개체간(個體間)에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10년생(年生)은 낮은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해송 침엽(針葉)의 수지구수(樹脂溝數)는 방위(方位) 및 착생부위(着生部位)에 의한 차이(差異)는 없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

사상공단(沙上工團) 주변(周邊)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해송림(海松林)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he Pinus thunbergii Forest in the Vicinity of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Korea)

  • 김점수;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486-497
    • /
    • 1994
  •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이 사상공단(沙上工團) 주변(周邊)의 해송림(海松林)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단주변(工團周邊)의 해송림(海松林)에서 가시적(可視的)인 피해(被害), 엽내(葉內) 엽록소(葉綠素),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오염물질(汚染物質) 등(等)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해송엽(海松葉)의 변색(變色)은 공단(工團) 주변(周邊)의 조사지(調査地)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엽령(葉齡)이 증가(增加)될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는 공단(工團)에서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다. 2. 엽내(葉內)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 함량(含量)은 전(全) 엽령(葉齡) 모두 공단(工團)에서 가까운 조사지(調査地)에서 높았으며, 전(全) 조사지(調査地)에서 대조구(對照區) 보다 높게 나타났다. 3. 엽록소(葉綠素) a의 함량(含量)은 공단(工團)에서 가까운 조사지(調査地)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엽령(葉齡)이 증가(增加)될수록 높게 나타나 엽록소(葉綠素) a는 대기오염(大氣汚染)에 의해 영향(影響)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엽록소(葉綠素) b의 함량(含量)은 많은 조사지(調査地)에서 대조구(對照區)와 차이(差異)가 없었다. 한편 전체(全體) 엽록소(葉綠素)와 엽록소(葉綠素) a와 b의 함량비(含量比)는 엽록소(葉綠素) a의 감소(減少)로 인하여 공단(工團)에서 인접(隣接)한 조사지(調査地)에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4. 엽내(葉內)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은 엽령(葉齡)이 증가(增加)될수록 공단(工團)으로 부터 더 먼 지역(地域)까지 감소현상(減少現狀)이 나타났으며, 칼슘의 함량(含量)은 전(全) 엽령(葉齡)에서 공단주변(工團周邊) 조사지(調査地)에서 감소(減少)되었다. 5.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와 엽록소(葉綠素) a, 전체(全體) 엽록소(葉綠素), 엽록소(葉綠素) a와 b의 함량비(含量比), 칼슘의 함량간(含量間)에는 부(否)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와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의 함량(含量) 간(間)에는 정(定)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6. 해송(海松)의 피해도지수(被害度指數), 수용성유황(水溶性硫黃) 함량(含量),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무기성분(無機成分) 함량(含量) 등에 의해 피해지역(被害地域)을 구분(區分)하기 위해 Cluster분석(分析)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공단주변(工團周邊) 지역(地域)(1-8 조사지(調査地)), 중간(中間) 지역(地域)(9, 10, 11, 12, 15, 17 조사지(調査地)), 대조구(對照區)를 포함한 비교적(比較的) 먼 지역(地域)(13, 14, 16, 18, 19 조사지(調査地)와 대조구(對照區))으로 크게 3개의 작은 집단(集團)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7. 가시적(可視的) 피해(被害)를 받은 해송엽(海松葉)의 횡단면(橫斷面)을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엽조직(葉組織)은 엽육세포(葉肉細胞)와 수지구(樹脂溝) 주변(周邊)의 후막세포(厚膜細胞)와 내피층(內皮層)이 부분적(部分的)으로 파괴(破壞)되었다.

  • PDF

사상공단(沙上工團)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주변(周邊) 산림(山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Korea)

  • 김점수;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14
    • /
    • 1996
  •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이 사상공단(沙上工團) 주변(周邊)의 해송림(海松林)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단주변(工團周邊) 해송림(海松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단주변산림(工團周邊山林)의 상층(上層)은 주로 해송림(海松林)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사방오리나무와 아까시나무가 많은 조사지(調査地)에서 나타나고 있었고, 중층(中層)에서는 해송(海松) 다음으로 아까시나무, 개옻나무, 산검양옻나무, 때죽나무가 주로 나타났으며, 하층(下層)에서는 해송(海松)의 출현(出現)은 적었으며, 대기오염(大氣汚染)에 대하여 내성(耐性)이 강한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개옻나무, 산철쭉 등(等)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출현(出現)되고 있었다. 특히 아까시나무는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 진달래는 공단(工團)으로 부터 먼 곳에서 중요치율(重要値率)이 높게 나타났다. 2. 공단(工團) 주변(周邊)의 각(各) 조사지(調査地)에서 목본류(木本類)의 종수(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와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대조구(對照區)와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초본류(草本類)에서는 대기오염(大氣汚染)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한 주름조개풀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출현(出現)되고 있었으며, 참억새, 실새풀, 계요등, 기름새, 산거울 등(等)도 전반적(全般的)으로 고르게 나타나며, 이들은 적산우점도(積算優占度)의 값도 높았다. 그러나 참취, 분취, 미역취, 꿀풀 등(等)은 공단(工團) 주변(周邊)에서 거의 출현(出現)되지 않았다. 4. 초본류(草本類)의 종수(種數)는 대조구(對照區)의 20종(種)에 비(比)하여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 10종이하(種以下)로 감소(減少)되었고, 종다양도(種多樣度)에서도 공단주변(工團周邊) 지역(地域)이 감소(減少) 되었으며,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 역시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면 아주 낮게 나타나고 있어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의한 초본류(草本類)의 종구성상태(種構成狀態)가 변화(變化)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보면 사상공단주변(沙上工團周邊)의 해송림(海松林)은 대기오염(大氣汚染)에 강한 수종(樹種)의 분포(分布)가 많았다. 식생구조(植生構造)의 변화(變化)는 목본류(木本類)에서는 아직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초본류(草本類)에서는 종수(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의 변화(變化)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목본류(木本類)에서도 앞으로 식생구조(植生構造)의 변화(變化)가 예상(豫想)되고 있다.

  • PDF

우리나라 남해안지역(南海岸地域)에 있어서 해송림(林)의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Ecological Study of the Pinus thunbergii Forest on the Southern Seacoast of Korea)

  • 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83-91
    • /
    • 1988
  • 우리나라 남해안(南海岸)의 각지역(各地域)에 분포(分布)되고 있는 해송림(林)의 적절(適切)한 조림방법(造林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한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얻고자 임내(林內)의 식생조성(植生組成)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상층목(上層木)의 해송에 대(對)한 평균밀도(平均密度), 평균(平均)거리, 평균지적(平均地積) 등(等)은 조사지간(調査地間)에 차이(差異)가 적게 보였다. 하층(下層)에 있어서 남해안(南海岸) 동부구(東部區)의 조사지(調査地)는 해송의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가 14-98%, 서부구(西部區)에서는 3-7%의 범위(範囲)로서 낮은 값을 보였다. 남해안(南海岸) 동부구(東部區)에서 출현(出現)된 종수(種數)는 26종(種), 서부구(西部區)에서는 37종(種)으로 서부구(西部區)의 조사지(調査地)가 많았다. 다양도지수(多樣度指數)도 남해안(南海岸) 서부구(西部區)의 조사지(調査地)가 동부구(東部區)의 조사지(調査地)보다 높았으며 최대다양도(最大多樣度), 균재도(均在度)도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서부구내(西部區內)의 조사지간(調査地間)에서 높았으며 동부구내(東部區內)의 조사지간(調査地間)에서는 낮은 경향(傾向)이었고 서부구(西部區)와 동부구간(東部區間)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방사성 추적자에 의한 솔잎혹파리 방제용 살충제 phosphamidon의 소나무 수간이동 구명 : I. 소나무 품종 및 계절별 이행 (Elucidation of the translocation of phosphamidon used for the control of pine leaf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trunks of pine trees by means of a radiotracer. Part 1. Translocation as affected by pine tree species and the treated season)

  • 이재구;이형래;경기성;변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63-468
    • /
    • 1993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방제용으로 소나무의 수간에 주입된 침투성 살충제 phosphamidon(2-chloro-2-diethylcarbamoyl-1-methylvinyl dimethyl phosphate)의 이행 및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vinyl,\;carbonyl-^{14}C]phosphamidon$을 약 10년생의 적송과 해송에 각각 수간주사하였다. 이 약제의 최고이행속도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et Zucc.)과 해송(Pinus thunbergii Parl.)에서 각각 약 10 cm/hr(7월)와 2 cm/hr(12월)이었다. 처리된 방사능은 하계의 적송에서는 75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계의 해송에서는 150일까지 유지하였다. 본 약제가 살충가능한 농도로 top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적송(7월)에서는 3일 이내인 반면 해송(12월)에서는 15일 이내이었으며, 그 이행정도는 약제처리시기 및 수종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솔잎에 잔류하는 phosphamidon과 그 대사산물은 methanol로 잘 추출되었으며, 솔잎시료의 methanol 추출액을 autoradiography한 결과 phosphamidon은 소나무내에서 신속히 분해되어 7일 내에 약 80% 정도가 분해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