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통신망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peration of the maritime network (해상통신망 관리 시스템 운용에 관한 연구)

  • 신현식;박연식;오문희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6 no.3
    • /
    • pp.493-498
    • /
    • 2002
  • 우리나라에서 운용중인 해상 통신망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해상에서 운용되는 통신시스템 과 해상 통신망의 관리 체계와 운용 현황 그리고 이에 따른 관련제도에 관하여 법령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해상 모빌리티 통신인프라 구현을 위한 VDES 개발 및 활용방안

  • 심우성;김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06-407
    • /
    • 2022
  • 자율운항선박, 무인선과 같이 전통적 선박 형태에 자율성이 부여되는 형태로의 발전과 함께 드론, 비행체 같은 비행 형태까지 포함하는 해상 모빌리티는 기존 통신 체계 대비 실시간성 향상 및 대용량 데이터 교환이 요구되는 새로운 해상 안전 운항 체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 송수신기를 장착한 국내 선박의 경우, LTE급의 통신 서비스를 연안 최대 100km까지 받을 수 있지만, 국제 항해를 하는 국적선과 외국적 선박을 포함하는 해상 모빌리티 안전 운항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VDES(VHF Data Exchange System)와 같은 국제협약에서 인정하고 해상이동서비스(Maritime Mobile Service)에 속하면서 기존보다 빠른 통신망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해상 모빌리티 구현을 위해 필요한 해상무선통신망의 하나로 VDES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간의 개발 현황으로부터 향후 VDES 서비스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해 논한다.

  • PDF

An Augmented WiMAX MMR Protocol for Establishing Secure Broadband Maritime Data Networks (안전한 광대역 해상정보통신망 구축을 위한 WiMAX MMR 확장 프로토콜)

  • Lee, Su-Hwan;Son, Joo-Yo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8
    • /
    • pp.1145-1152
    • /
    • 2010
  • Currently economic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needed for high speed data exchange at sea. Wireless environments at sea require some special communication security solutions as well. In this paper, an augmented WiMAX MMR protocol is proposed as a solution of the broadband data communications and security at sea environments fundamentally with no base station.

A Study on the management system operation of the maritime network (해상통신망 관리 시스템 운용에 관한 연구)

  • 오문희;신현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346-349
    • /
    • 2002
  • 우리나라에서 운용중인 해상 통신망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해상에서 운용되는 통신시스템과 해상 통신망의 관리 체계와 운용 현황 그리고 이에 따른 관련제도에 관하여 법령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PDF

해상무선통신망 기술 동향

  • Jo, Seong-Ung;Sim, 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66-367
    • /
    • 2018
  • 최근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박 모니터링, 최적항로 선정, 해사안전정보 제공 등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선박 간 혹은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통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해상 환경에서의 통신은 위성을 제외하고는 VHF/MF/HF 등의 지상파 기반 시스템에 의존하여 왔으며, 낮은 전송 속도로 인해 신규 서비스의 높은 통신속도 요구 보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해상 환경에서 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iMAX, LTE 등과 같은 육상 통신시스템을 해상으로 확대하고, 통신 커버리지 확장을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및 다중홉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문헌에서 제안하는 해상 서비스들의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해상무선통신망 기술들을 통신 성능 관점에서 비교하여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구축의 기초 요구자료로 활용하였다.

  • PDF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무선설비 상호운용성 시험 방안

  • 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16-118
    • /
    • 2021
  •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은 바다 어민의 안전과 항해 중인 선박의 편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한민국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까지 해역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체계로 구축한 세계 최초의 해상 무선통신망이다. 본 논문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용한 용도로 개발된 무선설비의 호환성, 신뢰성,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시험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종 통신장비 및 이종 무선설비 간의 상호운용성을 단말(무선설비)과 시스템의 종단간 통신품질 측정을 통해 서비스 커버리지 성능, 무선데이터 전송 속도 및 전송성공률 등을 검토해 보고, 각 품질 지표를 검증할 수 있는 시험 구성 방안, 시험 항목 및 절차, 측정 결과 분석 방법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ployment of Digital Marine Network in Littoral Sea (연근해 디지틀 해상통신망 구축에 관한 연구)

  • Jang, Dong-Won;Lee,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77-80
    • /
    • 2008
  • 해상통신은 인명 안전을 위한 중요 통신으로 국제적으로 보호되어 왔다. 뿐 만 아니라 지구 전역을 커버하기 위해 전송 특성이 좋은 LF/MF/HF대역의 통신시스템 및 위성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육상이동통신 기술을 해상 및 항공에 확대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해상 및 항공 통신망은 기존 음성 위주의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틀망으로의 전환이 시급히 필요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아날로그 시스템은 디지틀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데이터를 이용해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서 해상 안전을 높이고 있으며 기존 개별 장비를 시스템화하여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SC, AIS 등 이미 많은 디지틀 장비들이 국제 해상 통신에 이용되고 있으며 해상 통신 시스템을 종합화해서 해상안전을 제고하기 위해 IMO를 중심으로 주진 중에 있다. 그러나 연근해 해상 통신 시스템은 SOLAS조약에서 제외되어 있으므로 나라마다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특히 연근해에서 중요한 MF/HF/VHF대역 시스템을 각 국이 경쟁하면서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ITU-R을 통해서 표준화를 주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연근해 핵심 통신망을 구성할 HF/VHF대역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Deployment of Data Network in Marine VHF Bandwidth (VHF대역에서 디지틀 해상통신망 구축에 관한 연구)

  • Jang, Dong-Won;Lee, Yo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159-162
    • /
    • 2007
  •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육상이동통신 기술을 해상 및 항공에 확대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해상 및 항공 통신은 인명 안전을 위한 통신으로 국제 기구에 의해서 최우선적인 보호를 받아 왔다. 그러나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해상 및 항공 통신망은 기존 음성 위주의 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틀망으로의 전환이 시급히 필요하게 되었다. 해상통신의 경우에는 디지틀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DSC(Digital Selective Calling),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등을 이미 도입해서 운용 중에 있으며 다른 시스템으로의 확대가 진행 중에 있다. SOLAS 선박뿐 만 아니라 비 SOLAS(Safety Of Life At Sea) 선박들도 디지틀 통신을 활용하면 항행 안전에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 ITU-R에서는 VHF(Very High Frequency) 대역에서 데이터 및 이메일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시스템 기술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 VHF대역 데이터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해상통신에서의 디지틀 기술이 도입된 후 전개될 해상통신망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연계 및 상호운용성 확보 방안 고찰

  • 우석;김부영;심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1-103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센서, IoT, 빅데이터, AI, 플랫폼 등 고도의 ICT 요소 기술이 필요한 미래 유망 산업 분야이다. 특히 선박 내부장치로 부터 수집된 정보와 선박 주변의 해상 데이터가 증가될수록 선박 대 선박 및 선박 대 육상 간 정보 교환 체계인 해상통신망의 중요성은 커질수 밖에 없다. 해양수산부는 2020년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까지 해역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체계로 구축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이 자율운항선박의 주요 통신 기술로써 활용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을 타 해상 무선통신 기술과의 연계, 업링크 및 항내 통신품질의 향상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LTE-M. 망의 무선설비 다각화 사업으로 추진중인 해양 드론용 송수신기의 실해역 성능 시험을 통해, 선박과 육상 간 정보 교환에 있어 상호운용성 시험의 중요성을 재고해 보고, 해상 무선통신 체계의 신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무선품질지표,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통합공공통신망 이용분석과 연동구축 방안

  • Ju, 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3
    • /
    • pp.53-65
    • /
    • 2016
  • 통합공공통신망 주파수 700MHz(상향: 718~728MHz, 하향: 773~783MHz) 대역에서 국민안전처 주관으로 'PS-LTE 재난안전통신망'구축, 국토교통부 주관 '무선통신 철도제어시스템 LTE-R'구축, 해양수산부 주관 '연안 해상통신망 LTE-M'구축이 추진되고 있다.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용도로 추진되는 3개 공공통신망의 특징을 조사하여 각각의 망이 제공하고자 하는 고유한 기능, 서비스를 만족시키며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공존하기 위한 방안을, 망간 단말 이동 사례와 서비스 연동 시나리오 관점에서 분석하고 3개 공공통신망의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망연동 구축방안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