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정보통신

Search Result 7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maritime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for small fishing boat (소형선박을 위한 해상안전통신망)

  • 강민수;이상욱;육정수;김현덕;박연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494-496
    • /
    • 2004
  •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전체 해양사고 중 약80%가 소형어선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소형어선은 사고발생즉시 전복되기 때문에 전복과 동시에 신속히 구조요청이 이뤄져야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최근 도입된 GMDSS통신설비들은 자동화되어 매우 빠르게 구조요청이나 조난통보를 할 수 있게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소형어선의 사고는 대부분 5톤 미만의 선박이고, 이들 소형선박들은 GMDSS제도하에 관리되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소형선박의 해양사고를 줄이고자 육상의 이동통신망을 해상으로 화장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Super-Resolution Reconstruction using adjusted input image (보정된 입력영상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 Um, Jong-Bum;Yun, Jong-ho;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310-313
    • /
    • 2011
  • 초해상도 영상복원은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이다. 초해상도 영상복원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현된다. 단일 영상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과, 여러 장의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여러 장의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공간영역에서의 초해상도 영상복원 알고리즘은 크게 정합, 보간, 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합과정 이전에 입력영상보정을 통한 전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잡음으로 인한 부정확한 위치정보추정 확률을 감소시키고, 입력영상보정과정인 전처리과정으로 인해 후처리과정을 통한 영상복원 영상보다 향상된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실험결과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좋은 영상을 얻음을 확인하였다.

선박의 자율/무인 운항 지원을 위한 선박중심 차세대 상호인식 및 데이터 통신 방안-Ship to Everything(S2X)

  • 심우성;김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94-95
    • /
    • 2022
  • 선박 운항 안전 확보를 위해 필요한 선박과 선박, 선박과 육상 및 기타 해양 안전 관련 주체와의 통신은 자율/무인 선박의 출현 및 유무인 선박이 혼재 운항하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기존 VHF, AIS 등의 통신 기능을 능가하는 고용량, 고신뢰 선박 중심 직접통신 체계를 요구한다. IMO의 자율운항 선박 자율화 단계에 필요한 원격에서의 모니터링 및 제어 필요성(Ship to Shore), 나아가 완전한 자율운항을 위한 고용량의 선박중심통신(Ship to Ship) 및 해양 객체와의 통신(Ship to Shore, Air, People)이 구현되어야 유무인 선박의 혼재 운항 과도기를 거쳐 완전한 자율운항 시대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포괄하는 S2X(Ship to Everything) 통신 기술의 개발 당위성을 찾을 수 있다. S2X 통신은 정보 교환 상대를 신뢰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선박의 안전 운항 관련 정보를 상호 교환하고 부가 서비스를 위한 고용량의 데이터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중심직접통신 기술이 될 것이다.

  • PDF

The study on the trend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n the maritime mobile communication (해상이동통신에 대한 국제적 동향 분석 및 대응방안)

  • So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297-300
    • /
    • 2012
  • Since the adoption of GMDSS, the band 495-505 kHz has no longer been globally used for maritime calling and distress and the designation of this band for calling and distress was suppressed at WRC-07. In accordance with provision RR, maritime mobile operations are presently limited to radiotelegraphy. Accordingly, use of the band has diminished.This frequency band 415 kHz to 526.5 kHz and high frequencies is ideally suited to broadcast from shore to ship. The surface wave propagation of a coast station using this band can provide a coverage area from the coast to 400 nautical miles off shore.

  • PDF

해상무선통신 다중모드 운영을 위한 SDR 적용 방안

  • Han, Yeong-Hun;Lee, Ju-Hyeon;Jo, Seong-Han;Jo, Seong-Ryong;Lee, Sa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35-337
    • /
    • 2011
  • e-navigation은 선박의 항구 출발부터 목적 항의 부두 접안에 이른 전 과정의 안전과 보안을 위한 관련 서비스 및 해양환경 보호 증진을 위해 전자적인 수단으로 선박과 육상 관련 정보의 조화로운 수집, 통합, 교환, 표현 및 분석을 수행하는 개념적 체계이다. e-navigation 구현에 필요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채널의 확보방안 중 하나로 기존 해상 통신의 현대화 및 다중모드 운영 체제의 필요성이 국제해사기구(IMO) 등에서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SDR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블록들 내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므로, 기존 해상 통신의 현대화 및 다중모드 운영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모드 운용을 위한 기존의 해상무선통신 시스템을 이해하고, SDR 적용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단일 기기를 통한 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통신망 구축을 이루고자 한다.

  • PDF

Shore-to-sea Maritim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Color Clustered MIMO (컬러 클러스터 MIMO 기술을 적용한 해상 가시광 통신 시스템)

  • Kim, Hyeong-ji;Chung, Yeon-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8
    • /
    • pp.1773-1779
    • /
    • 2015
  • Shore-to-se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color clustered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is presented. The proposed maritim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VLC) offers a low-cost, high-speed wireless link for shore-to-sea maritime communications. Each color cluster is comprised of 50 red, green and blue (RGB)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is modulated using on-off-keying (OOK). Selection combining is performed at the receiver, producing diversity effect within that color cluster. In this paper, we employ sea states (wave height, wind speed, etc.) data from both Pierson-Moskowitz and JONSWAP spectrum models under atmospheric turbulence conditions. Based on the simulation model, the maritime link quality is analysed in terms of coverage distance and bit error rate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an efficient MVLC, while satisfy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ighthouse Authorities (IALA) requirements for maritime buoyage system and also offering sufficient illumination from high power LEDs.

VHF무선통신을 이용한 해상교통관제의 한계 고찰

  • Jo, Beom;Choe, Si-Yeong;Gwon, Se-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76-278
    • /
    • 2016
  • 해상교통관제는 RADAR, AIS, CCTV 등 수많은 장비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관찰, 판단, 해석하는 상황인식 과정을 거쳐 이를 바탕으로 선박 안전운항에 필요한 '정보제공, 조언 권고, 지시'를 무선통신기기(VHF무선전화)를 통해 전달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선박과의 최종적인 정보교환체계인 무선통신기술은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꾸준히 발전되고 개선돼 오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한계점들을 내재하고 있다. 이 글을 통해 VHF를 통한 해상교통관제의 한계점들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관제사들의 VHF에 대한 특성 및 한계점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저해상도 깊이 맵의 해상도 확장을 위한 필터링 및 고속화 기술

  • Ho, Yo-S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3
    • /
    • pp.54-6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깊이 영상의 해상도를 확장하기 위한 필터링 기술과 고속화 방법을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깊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깊이 맵은 색상 카메라에 비해 낮은 해상도를 가진다.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시점의 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 시점의 영상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참조 시점의 색상영상과 깊이 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깊이 맵의 해상도를 색상 영상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확장하는 기술과 이를 실시간에 가깝게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고속화 기술을 설명한다.

Application Scenarios of Nautical Ad-hoc Network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under Maritime Environment (해상 환경에서의 무선 이동 통신을 위한 선박용 Ad-hoc 네트워크 운용 시나리오)

  • Kim, Young-Bum;Chang, Kyung-Hi;Yun, Chang-Ho;Park, Jong-Won;Lim, Yong-K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0
    • /
    • pp.2097-2104
    • /
    • 2009
  • In terrestrial communications, high data rate transmission can be achieved by splitting the coverage area into small cells through base stations and reusing the resource efficiently. However,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maritime communications require the long transmission range, and it is not practical to install base station on the sea to set up the similar deployment as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s, so MF/HF band modem with low data rate are currently utilized for maritime communications. And the expensive satellite communication via Inmarsat is the conventional solution for the high data rate transmission on the sea. To reduce the cost, Ad-hoc network is proposed to apply on the sea, which requires no base station for the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this paper, we denominate this maritime environment specific Ad-hoc network as Nautical Ad-hoc Network (NANET). Furthermore, the deployment scenario for the NANET, and the analysis on multiple access and duplexing schemes for the NANET are discussed in this paper, which serves as the cornerstone for the further NANET research 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