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물류체제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System in Northeast Asia - Focusing on a Lesson from the Chang Po Go Period - (동북아 물류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 장보고 해상물류체계의 교훈을 중심으로 -)

  • Bang, Hui-Seok;Park, Geun-Sik;Yang, Hyeon-Seo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4
    • /
    • pp.257-281
    • /
    • 2008
  • This study aims to draw meaningful points from the Chang Po Go period in which Chang Po Go, who established an integrated logistics system while operating on the seas of three nations including Japan, China, and Shilla by taking Chunghaejin, Shilla, as a base of operations in the 9th century, and to discover the ne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system in northeast Asia. Also, the study intends to propose strategies for contemporary application of the logistics system used during the Chang Po Go period, based on the modern logistics concept. As a result of specifically reviewing the lesson from the Chang Po Go period, which created a paradigm for a new cooperation in logistics, the leadership of the CEO, who is prepared with the long-term vision of Chang Po Go,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system for logistics activity, and the political support of the government for private companies, will initiate a bright outloo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system in northeast Asia, amid the growing need for cooperation in logistics among the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In this era in which northeast Asia is emerging as the center of the world economy, the cooperative model in the logistics field, which transcended the border of Chang Po Go, who built a maritime logistics network in the 9th century, will help implement a cooperative logistics system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 PDF

해상교통관제(Vessel Traffic Service)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교육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Gang, Nam-Seon;Sin, Il-Sik;Sim, Sang-Mok;Kim, Nam-Hun;Song, Hyeo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46-147
    • /
    • 2012
  • 급변하는 항만의 교통특성과 이용자들의 정보서비스 욕구에 발맞추어 해상교통관제 운영기법이 변화하고 있으며 차세대 다기능 해상교통정보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는 등 해상교통물류체제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해상교통관제구역을 항행하는 선박의 질서유지 및 안전사고 예방과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조치를 위하여 해상교통관제사의 인력양성 및 인력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선진해양교통행정을 위하여 분산된 해상교통관제 기능일 일원화 되어감에 따라 새로운 해상교통관리 체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해상교통관제사들의 지속적인 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교육제도의 인지, 여건, 장비보급의 부족, 다양한 상황에 대한 교육시나리오의 부족으로 인하여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관제사들의 교육을 위한 국내 외 규정을 분석하고 교육현황 및 해상교통관제사들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해상교통관제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hina Effect and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n Korea (중국효과와 해상/항공 복합운송)

  • Kim, Chang-Beom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2
    • /
    • pp.25-40
    • /
    • 2007
  • The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s a time-saving and cost-saving transport for cargo shipments. In reaction to a recent growth of high value-added products in China, the volume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in Korean airport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This paper treats the situation, the system, and the possibility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which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logistics problem related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air cargo demand in China. Also, several strategies are considered to develope Korea into intermodal transport hub including the value added logistics activity which will secure the demand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

  • PDF

태평양 도서국 해상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해상교통망 강화방안 연구

  • 박민정;김보경;김세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29-330
    • /
    • 2022
  • 태평양 도서국은 간선항로와 먼 거리, 적은 물동량, 수출입 불균형 등으로 해상운임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기후변화에 취약하여 항만운영에 제약이 많은 등 해상운송이 상당히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해상운송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반면, 정기선 연계정도는 상당히 낮아 해운물류 경쟁력을 향상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분석(SNA)를 통해 14개 태평양 도서국의 국가 간 해상교역 구조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해상운송망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국가 간 교역구조는 점차 복잡해지고 있으며, 점차 피지, 사모아, 파푸아뉴기니 등을 중심으로 Hub-spoke 체제의 해상운송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역내 해상운송망 강화를 위해서는 분석결과에서 도출된 역내 주요 항만을 환적항으로 개발하여 해상운송 연계성을 강화하고, 카보타지 허용을 통한 정기선 입항빈도 증대, 인프라 개선을 통한 항만 운영탄력성 강화 등이 필요하다.

  • PDF

Policy Suggestions for the Security of Korean Energy Maritime Logistics (우리나라 에너지 해상 물류의 현황과 위협에 대한 정책제언)

  • Jon, Joon-Soo;Cho, Yong-H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7 no.1
    • /
    • pp.111-13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energy maritime logistics and to suggest a safe way for maritime transpor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going to assess the risk of maritime transport of energy and propose alternatives in terms of strategy and policy. We examine the security of the Strait of Hormuz, near the east coast of Somalia, the Gulf of Aden and the Strait of Malacca where the Korean tankers pass through and discuss countermeasures responding to a variety of dangerous situations. This article also provides plans for stable supply of energy in case of Korea peninsula crisis and emphasizes the need of establishing cooperation with neighbor countries.

항로표지의 종류와 표준화에 관한 연구

  • Kim, Guk;Kim, Ji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23-24
    • /
    • 2010
  • 오늘날 세계 각국은 글로벌 경제 체제에서 교역의 증대에 따라 해상 물동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 자동화, 또 해상대교나 신항만 건설 등 해상교통질서와 관련하여 항로표지 등 해양교통시설의 여건이 급격히 변화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항로표지는 항로의 혼잡을 방지하여 해운 물류를 원활히 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항로표지는 광파, 형상, 음파, 전파 표지 등인데 이의 제도적 정비 및 규격의 표준화의 필요성과 방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제표준과 한국표준의 제정 절차를 분석하고 국내용 항로표지용품 국토해양부 규격의 표준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향후, 항로표지의 기술적 분석, 항로 운영과 항로표지의 효율성, ICT 기술이 적용된 효과적 항로표지시스템분야에 있어서의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 Alternative for Establishing a Logistics Cooperation System among Korea, China and Japan Focused on Rail-ferry System (열차훼리를 중심으로 한 한.중.일 물류협력체계 구축방안)

  • Cho, Sam-Hyun;Kim, Hyun-Duk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1
    • /
    • pp.61-73
    • /
    • 2007
  • Creating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termodal transportation service in Northeast range is a critical issue because of more increased trade volume & demand for intermodal service in the world market and geographical barriers associated with goods transportation, especially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Rail-ferry introduction and possible route in Northest area which can provide each country mutual economical and logistical satisfaction. But, this study requires more empirical and concrete examination based on the cost & benefit analysis.

  • PDF

A Study on the Activating Schemes of Kunsan Port As the Logistics Base of the Central Region in Korea (중부권 물류기지 군산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Jo, Jin-Hae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4
    • /
    • pp.329-347
    • /
    • 2008
  • This thesis aims to contribute to upgrading its position to the biggest 8 ports in Korea by suggesting activating schemes of Kunsan Port in rapidly changing shipping environments. The research methodologies such as literature survey, O/D analysis are adopted in the study. The following several conclusions can be suggested. Firstly, in port logistics system the dredging in navigational channels and in Kumgang Dam and the incentive schemes for the shipping companies and the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ers are required. Secondly cargo inducement schemes should be introduced to induce container cargoes originated in Junbook Do Province and adjacent area etc. Thirdly the development of new shipping routes and strengthening the coastal routes among domestic sea ports. Fouthly establishing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 with adjacent Chinese Provinces such as Shandong.

  • PDF

B2G XML/EDI 기반 해상통관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개발

  • 김현수;김성훈;박남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6-11
    • /
    • 2000
  • 수출입 관련 항만물류업무 처리의 효율화를 위해 1996년부터 도입된 EDI는 서류없이 각종 항만물류 및 통관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식은 VAN EDI 로써 폐쇄적인 VAN 망을 통하여 EDI VAN사업자가 사용자의 EDI문서를 관련 정부기관에 중계만을 하여 EDI문서에 나타난 각종 데이터의 누적을 통한 물류정보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한편, EDI를 수신한 각 정부기관에서는 필요한 물류요약정보를 얻기 위해 해당 EDI 문서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필요한 요약 정보를 리포트 형태로 프로그램하여 생성하고 있어 정보제공의 시간지연과 프로그램 업무의 과중 및 운영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부하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상황에서 수출입 항만물류와 관련한 다차원 정보를 실시간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는 운영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차원 구조의 데이터웨어하우스로 데이터를 추출, 전환, 복사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본 연구에서는 EDI 수신 기관의 운영데이터베이스보다 더 원천 데이터인EDI 문서로부터 데이터웨어하우스로 데이터 변환을 함으로써 항만물류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데이터 추출 단계를 한 단계 줄였다. 현재 VAN EDI 방식은 그 폐쇄성과 비용 때문에 향후 인터넷을 이용한 XML/EDI로 기술 이전될 것이 예상되며 이러한 상황에서VAN EDI 포맷이 아닌 XML/EDI 문서로 부터 데이터웨어하우스로의 전환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세청의 수출통관 EDI에 대해 이를 XML/EDI 로 XML 스키마를 정의하고 이로 생성된 XML 문서를 SQL 서버로 구현된 OLAP 용 데이터웨어하우스로 전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XML을 이용한 EDI체제에서 전자문서전송기능과 정보제공기능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연동을 동해 EDI시스템을 다차원 의사결정정보 시스템과 통합하게 하여, 향후 인터넷 기반 XML/EDI 중계서비스에 있어 물류정보서비스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Plan of Port Information Network for an E-Navigation (E-Navigation을 위한 항만 정보네트워크 구현방안)

  • Seo, Ki-Yeol;Oh, Se-Woong;Cho, Deuk-Jae;Park, Sang-Hyun;Suh,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0 no.11
    • /
    • pp.1927-1933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the implementation plan of information network for an E-Navigation. Firstly, It configures to the network system based on E-Navigation information network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n, it builds on the total port network and tuning up the maritime traffic support system. It will expect to the efficiency through information network between ship to ship related pen operator. Building of information network for the E-Navigation, it is to build on the wireless internet infrastructure for the port logistics and traffic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