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상무선통신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imulator Design Research (무선통신을 이용한 해상시뮬레이터 구현 연구)

  • Park, YoungMin;Lim, Musung;Lee, Sungseok;Lee, Yeonwoo;Kim,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182-118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해상무선통신시스템(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Simulator를 구현하는 방식에 관해서 연구 하였다. VHF, CDMA, WiBro와 같이 3가지 무선통신 방식들에 대해서 해상무선통신에 적용가능한지를 분석하고, Matlab의 GUI를 사용하여 구현된 해상무선통신방식 시뮬레이터를 바탕으로 해상무선통신 채널환경에서 무선통신방신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는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기본적으로 CDMA방식으로 무선통신방식 시뮬레이터를 구축하고, 추후 OFDM기반의 WiBro 전송방식에 대해서도 추가로 시뮬레이터를 설계하여 성능을 검증해 보겠다.

자율운항선박을 위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연계 및 상호운용성 확보 방안 고찰

  • 우석;김부영;심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1-103
    • /
    • 2022
  • 자율운항선박은 센서, IoT, 빅데이터, AI, 플랫폼 등 고도의 ICT 요소 기술이 필요한 미래 유망 산업 분야이다. 특히 선박 내부장치로 부터 수집된 정보와 선박 주변의 해상 데이터가 증가될수록 선박 대 선박 및 선박 대 육상 간 정보 교환 체계인 해상통신망의 중요성은 커질수 밖에 없다. 해양수산부는 2020년 세계 최초로 대한민국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까지 해역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체계로 구축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이 자율운항선박의 주요 통신 기술로써 활용되기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할 사항을 타 해상 무선통신 기술과의 연계, 업링크 및 항내 통신품질의 향상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LTE-M. 망의 무선설비 다각화 사업으로 추진중인 해양 드론용 송수신기의 실해역 성능 시험을 통해, 선박과 육상 간 정보 교환에 있어 상호운용성 시험의 중요성을 재고해 보고, 해상 무선통신 체계의 신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무선품질지표, 상호운용성 시험 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무선설비 상호운용성 시험 방안

  • 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16-118
    • /
    • 2021
  •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은 바다 어민의 안전과 항해 중인 선박의 편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한민국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까지 해역을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체계로 구축한 세계 최초의 해상 무선통신망이다. 본 논문은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용한 용도로 개발된 무선설비의 호환성, 신뢰성,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시험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종 통신장비 및 이종 무선설비 간의 상호운용성을 단말(무선설비)과 시스템의 종단간 통신품질 측정을 통해 서비스 커버리지 성능, 무선데이터 전송 속도 및 전송성공률 등을 검토해 보고, 각 품질 지표를 검증할 수 있는 시험 구성 방안, 시험 항목 및 절차, 측정 결과 분석 방법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해상무선통신망 기술 동향

  • Jo, Seong-Ung;Sim, 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66-367
    • /
    • 2018
  • 최근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선박 모니터링, 최적항로 선정, 해사안전정보 제공 등과 같은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선박 간 혹은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통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해상 환경에서의 통신은 위성을 제외하고는 VHF/MF/HF 등의 지상파 기반 시스템에 의존하여 왔으며, 낮은 전송 속도로 인해 신규 서비스의 높은 통신속도 요구 보장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해상 환경에서 고속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WiMAX, LTE 등과 같은 육상 통신시스템을 해상으로 확대하고, 통신 커버리지 확장을 위해 이기종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 및 다중홉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문헌에서 제안하는 해상 서비스들의 요구사항을 식별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해상무선통신망 기술들을 통신 성능 관점에서 비교하여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구축의 기초 요구자료로 활용하였다.

  • PDF

SDR Adaptation for Multimode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s (다중모드 해상 무선통신 지원을 위한 SDR 적용 방안)

  • Kim, Jae-Myoung;Lee, Joa-Hyoung;Shim, Woo-Seong;Lee, Sa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173-176
    • /
    • 2011
  • New paradigm is based on the e-navigation policy which is the harmonised collection, integration, exchange,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maritime information onboard and ashore by electronic means to enhance berth to berth navig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safety and security at sea and protec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ne of the requirements is seamless communications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So we need the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s based on the SDR technology. In this paper we analys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rvice framework and propose a SDR based maritime system platform which can operate in multi-mode.

  • PDF

LTE-M 소형선용 WiFi 및 업링크 향상용 무선설비 성능 시험 방안

  • 우석;김환성;박종원;김부영;심우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3-144
    • /
    • 2023
  • 해양수산부가 구축한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은 연안으로부터 최대 100km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들에게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e-Nav)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통신 인프라다. 선박에서 e-Nav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LTE-M. 무선설비는 선내 고정 설치되어 유선으로 연결된 표시장치와 연동이 필요하다. 이는 공간이 협소하고 밀폐된 소형선박에 설치의 어려움뿐 아니라 선내 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IoT 기기 등과의 연결성에 제약을 줄 수 있다. 또한 선박이 육상의 LTE-M. 기지국과 멀리 떨어질 경우, 다운링크에 비해 업링크 통신품질이 상대적으로 취약해져 긴급 조난 신호를 비롯한 위험상황의 전달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TE-M. 망의 무선설비 다각화 사업으로 추진·개발된 소형선용 WiFi 및 업링크 향상용 무선설비의 실해역 성능 시험 방안을 고찰하여, 선내 WiFi 무선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성능 지표를 비롯해 업링크 통신속도 개선 등을 확인하기 위한 상호운용성 성능 시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해상 모빌리티 통신인프라 구현을 위한 VDES 개발 및 활용방안

  • 심우성;김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06-407
    • /
    • 2022
  • 자율운항선박, 무인선과 같이 전통적 선박 형태에 자율성이 부여되는 형태로의 발전과 함께 드론, 비행체 같은 비행 형태까지 포함하는 해상 모빌리티는 기존 통신 체계 대비 실시간성 향상 및 대용량 데이터 교환이 요구되는 새로운 해상 안전 운항 체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 송수신기를 장착한 국내 선박의 경우, LTE급의 통신 서비스를 연안 최대 100km까지 받을 수 있지만, 국제 항해를 하는 국적선과 외국적 선박을 포함하는 해상 모빌리티 안전 운항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VDES(VHF Data Exchange System)와 같은 국제협약에서 인정하고 해상이동서비스(Maritime Mobile Service)에 속하면서 기존보다 빠른 통신망의 보급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해상 모빌리티 구현을 위해 필요한 해상무선통신망의 하나로 VDES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그간의 개발 현황으로부터 향후 VDES 서비스 도입 및 활용방안에 관해 논한다.

  • PDF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 커버리지 및 통신서비스 품질검증 방안

  • U, Seok;Mun, Eun-Ju;Choe, Du-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1-103
    • /
    • 2019
  •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은 연안으로부터 100km 까지 전국 3해안(동 서 남해)에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체계를 구축하여 항해 중인 선박(어선, 소형선박, 상선 등)을 대상으로 바다에서도 LTE급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해상 e-Navigation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은 초고속해상무선통신망의 커버리지 및 통신서비스 품질검증 기준이 되는 연안으로부터의 통신서비스 제공 거리, 전송 속도, 전송성공률 등에 대해 검토해 보고, 각 품질 지표를 검증할 수 있는 시험항목 설정, 시험 환경 구성, 시험 방법 및 품질 결과 분석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 PDF

해상무선통신 다중모드 운영을 위한 SDR 적용 방안

  • Han, Yeong-Hun;Lee, Ju-Hyeon;Jo, Seong-Han;Jo, Seong-Ryong;Lee, Sa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35-337
    • /
    • 2011
  • e-navigation은 선박의 항구 출발부터 목적 항의 부두 접안에 이른 전 과정의 안전과 보안을 위한 관련 서비스 및 해양환경 보호 증진을 위해 전자적인 수단으로 선박과 육상 관련 정보의 조화로운 수집, 통합, 교환, 표현 및 분석을 수행하는 개념적 체계이다. e-navigation 구현에 필요한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채널의 확보방안 중 하나로 기존 해상 통신의 현대화 및 다중모드 운영 체제의 필요성이 국제해사기구(IMO) 등에서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SDR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블록들 내부의 동작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므로, 기존 해상 통신의 현대화 및 다중모드 운영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모드 운용을 위한 기존의 해상무선통신 시스템을 이해하고, SDR 적용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단일 기기를 통한 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통신망 구축을 이루고자 한다.

  • PDF

LTE based High-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LTE-M) Router System (LTE 기반 초고속 해상무선통신(LTE-M) 라우터 시스템)

  • Jeong, Nahkju;Natsagdor, Batdorj;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3
    • /
    • pp.542-547
    • /
    • 2018
  •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nducting various studies to app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marine safety. Based on thi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established the e-Navigation standard to apply the lates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marine services. In Korea,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is promoting Korean e-navigation considering domestic marine environment and is trying to apply LTE communication method as a high-spe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t sea.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an LTE based marine router system supporting 700Mhz frequency band allocated for high 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Experiments on the possibility of 100km distance communication from base station using LTE based ship router are shown. LTE - based high - speed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router system can provid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accident prevention technologies that may occur at s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