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부학적 관찰

검색결과 401건 처리시간 0.038초

사람 배아의 후두발달에 관한 형태학적 관찰 (OBSERVATIONS ON EMBRYONAL DEVELOPMENT OF HUMAN LARYNX)

  • 최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13
    • /
    • 1991
  • 후두는 호흡기가 시작되는 부위로 후두의 태생학적 연구는 타장기에서와 같이 정상 후두의 해부학적 이해, 후두 기형의 병인의 이해 및 치료에 기초 자료가 된다. 그러나 사람 배아의 후두 발생에 관한 연구는 재료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해부학적 난이성으로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는 사람 배아의 후두 발달을 연구하고자 배령이 확인된 20례의 배아(배령 4 주에서 8 주 까지)의 연속절편에서 광학현미경하에 후두 발달의 형태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배령 4 주에 median pharyngeal groove, laryngotracheal sulcus 와 tracheoesophageal septum 이 관찰되었다. 2. 배령 5 주에 hypopharyngeal eminence, epithelial lamina of larynx와 arytenoid swelling이 관찰되었다. 3. 배령 6 주에 hyoid condensation과 tracheoesophagealfistula가 관찰되었다. 4. 배령 7 주에 epiglottis 가 확인되었고 hyoid bone, thyroid lamina 와 cricoid cartilage 의 condensation 및 muscular condensation 이 관찰되었다. 5. 배령 8 주에 laryngeal cartilage의 chondrification과 ventricle이 관찰되었으며, vestibulotracheal canal과 pharyngotracheal canal 의 교통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atozoa of a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Pisces, Cyprinidae))

  • 김구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3-166
    • /
    • 2008
  • 줄납자루 A. yamatsutae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칼납자루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는 경골어류 및 잉어과 어류의 일반적인 구조와 유사하였다. 즉, 둥근 두부와 긴 미부의 tangent한 연결, 비대칭적인 짧은 중편의 구조를 하고 있었다. 중편의 미토콘드리아는 핵과 유사한 크기로 하나로 융합되어 핵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해 있었다. 잉어과 중편에서 관찰되는 불규칙한 모양의 vesicle과는 달리 줄납자루에서는 vesicle이 미토콘드리아의 주위를 규칙적으로 둘러싸고 있었다. 이와 같은 융합된 미토콘드리아와 소포(vesicle)의 규칙적인 배열은 bittering에 속하는 Acheilognathus와 Rodeus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두 중심립의 각도는 해부학적 단면상에서 약 $125^{\circ}C$로 나타나며 기부중심립의 위치는 핵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한 것과 핵이 기울어지지 않은 곳 2가지 type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한국산 마삭줄의 분포 및 해부학적 특징 (Distribution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rachelospermum asiaticum in Korea)

  • 박종수;이정현;조원범;이동혁;최인수;오병운;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38-143
    • /
    • 2011
  • 표본관찰에 기초하여 한국산 마삭줄의 분포도가 작성되었다. 마삭줄은 제주도로부터 남해안과 중부 서해안지역까지 분포하며, 분포 북한계지는 인천 덕적군도였다. 이 종의 분포 범위는 한반도 식물구계의 제주 및 남해안아구계와 일치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미흡하였던 뿌리, 줄기, 잎 및 자방의 해부학적 특징과 화분의 미세구조를 관찰, 기재하였다.

고관절 관절경을 위한 해부학적 관점 (Anatomic Concerns about Hip Arthroscopy)

  • 김성준;오광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9-87
    • /
    • 2010
  • 고관절경을 시행하는 집도의사는 관절경을 통해 관찰되는 정상 고관절의 해부학적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삽입구 위치에 대한 숙지를 통해 환자의 증상과 비정상 관절경 소견을 임상적으로 연관 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적절한 환자의 선택과 고관절경의 술기에 대한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최소 침습적인 술기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고관절경의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연구개 근육조직에 대한 해부학적 문헌적 고찰

  • 이종호;전세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정필훈;김명진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20
    • /
    • 2002
  • 정상 연구개의 근육조직에 대한 여러가지 해부학적 연구가 있어 왔지만, 구개열의 근육조직에 대한 연구는 이보다 훨씬 적었다. 또한 정상 연구개 근육조직의 형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연구개 기능회복에 절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우리는 2개의 사체에서 채취한 정상상악골 및 연구개를 포함한 조직에서 연구개부위의 박리를 시행하여 근부착에 대한 해부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구개열환자에 있어서 연구개 근육들은 전후방적인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구개 뼈의 후방 가장자리에 직접 근부착을 한다는 점에서 정상과 달랐다. 구개열 수술에 있어서 이러한 비정상적인 근부착을 박리하여 횡적방향으로 재구성하여 정중부에서 봉합하는 것이 정상적 연구개 sphincter를 만들고 연구개를 후방으로 후퇴시켜 정상적 연구개 해부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캡슐내시경 영상의 진단 보조를 위한 소장 기관 중심 지식 모델링 기법 (Small Intestine-Centric Knowledge Modeling Method for Supporting Diagnosis using Capsule Endoscopy Image)

  • 황규본;박예슬;이정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00-903
    • /
    • 2017
  • 캡슐내시경은 일반적인 내시경의 접근이 어려운 소장을 관찰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보통 캡슐내시경 영상을 판독하기 위해 의사는 해부학적 지식과 병리학적 지식과 같은 도메인 지식을 활용하여 영상에 내재된 정보를 획득한다. 이와 같은 내재된 정보는 도메인 지식을 활용하여 분석될 수 있는 의미적 정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 기반 분석이라 정의하고, 의미 기반 분석 과정에서 요구되는 도메인 지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캡슐내시경의 의미 기반 분석 과정은 크게 이미지 특징 추출, 해부학적 분석, 병리학적 분석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분석 과정에 활용될 수 있는 해부학 모델과 병리학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캡슐내시경 영상의 주요 대상 기관인 소장에 특화된 모델로 효과적인 영상 판독을 보조할 수 있음을 보인다.

Malaysia산 중요 목재의 해부학적 구조 (A Study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Important Commercial Woods in Malaysia)

  • 정병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4-4
    • /
    • 1974
  • 본 보고는 1952년 1월부터 3월중순까지 약 50일간에 걸쳐 FAO주최하에 개최된 극동 임업 기술자 강습회에 출석시 마레이 반도산 중요 목재 즉 열대성 유용목재에 대하여 그 해부학적 특징을 연구한 결과이다. 남방 열대산 목재는 대부분이 활엽수이며 그 특이한 점은 온대수목에서 조성되는 연륜은 볼 수 없고 그 대신 생장륜(growth ring)을 가지는 점과 특히 유조직(parenchyma)이 발달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남방재의 재질은 강한 것이 많고 그 목리(grain)는 대개는 교착목리(interlocked grain)로 되어서 미려한 무늬(figure)를 나타내는 것이 많으므로 기구재로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주로 관찰된 육안 및 렌스(X10)에 의한 해부학적 성질은 재색, 광택, 무늬, 목리, 경도, 비중, 도관의 배열, 도관의 크기, 도관의 수, 도관내의 함유물질, 유조직의 배열, 방사조직의 수 및 크기였다.

  • PDF

개나리족, 향선나무족, Myxopyrum속(물푸레나무과)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Comparative anatomy of petiole in Forsythieae, Fontanesieae and Myxopyrum (Ole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0-63
    • /
    • 2012
  • 개나리족(Abeliophyllum: 1 sp., Forsythia: 12 spp.)과 향선나무족(Fontanesia: 2 spp.) 및 근연분류군인 Myxopyreae족(Myxopyrum: 5 spp.)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엽병의 해부학적인 형질을 검토하고자 광학현미경(L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해부학적 형질은 엽병의 횡단면을 단부, 중앙부, 기부로 나누어 관찰하였고, 측정된 정량적 형질과 정성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비교하고 기재하였다. 세 가지 유형(침상, 프리즘형, 선정체)의 결정체가 Fontanesia속과 Myxopyrum속에서만 확인되었다. 미선나무속과 개나리속의 일부 분류군(Forsythia europaea, F. giraldiana, F. japonica)에서만 단세포성 비선모(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엽병의 유관속 패턴을 크게 두 타입으로 구분하여 기재하였다. Type 1A: 결정체가 존재하지 않는 단순호형(Abeliophyllum, Forsythia), 1B: 결정체가 존재하는 단순호형(Myxopyrum), Type 2: 결정체가 존재하는 함입호형(Fontanesia). 또한 세부적인 해부학적 형질에 대해 자세히 기재하였고, 분류학적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부 엽병 해부학적 형질(예, 주유관속 패턴, 결정체의 유무)은 진단형질로서 유용할 뿐 아니라 최근의 분자계통학적 결과를 지지하였다.

CBCT를 이용한 하악 정중설공의 해부학적 평가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ndibular Median Lingual Foramen: the Assessment of the CBCT)

  • 이고운;김옥수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337-346
    • /
    • 2013
  • 정중설공은 하악 전치부에 존재하는 해부학적 구조물로서, 구강저의 혈행을 담당하는 설하 동맥이 통과한다. 임플란트 시술 시 설하 동맥의 손상으로 인한 대량 출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CBCT를 통한 정중설공의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 정중설공의 해부학적 특성인 출현빈도, 위치, 직경과 그 수를 성별과 나이에 따라 CBCT 이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기 위함이다. 2008년 11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을 내원한 62명의 CBCT 이미지(남성 41명, 여성 21명; 평균 연령 43세; 연령 분포 9~85세)를 평가하였다. 하악 전치부 CBCT에서 관찰되는 정중설공의 출현빈도, 수, 위치, 수직적 거리와 직경을 계측하였다. 62명의 환자(100%) 모두에서 설극 상방에 1개 이상의 정중설공을 관찰할 수 있었고, 56명(90.32%)은 다수의 정중설공을 가지고 있었다(2개 64.52%, 3개 25.8%). 42명(66.13%)의 환자에서 하악 양 중절치 사이의 정중설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조정에서 설극까지의 평균 높이는 24.21 mm 였고, 하악골 하연에서 정중설공까지의 평균높이는 14.53 mm, 하악골에서의 상대적인 높이는 0.45였다. 설공의 평균 직경은 0.93 mm였다. CBCT를 통해 정중설공의 출현빈도, 위치, 직경과 그 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치부 임플란트 시술 시 대량 출혈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 전 CBCT를 촬영하여 개개인의 정중설공의 해부학적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