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해마신경세포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7초

배양된 해마 신경세포의 성장에 대한 납의 영향

  • 김율아;김종곤;김용식;김영희;송동근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07-215
    • /
    • 1993
  • Lead is an environmental toxicant that causes a marked deficit in cognative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Damage to the hippocampus has been linked to the lead-induced deficit in the learning proces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ad on the development of hippocampal neurons in vitro. Hippocampal neuron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in lead acetate (1nM to 30 nM) for 72 hrs from 4 h after plating, and the percentage of living neurons bearing neurites, neurite outgrowth and migration of multipolar neurons in culture were determined.

  • PDF

발생중인 Mongolian gerbil의 전뇌에서 NGF, GFAP 및 CNTF의 분포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Nerve Growth Factor,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and Ciliary Neurotrophic Factor in the Forebrain of the Developing Mongolian Gerbil)

  • 박일권;이경열;송치원;권효정;박미선;이미영;정영길;이철호;하권수;이강이;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7-146
    • /
    • 2002
  • 중추신경계는 신경원(neuron)과 이를 지지해주는 신경아교세포(neuroglia)로 이루어져 있다. 발생과정중 신경원의 발달은 NGF(neruv growht factor)에 의해 관찰이 가능하고, 아교세포들중 별모양아교세포는 GFAP(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항체로 밝혀낼 수 있다. CNTF(Cillary neurotrophic factor)는 이전에는 운동신경원의 발생 및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발생과정 중 NGF와 GFAP의 역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NGF, GFAP, CNTF를 발생과정 중(임신 15,17,19,21일, 출생 1,2,3,일, 1,2,3주)의 몽골리안 저빌의 전뇌에서 시간에 따른 분포를 광학현미경, 형광염색을 통한 공초점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뇌에서 NGF는 발생 19일령에서부터 대뇌피질에서 관찰되기 시작해서 후각망울, 해마체 및 diagonal band에 관찰되었고, 출생 3일령에서 가장 강한 염색성을 보였으며 그 반응은 출생 3주까지도 관찰되었다. GFAP는 출생17일령에서 뇌실로부터 아교세포가 관찰되는 형태가 보였으며, 외측뇌실과 제3뇌실에서부터 피질로 이동하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각망울의 과립층, 대뇌피질 및 해마체에서 관찰되었으며, 출생 2일령에서 가장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CNTF는 신경원과 신경아교세포에서 관찰되었으며, NGF와 GFAP와는 달리 출생 전에서는 관찰되지 않다가 출생 1일령부터 후각망울 및 대뇌피질에서 약하게 관찰되기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반응은 출생 2주령에서 잘 관찰되었다. 전자현미경상에서는 신경원과 신경아교세포에서 특징적인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각각의 항체에 대한 반응이 나타난 세포에서는 사립체와 형질내세망과 같은 세포소기관들이 많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Mongolian gerbil 전뇌에서의 NGF, GFAP 및 CNTF의 분포는 비슷한 임신일령의 설치류와 거의 유사하게 관찰되었으며, 배아과정 및 출생 후 발달에 따른 전뇌에서의 신경원과 신경아교세포에서의 분포를 볼 수 있었다.

배양한 흰쥐 해마신경세포에서 항우울제에 의한 c-fos mRNA의 발현 (C-fos mRNA Expression in Rat Hippocampal Neurons by Antidepressant Drugs)

  • 박응철;조연규;양병환;김광일;양보기;채영규
    • 생물정신의학
    • /
    • 제8권1호
    • /
    • pp.85-95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antidepressant drugs on the expression of c-fos mRNA in cultured embryonic rat hippocampal neurons. The drugs used were imipramine and amitriptyline. On the fourth day of culture, hippocampal neurons were treated with variable concentrations of each drug. Competitive RT-PCR(Reverse Transcriptase-PCR) analysis was used to quantify the c-fos mRNA expression induced by each drug.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cute and direct treatment with imipramine and amitriptyline with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imipramine ${\leq}10{\mu}M$, amitriptylne ${\leq}10{\mu}M$) had no inductiv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c-fos mRNA in the rat hippocampal neurons. However, after treatment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imipramine ${\geq}100{\mu}M$, amitriptyline ${\geq}100{\mu}M$) c-fos mRNA was not detected.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s. Firstly, the action mechanisms of these drugs on the hippocampal neurons might not be mediated by c-fos but by other immediate-early genes(IEGs). Secondly, their actions may be mediated indirectly via other areas of the brain. Thirdly, the expression of c-fos might be inhibited by high concentrations of these drugs, or the high concentrations could induce cell death. Finally, though cell death remains to be confirmed, the inhibition of c-fos induction or cell death could play a role in the cognitive impairments known to be adverse effects of some antidepressants.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a first step toward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learning and memor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various IEGs and changes in the hippocampal neurons of rat resulting from chronic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 drugs.

  • PDF

Transferrine peptide ligand로 개량된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신경전구세포로의 유전자 전달 효율 조사 (Modified Adenovirus Mediated Gene Transfer to Neuronal Precursor Cells)

  • 정인실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76
    • /
    • 2006
  • 신정전구세포를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의 세포치료나 유전자치료에서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을 목적으로 개량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의 실용 가능성을 쥐의 해마에서 유래된 신정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외피단백질을 조작한 개략 아데노바이러스벡터는 분화전과 후의 신정전구세포로 1세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비해 6배 정도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전달하였다. 또한 바이러스의 감염은 신정전구세포가 신경세포나 신정 아교세포로 분화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않았다. 따라서 신정전구세포를 이용한 신정질환의 세포치료나 유전자 치료에서 개량된 아데노바이러스로 유전자를 전달하면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방사선 유도 학습기억 장애에 대한 diethyldithiocarbamate의 효과 (Effect of Diethyldithiocarbamate on Radiation-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Mouse)

  • 장종식;김종춘;문창종;정우희;조성기;김성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123-128
    • /
    • 2012
  • 방사선 노출은 해마 기능이상으로 인한 인지장애와 기억력 감퇴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에 방사선 노출(감마선 0.5 또는 2 Gy) 후 passive avoidance 및 object recognition test를 적용한 행동이상, apoptosis 측정 및 신경발생 관찰지표로서 Kiel 67 (Ki-67) 및 doublecortin (DCX)에 대한 면역염색 방법을 적용하여 diethyldithiocarbamate(DDC)의 학습기억 장애 경감효과를 관찰하였다. DDC는 방사선 조사 30분 전에 1회(체중 kg당 1,000 mg) 복강 내 주사하였다. Passive avoidance 및 object recognition test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방사선 단독조사군(2 Gy)에서 유의성 있는 학습기억 장애를 나타냈으며, 방사선 조사 후 12시간에 치아이랑 부위의 apoptosis 발생세포의 수가 증가하였고, Ki-67 및 DCX 양성세포의 수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방사선 노출 전 DDC 처리군에서는 유의성 있는 행동장애 완화, apoptosis 발생 감소가 관찰되었고, 평균치를 기준으로 Ki-67 및 DCX 양성세포의 수도 약간 증가하였다. DDC는 성숙마우스에서 방사선에 의한 해마 신경세포발생 및 학습기억 장애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Rat의 실험적 건망 모델에 있어 항치매 효과 물질의 약효 검색에 관한 연구

  • 이영근;류항묵;김옥희;양지선;이숙영;노응남;강석연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91-291
    • /
    • 1994
  • Ibotonic acid와 FeCl$_3$ 투여군은 phosphate buffered saline을 투여한 대조군에 비해 흰쥐의 능동적 회피학습 습득율을 감소시켰고 해마영역의 과산화지질 형성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감소시켰으나 acetylcholine의 농도에는 별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들 약물은 신경세포 지질막등에 작용하여 노인성 치매에서와 유사한 cholinergic신경계통에 neuronal degeneration을 유발하여 학습능력 감소를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4,결론 중추 Cholinergic성 신경계활성의 변화와 뇌내 과산화지질의 과다 형성이 학습능력 감소 및 노인성치매의 원인이라고 말할수는 없지만 이러한 뇌내의 변화률이 치매과정과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Cudrania tricuspidata fruits)

  • 김이은;조은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543-548
    • /
    • 2018
  • 본 연구는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CTP)의 산화방지 활성 및 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인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을 평가한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방지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생쥐의 해마 유래 뇌신경세포에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를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로 산화적인 스트레스를 유도하여 세포 독성에 관하여 알아본 결과,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뇌신경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라 산화방지 효소인 SOD 활성이 증가하고 지방질 과산화 생성물인 MDA level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의 산화방지 활성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에 관하여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어떤 메커니즘으로 신경세포를 보호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꾸지뽕 열매 조다당류 분획물은 산화방지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어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에 유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 전탕액(煎湯液)이 Hydrogen Peroxide에 의해 손상(損傷)된 배양(培養) 해마신경세포(海馬神經細胞)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uldahansotang water extract on Cultured Primary Hippocampal Cell Culture Damaged by Hydrogen Peroxide)

  • 박혜선;김경요;고기덕;김일환;이재흥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9-89
    • /
    • 2002
  • To evaluate the effect of Yuldahansotang(YHT) water extract on cultured hippocampal cell was inhibited by hydrogen peroxide, MTT assay, NR assay, Neurofilament enzymeimmuno assay and DNA synthesis assay were carried out after the cultured hippocampal cells were pre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YHT water extract for 3 hours prior to exposure of hydrogen peroxid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Hydrogen Peroxide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cultured hippocampal cells on NR assay and MIT assay. 2. YHT water extract have efficacy of increasing a amount of neurofilament decreased by hydrogen peroxide in cultured hippocampal cells. 3. YHT water extract have efficacy of increasing DNA synthesis decreased by hydrogen peroxide in cultured hippocampal cells. From above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YHT has marked efficacy in preventing for the damages by hydrogen peroxide.

  • PDF

조위승청탕(調胃升淸湯) 전탕액(煎湯液)이 XO/HX에 의해 손상(損傷)된 배양(培養) 해마신경세포(海馬神經細胞)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Jowiseungcheongtang water extract on Cultured Primary Hippocampal Cell Culture Damaged by XO/HX)

  • 김형순;김경요;고기덕;김일환;송승연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7-78
    • /
    • 2002
  • Jowiseungcheongtang(JST) has been in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for many years as a therapeutic agent for cerebral disease. But the effect of Jowiseungcheongtang(JST) on neurotoxicity is not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Jowiseungcheongtang(JST) on the hippocampal cell injured by Xanthine Oxidase/Hypoxanth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XO/HX decreased the survival rate of the cultured hippocampal cells on NR assay and MTT assay. 2. JST water extract have efficacy of decreasing a amount of lipid peroxidation increased by XO/HX in cultured hippocampal cells. 3. JST water extract have efficacy of increasing DNA synthesis decreased by XO/HX in cultured hippocampal cell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JST has marked efficacy in preventing cultured hippocampal cells from the damages by XO/HX.

  • PDF

단삼이 활성산소에 의하여 손상된 배양 해마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viae Multiorrhizae Radix on The Cultured Mouse Hippocampal Neurons Damag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 이병찬;한선희;송인영;이강창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08-1012
    • /
    • 2003
  • In order to evaluate the cytotoxic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AOS), the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fter cultured mouse hippocampal neuron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xanthine oxidase(XO) and hypoxanthine (HX) for 5 hours. And also, the protective effect of Salviae Mutiorrhizae Radix(SMR) on XO/HX-induced neurotoxicity was examined in these cultures. XO/HX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 dose-and time dependent manners when cultured mouse hippocampal neurons were treated with 5~40 mU/ml XO for 5 hours. In the protective effect of SMA, SMR increased cell viability dose-dependently after cultured mouse hippocampal neurons were preincubated with 30~120 ㎍/ml SMR for 2 hour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XO/HX is toxic on cultured mouse hippocampal neurons, and herbe medicine such as SMR is very effective in blocking the cytotoxicity induced by A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