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기 교육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사이버 세계해사대학 설립에 관한 고찰

  • Jeon, Seung-Hwan;Mun, Seong-Bae;Jeong, E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45-246
    • /
    • 2013
  •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선복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해기사의 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해운선진국들은 해기사 확보를 위해 국가별 고유한 정책을 세우고 이에 대응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해운선사별로 양질의 해기사수급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해운선사 및 해기교육기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교육내용을 살펴보고 아울러 사이버 해기교육기관 설립을 위한 기초적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운항인력 자격제도와 교육프로그램 방향 구상

  • 이창희;최진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32-133
    • /
    • 2022
  • 자율운항선박과 관련된 다양한 해기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글로벌 해운환경을 분석한 후 이에 적합한 해기인력의 역량과 인재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해기인력 자격제도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시대를 준비하는 해기교육

  • Lee, Chang-Hui;Hong, S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4-5
    • /
    • 2020
  • 자율운항선박시대에 적합한 해기능력의 주요 요소를 식별하고, 이에 필요한 해기교육 방향에 대하여 기존의 산업 및 기술동향, 국제해사기구차원의 논의 방향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관련된 다양한 해외 연구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해기품질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경쟁력 갖춘 해기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해양사고예방 하급해기사 평가용 시뮬레이터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 Lee, Seung-Jun;Gong, In-Yeong;Go, Gwang-Hyeon;Jeong, Yun-Cheol;Yang,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42-143
    • /
    • 2014
  • 해양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해양사고 관련자의 특성(연령별, 해기면허별)을 분석해보면, 상급 항해사가 관련된 사고는 33.5%이며, 하급 항해사가 관련된 사고는 64.1%로 항해사의 급수별로 해양사고 관련 비율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급 항해사가 관련된 해양사고의 비율이 상급 항해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하급해기사 면허 소자자의 경우 그 동안 상급 해기사 면허 소지자에 비해 해기교육을 이수할 기회가 적었으므로, 기초적인 부분에 대한 교육이 먼저 이루어져아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초적인 부분에 대한 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사무실 환경에 보급이 가능한 보급형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하급 항해사의 과실에 의해 발생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비교적 영세한 해운업체에도 보급이 가능한 하급 해기사 평가용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해기 교육의 글로벌화를 위한 기술 교재의 영문화 방안

  • Park, Seon-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75-277
    • /
    • 2015
  • 한국이 세계 해양 분야의 선두로 나아가고,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는 한국이 주도하는 해기 교육 영문화 작업이 필수적이다. '2015 알제리 VTS 교재 제작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해기 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영문화 작업 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짚어 보고, 한국이 해사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기술 교재의 영문화를 위해 갖추어야 할 대안들을 도출해보려 한다.

  • PDF

A Study on the Necessity for Leadership Training of Ship's Officer According to Multinationality of Crew (선원 다국적화에 따른 해기사의 리더십 교육 필요성)

  • Son, Jae-Sik;Go, Gwang-Seop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7.04a
    • /
    • pp.273-274
    • /
    • 2017
  • 선원의 다국적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해기사들의 외국인 선원관리에 대한 리더십이 날로 중요시 되고 있다. 효과적인 리더와 리더십은 교육을 통해 양성되고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선원의 다국적화가 증가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해기사 양성 대학의 리더십 교육체계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학생들이 실습시 경험한 자료를 토대로 설문 분석을 하였다. 향후 확대된 자료의 수집과 심층분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심층 연구를 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f Seafarers Education System for the Sea Power in Korea (해양력 강화를 위한 우리나라의 선원양성에 관한 연구)

  • Kim, Sungkuk;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1
    • /
    • pp.56-66
    • /
    • 2017
  • This paper investigates university-level curriculum by comparing education systems among maritime universities, fishery universities and naval academy. It was found that maritime university programs are full of effective courses related to the concept of Sea Power along with the duties of maritime officers. It is recommended that more interest be paid to on the increase of national sea power by renovating current educational systems and adding more national supports by providing additional maritime policies to establis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or Sea Power.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us of On-Board Communication and Maritime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Oral Test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 및 구술시험도입에 관한 조사·분석)

  • Park, Jin-Soo;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0-282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기사의 선상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을 제안함으로서 국내 해기인력의 일자리 창출 및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며, 선상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를 위하여 해사 직무영어 교육용 교재의 개발 계획, 온 오프라인용 컨텐츠 개발 보급 계획, 해사 영어능력의 다면 평가 및 인증을 위한 해사영어 구술시험 개발 및 시행 계획 및 해기사 면허시험의 영어구술평가의 도입 방안 등의 기본계획과 그 표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해기사 양성교육기관의 재학생과 교원, 승선 중인 해기사와 육상 근무 중인 해기사 등을 대상으로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해사영어 교육과 평가방안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의 요약이다.

  • PDF

선박 자동화 수준에 따른 필요 해기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 An, Yeong-Jung;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50-152
    • /
    • 2018
  • 국제해사기구의 MSC 98차 회의에서 새로운 도출 의제로 MASS(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가 포함됨에 따라 선박 자동화와 무인화는 해상분야의 국제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유럽의 선급과 연구소 및 제조사 등은 선박자동화의 수준을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기술요소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선원의 역할과 교육분야에 대한 고려는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화 수준에 따라 항해사 또는 육상관리자에게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여 각 면허에 대한 적용안과 교육 및 양성에 필요한 기초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선박 자동화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조사하고, 현재 항해사 및 선장 에게 요구되는 STCW 해기능력을 항목화 하였다. 선박의 자동화와 원격운항의 적용에 따라 제외되거나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해기능력을 식별하고 자동화 수준별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해기능력과 면허의 구분에 대한 안을 기반으로 업계와 해기교육기관 전문가들의 검토를 통해 선박자동화와 인적요소에 대한 자동화 수준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Comparative Review of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한국과 필리핀의 해기교육에 관한 고찰)

  • Dimailig, Orlando S.;Jeong, Jae-Yong;Kim, Chul-S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1
    • /
    • pp.71-80
    • /
    • 2010
  • This paper compares the maritime education of two traditional maritime countries, Korea and the Philippines, specifically, in their maritime transportation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view focus on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MMU) and the Philippine Merchant Marine Academy(PMMA). The paper presents the curricular and training programs of both institutions and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designs and methodology of delivery as contained in the requirements of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 keeping 1978, as amended in 1995(STCW 95). It also illustrates the social climate of the two countries and the attitude of maritime community in relation with the maritime programs offered by the institutions towards the quality of the competent maritime gradu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