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기인력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자율운항선박 운항인력 자격제도와 교육프로그램 방향 구상

  • 이창희;최진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32-133
    • /
    • 2022
  • 자율운항선박과 관련된 다양한 해기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글로벌 해운환경을 분석한 후 이에 적합한 해기인력의 역량과 인재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해기인력 자격제도와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상선해기사 수급 예측과 인력부족 진단 및 대응 분석

  • 이정경;신용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9-271
    • /
    • 2022
  • 이 연구는 상선 해기사 인력의 수요를 단순평균법과 추세분석 및 시계열분석을 통혜 예측하고, 예측치와 실적치들을 비교하여 수요 예측방법들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마이코프 분석을 활용하여 직급별로 인력구성의 변화요인을 고려하여 공급을 예측하고 인력부족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자율운항선 도입과 현실적인 공급확대 방안 실행이 부족인력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해기사 인력 수급 대책의 타당성과 효과를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Forecasting Demand and Supply of Marine Officer for Korean Ocean-Going Merchant Vessels (외항 상선 해기사 인력 수요 및 공급 예측에 관한 연구)

  • Sang-hoon Shin;Yong-John Sh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8 no.1
    • /
    • pp.7-16
    • /
    • 2024
  • Although the number of ocean-going merchant ship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marine officers is decreasing. This manpower shortage problem is becoming more serious. This study objectively measured factors determining the demand and supply of ocean-going merchant ship officers and forecasted the exact manpower demand and supply. Demand was predicted by applying the number of ship officers required for each ship size to the number of ships forecasted. The supply was predicted by segmenting by position and age using the Markov model, reflecting increase/decrease factors such as promotion, turnover, retirement, and new entry by year. The demand for ocean-going merchant ship officers will increase from 11,638 in 2023 to 13,879 in 2030 while the supply will decrease from7,006 in 2023 to 6,426 in 2030, with the shortage expected to exceed 10,000 in 2040.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solve the problem of manpower shortage for ocean-going merchant ship officers by improving the accuracy of predictions through objective data, scientific analysis methods, and logical reasoning.

IT기반의 해기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Lee, Yun-Seok;Park, Jun-Mo;Lee, Bo-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55-457
    • /
    • 2012
  •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최근 물동량 증가로 우리나라 항만에 입출항 척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연안 해역뿐만 아니라 원양 해역에서도 선박간의 조우 상황이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 연안 해역은 빈번한 선박 조우로 인한 해양사고 발생이 상당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박 및 해양 관련 업무 종사자들의 인적과실로 인한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해기인력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하여 해기인력의 해양사고예방을 위한 기존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는 자료로 활용하고, 해기인력의 운항능력향상에 중점을 둔 기존 IT기반 시뮬레이터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등을 기초로 향후 해양사고 예방용 통합 시뮬레이션 개발의 주요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여성해기사 직업에 관한 인식 조사

  • Jo, So-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242-244
    • /
    • 2013
  • 한국에서 해운산업으로 배출되는 여성 인력은 년 간 800여명에 이른다. 그 중 과반수의 이하의 여성인력만이 매 년 해운선사에 취업하여 종사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현안 사항들로 채용의 기회는 남성에 비해 현재까지는 적은 편이다. 여성 해기사의 고용기피 이유들 중 하나는 여성해기사가 실제 취업활동시 '남성에 비해 우월하지 않을 것이다' 라는 사회적 인식의 차이도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하에 실제 여성 해기사와 승선 경험이 있는 선원과 그렇지 않은 선원을 대상으로 여성 해기사의 업무 성취도, 팀협력, 의사소통 능력, 직업 만족도 및 직업에 관한 책임감의 범위로 인식의 차이를 설문조사하였다.

  • PDF

국가안보적 측면에서 필요불가결한 해기사의 역할

  • 전해동;하민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31-232
    • /
    • 2021
  • 승선근무예비역제도는 미국의 사례와 같이 훈련된 우수한 승선근무예비역을 제4군으로 장기적으로 양성·예비함으로써 평화시에는 국가의 부를 축적하고, 전시, 사변 또는 국가비상시에는 국가안보를 부담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다. 우리나라가 동북아 물류거점국가 및 해양강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해양 분야의 전략적 인적자원인 해기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승선근무인력의 제4군화 제도의 정착이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승선근무예비역제도는 육·해·공 어느 최정예군대에 의해서도 대체할 수 없는 국가필수요원이며, 특히 국가안보와 해운력의 기초가 되는 제4군의 역할을 하는 해운인력은 양성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한번 교육기반이 무너지면 복원하기 힘든 특성이 있으므로 단순한 직업인으로서의 해기사가 아니라 국가존립을 위한 국가의 사람으로서 국가 백년대계의 근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 PDF

자율운항선박 시대를 대비한 스마트 해기사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현황

  • 임정빈;예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11-112
    • /
    • 2022
  • 자율운항선박과 관련된 첨단기술의 급속한 산업현장 적용과 상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해양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 또는 산업화 동향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결과의 자료 수집과 비교분석 등을 통해서 현황을 분석하고, 자율운항선박과 관련된 스마트 해기사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에 요구되는 교육 관련 내용을 정리 한 후, 현재 연구 개발된 시스템 또는 장비 등과 향후 교육 및 훈련에 요구되는 시스템 또는 장비 등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의 상용화 속도는 기존 예상과 달리 빨라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 해기사 인력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 PDF

해기사 수급 차질과 추진전략 및 과제

  • 전영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23-125
    • /
    • 2022
  • 외항상선 해기사 수급차질 현황을 진단하고 현 상황 지속 시 해기단절 상황을 추정한 후 해기전승을 위하여 향후 10년간 외항상선해기사 연평균 7,500명 유지, 1항·기사와 2항·기사 이직률 30% 감소, 선·기장과 3항·기사 이직률 10% 감소 및 승무경력단절 해기사 복귀 인원 연 80명의 목표를 제시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 및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Changes in Seafarers Functions and Manpower Training by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선원직능 변화와 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 Sung-Ju Lim;Yong-John 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78-80
    • /
    • 2021
  • This study is based on Degree of Recognition and AHP surveys for experts,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the demand of seafarers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hipping industry environment in which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MASS) emerg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ships, and it looks into changes in seafarers' skills. It also analyzes and proposes a plan for cultivating seafarers accordingly. As a result of Degree of Recognition and AHP analysis, it is analyzed that a new training system is required because the current training and education system may cover the job competencies of emergency response, caution and danger navigation, general sailing, cargo handling, seaworthiness maintenance, emergency response, and ship maintenance and management, but jobs such as remote control, monitoring diagnosis, device management capability, and big data analysis require competency for unmanned and shore based control.By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change factors in the duties of seafarers in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seafarers educational institutions response strategies for nurturing seafarers and prioritization of resource allocation, etc. The importance of factors was compared and evaluated to suggest changes in the duties of seafarers and methods of nurturing seafarer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systematically derived the duties and competency factors of seafarers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analyzed the perception level of each relevant expert to diagnose expert-level responses to the introduction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 PD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us of On-Board Communication and Maritime English Education, and Introduction of Oral Test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 및 구술시험도입에 관한 조사·분석)

  • Park, Jin-Soo;Kim, J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0-282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기사의 선상 의사소통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을 제안함으로서 국내 해기인력의 일자리 창출 및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며, 선상 의사소통 능력의 제고를 위하여 해사 직무영어 교육용 교재의 개발 계획, 온 오프라인용 컨텐츠 개발 보급 계획, 해사 영어능력의 다면 평가 및 인증을 위한 해사영어 구술시험 개발 및 시행 계획 및 해기사 면허시험의 영어구술평가의 도입 방안 등의 기본계획과 그 표본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식별하기 위하여 해기사 양성교육기관의 재학생과 교원, 승선 중인 해기사와 육상 근무 중인 해기사 등을 대상으로 선내의사소통 현황, 해사영어교육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 해사영어 교육과 평가방안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의 요약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