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해결중심사고

Search Result 40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ase Study : An analysis on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Gifted Math Students (수학영재아의 문제해결 과정에 따른 사례 연구 - 수학적 사고능력을 중심으로 -)

  • Jung, Chan-Sik;Roh, Eun-Hwa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48 no.4
    • /
    • pp.455-467
    • /
    • 2009
  • During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thought process" is a systematic sequence of thoughts triggered between logic and insight. The test questions are formulated into several areas of questioning-types which can reveal rather different result. The lower level questions are to investigate individual ability to solve multiple mathematical problems while using "mathematical thought." During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thought process" is a systematic sequence of thoughts triggered between logic and insight. The scope of this case study is to present a desirable model i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and to improve teaching methods for math teachers.

  • PDF

연산능력을 기르기 위한 대안적 알고리즘 지도 방안 -사칙연산을 중심으로 -

  • Nam, Seung-In;Gang, Yeong-Ran;Park, In-M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9-38
    • /
    • 2002
  • 알고리즘이란 ‘유한한 단계를 거쳐 일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방법’ 으로써 수량에 관련된 문제를 보다 신속 ${\cdot}$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역사적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 ${\cdot}$ 변천해 왔다. 계산기가 발명되기 전까지는 지필 알고리즘이 매우 강조되어 왔으나 계산기가 상용화되면서 지필알고리즘에 대한 효용성과 활용도가 점차 줄어들고 있으나 지필 알고리즘은 수학학습의 기초 ${\cdot}$ 기본인 동시에 뼈대로써 그 가치와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러나 표준화된 지필 알고리즘에 대한 지나친 강조로 인해 학생들은 대수적 구조나 계산 원리를 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채 반복 연습을 통해 익힌 표준 알고리즘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답을 구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학생들은 수학학습에 대한 불안감과 기피현상이 보이고 있다. 또 인간의 창조적 사고활동의 최종적인 산물인 표준 알고리즘은 대안적인 알고리즘에 비해 효율성에서 앞서지만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서는 그 원리를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수학교육의 목적 중의 하나인 문제 해결력을 기르기 위해, 그리고 표준 알고리즘의 가치와 효율성을 인식시키고, 수학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표준 알고리즘뿐만 아니라 대안적인 알고리즘을 병행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 PDF

The Economic Assessment of Claims for Oil Pollution Damages : The Canadian Experience (유류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 캐나다의 유류해양오염에 대한 사례연구)

  • Jung, Hyung-Chan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4 no.1
    • /
    • pp.157-183
    • /
    • 2003
  • 유류오염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주요한 것으로는 인센티브제의 활용을 들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센티브는 유출 사고로 인해 발생한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해 가해자에게 배상책임(liability for losses due to spills)을 부과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피해액을 실제 화폐단위로 계량화하는 작업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과제이다. 따라서, 최근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자연자원 피해에 대한 가치 평가법(Natural Resource Damage Assessment : NRDA)은 배상책임 부과제도를 정책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이론적 도구로 간주되고 있다. NRDA는 잠재적인 가해자들에게 그들이 자연환경을 보존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고 이를 훼손하게 될 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사회적 비용을 직접 부담해야 한다는 명확한 재무적 인센티브(financial incentive)를 부여함으로써 가해자 보상 원칙 (polluter pays principle)을 실현 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환경자원 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적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는 가상상황평가법(CVM)에 대한 기초 개념과 이론적 체계, 그리고 이를 실제 피해액 추정에 성공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88년 캐나다 북서부 연안에서 발생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사고 당시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를 대신하여 해양오염에 의한 환경피해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한 미국의 컨설팅 회사인 RCG/Hagler, Baily Inc.의 가상상황평가법(CVM) 적용 사례를 분석 검토하였다. Nestucca 사례연구에서는 이들 연구자들이 실제로 활용한 설문지 설계, 설문방법 및 표본설계 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CVM이 본질적으로 갖고 있는 방법론적 문제점들을 연구자들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WTP 추정을 위해 RCG 연구자들이 사용한 사전규제접근법(ex ante regulatory approach)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환경자원 피해액 추정 방법의 한계점도 함께 검토하였다. 캐나다 연방정부와 British Columbia 주정부는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로 인한 자연 자원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으로 $4.3 Million의 보상금을 지급 받게 된다. 캐나다 정부는 이 보상금으로 Nestucca Oil Spill Trust Fund를 설립하여 피해를 입은 자연자원의 원상회복(restoration)을 위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Nestucca 유류오염 사고를 계기로 캐나다 정부와 학계는 해양자원의 피해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와 자원의 원상회복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안을 처음으로 마련 시행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Nestucca 유류오염 사고에 대한 사례연구는 캐나다의 해양환경 보존 정책을 연구하는 출발점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유류오염사고로 알려져 있는 시프린스호 사고와 관련된 손해배상금은 주로 연안어민들의 어업피해 배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접피해에 대한 배상액 48억 5천만원도 대부분 치어방류, 여수대학교 종묘배양장건립 등 피해지역 연안어업 발전을 위한 사업에 투자되었다.

  • PDF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을 이용한 효과적인 문장제 지도방안 -고등학교 중심-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209-229
    • /
    • 1999
  • 보통 문장제(거리 ${\cdot}$ 속도 문제, 시계 문제, 농도 문제, 개수 세기, 측도 영역)는 초등학교부터 반복하면서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는 외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는 문장으로 나타난다. 문장제를 해결하는데는 사고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문장제는 난해하므로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입시위주의 교육 등 여러 여건상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수학을 잘하는 학생이라도 문장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문장제의 해결의 저해 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지도 방안으로서 Polya의 문제해결 전략을 이용하며, 실험반과 비교반의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문장제 지도방안을 연구한다.

  • PDF

의료분쟁조정 신청절차에서의 입법적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小考) -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27조를 중심으로 -

  • Baek, Gyeong-Hui
    • Journal of Legislation Research
    • /
    • no.44
    • /
    • pp.435-464
    • /
    • 2013
  • 의료민사소송은 그동안 의료행위가 지니고 있는 전문성, 밀실성, 폐쇄성 등의 여러 가지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소송이 장기화되고 경제적 비용이 상당하게 소모되었다. 또한 법원의 판결이 이루어지더라도 당사자들이 이를 신뢰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신속성과 공정성에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때문에 소송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상의 의료분쟁조정 및 중재 절차가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의료분쟁조정법 제27조 제8항에서 피신청인이 14일 동안 의사를 표명하지 않는 경우 거부의사로 간주되고, 이 경우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장이 각하결정을 하여야 한다고 규율함으로써, 조정의 개시 조차 순탄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의료분쟁의 최근 현황을 확인해 본 후, 의료분쟁조정법상 조정의 신청에 관한 조문인 제27조에 대한 입법안을 비교 점검한 후 다른 ADR 관련 법률이나 민사소송법상의 조문과 비교하여 불합리한 점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동조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2013. 4. 8.부터 시행이 되고 있는 불가항력적 산과 사고에 대한 무과실보상제도와 관련하여 동조가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Effects of integrative simulation practice on nurs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immersion in problem-based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문제중심학습 통합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지식,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 해결 능력 및 수업 몰입도에 미치는 효과)

  • Song, Young A
    • Women's Health Nursing
    • /
    • v.26 no.1
    • /
    • pp.61-7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integrative simulation practice (PBL-ISP) on nurs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immers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A PBL-ISP educational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hands-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simulator (HFS)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42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0 in the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fall semester of 2019.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3.0,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found in nursing knowledge (t=3.67, p<.001), critical thinking (t=3.40, p=.001), problem-solving ability (t=3.52, p=.001) and immersion (t=4.44, p<.001). Conclusion: PBL-IS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knowledg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immersion than was hands-on practice using an HFS.

The Effects of PBL(Problem-Based Learning)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 메타인지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 최희정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34 no.5
    • /
    • pp.712-721
    • /
    • 2004
  • Purpose: This investigation examined the effect of PBL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pre-posttest with a none qui valent control group design. Scenarios for PBL session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extbooks and patients' charts and tested for content validity. Seventy six nursing students who took a 'Nursing Process' course from two nursing school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PBL during the semester.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es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s which were developed using pedagogics. Critical thinking was measured by the CCTST(California Critical Thinking Skill Test) Form 2000. The data was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pretest-posttest) M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 PBL improved the participants'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but not critical th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supported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as not suppor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outcomes. To improve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PBL should be applied to more subjects in the nursing curriculum.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 Yoo, Myoung-Ran;Choi, Yun-Jung;Kang, Myung-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16 no.1
    • /
    • pp.46-5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BL 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or the experimental group PBL was used during one semester (14 weeks).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Kim, 1997),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K won et al., 2006) and Problem Solving Process Scale (Lee, 1979). The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PB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L has a positive effect on nursing students' education. Therefore, PBL should be used for more subjects in the nursing curriculum.

  • PDF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ndard Criterion for Analyzing Problem-Based Learning Problems in Mathamatics (수학과 문제중심학습 문제 분석을 위한 기준표 개발 및 적용)

  • Huh, Nan;Kang, Ok-Ki
    • School Mathematics
    • /
    • v.11 no.1
    • /
    • pp.165-186
    • /
    • 2009
  • Problem-Based Learning has many implications on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students device their plans to solve the given problems and discuss with workers to find and share some ideas or mathematical contents needed to solve those problems. In this paper we studied characteristics of Problem-Based Learning problem and tried o find out the standard criterion of problem analysis that were appropriate to Problem-Based Learning. We applied them to analyze problems in textbooks and problems that were developed for Problem-Based Learning. Using he result, the further research qu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PDF

Effects of 3-Steps Mind Map Activities on the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Focused on the Astronomy Contents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천문 내용을 중심으로)

  • Son, Jun Ho;Kim, Jongh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2
    • /
    • pp.257-280
    • /
    • 2016
  •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the science gifted students can improve their system thinking by applying 3-steps mind map activities about astronomy contents. Through the pre-study two times, 9 students in 6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systems thinking through the science gifted students' mind maps, causal maps and their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ystem thinking who learned 3-steps mind map activities was more complex and diverse than the controlled group's. Therefore 3-steps mind map activities that have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valuable as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ir system thinking. Through this study, 3-steps mind map activities were confirmed that by inducing background knowledge activation and thinking systematiza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system thinking of science gifted students. So the 3-steps mind map activities can be helpful in cultivate human resources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ased on their system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