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 개서 시스템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분리성에 기반한 직교항 개서 시스템의 변환 (Transformation of Orthogonal Term Rewriting Systems based on Separability)

  • 변석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8호
    • /
    • pp.582-592
    • /
    • 2001
  • 직교항 개서 시스템은 함수형 언어와 그 구현 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룰의 왼쪽 부분을 매우 간략한 형태로 된 flat 시스템으로 번역하는 기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직교항 개서 시스템의 한 부류인 transformable OTRSs를 정의하고, 이 시스템들은 flat 시스템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보인다. 이 변환은 람다 계산법에서 연구된 분리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교항 개서 시스템에서의 분리성과 강력 순차성에 대한 연관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 PDF

분리 시스템의 람다 계산법으로의 변환 (Translation of Separable Systems into the Lambda Calculus)

  • 변석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4호
    • /
    • pp.178-18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패턴을 갖는 항 개서 체계(TRS, Term Rewriting Systems)의 룰을 람다 계산법으로 코딩하는 변환 방법을 제시한다. Böhm의 분리성 이론에 따라 차별화된 룰 패턴을 갖는 분리 시스템은 람다 계산법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Böhm 동등 부류의 특성을 적용함으로써, 이 변환은 디폴트 룰로 된 개서 시스템을 코딩할 수 있으며 TRS의 '의미 없는 팀'들을 동일한 람다 팀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분리가능 시스템의 지수 추이성과 변환 (Index Transitivity and Transformation of Separable Systems)

  • 변석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5호
    • /
    • pp.658-666
    • /
    • 2004
  • 분리가능 시스템은 람다 계산법의 분리가능성을 따라서 정의된 항 개서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구성자 시스템에 한정되어 연구되었던 분리가능 시스템의 정의를 일반 항 개서 시스템으로 확장하고, 이 시스템의 특징을 전진 분지성 및 지수 추이성과 연관하여 설명한다. 분리가능성은 전진 분지성과 동일하며, 지수 추이성을 만족하는 강 순차성은 분리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분리가능 시스템의 패턴 매칭 과정은 지수 트리 형태의 오토마타로 표현될 수 있고, 단순한 패턴을 갖고 있는 구성자 시스템으로 변환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분리가능 시스템은 람다 계산법으로 번역될 수 있다. ML이나 Haskell과 같은 함수형 언어들은 분리가능 시스템의 한 부류이므로, 본 연구는 함수형 언어의 의미를 람다 계산법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기반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지연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항 개서 의미 (Term Rewriting Semantics of Lazy Functional Programming Languages)

  • 변석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3호
    • /
    • pp.141-149
    • /
    • 2008
  • 대부분의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위에서 아래쪽,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을 한다는 전략에 따라, 모호한(ambiguous) 특성을 갖는 룰의 정의를 허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함수형 프로그래머에게 디폴트 룰을 정의할 수 있게 하는 직관적인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한편으로 모호한 룰 때문에 함수형 언어의 의미는 불명확해 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함수형 언어가 갖는 대표적인 특성인 등식 추론(equational reasoning) 원리의 적용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함수형 언어를 람다 계산법으로 변환하는 데 있어서도 정형적인 방법이 아닌 임시방편적인(ad hoc)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연(lazy) 함수형 언어의 패턴 매칭의 의미를 순수 선언적 특성을 갖는 항 개서 시스템(Term Rewriting Systems)의 분리성(separability) 이론과 연관시키고, 분리성 이론에 따라 지연 함수형 언어가 람다 계산법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