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해 지원시스템

Search Result 30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항해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O, Jae-Yong;Park, Ji-Su;Park, Se-Gil;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11-113
    • /
    • 2014
  • 최근 해양사고에 따른 피해가 늘어남에 따라 선박의 안전항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해양사고에 대한 규제 및 사고방지를 위한 기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IT 기술들을 적용한 다양한 항해장비들이 개발되어 항해사의 안전운항을 지원하고 있지만,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무분별하게 제공하기 보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서비스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효율적인 항해 장비는 항해사가 의사 결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내릴 수 있도록 보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선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증강현실 항해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시스템을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는 하드웨어 모듈과 실시간으로 증강영상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분하여 설명하며,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작품의 시험 평가 방법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해지원 시스템은 사고방지 및 운항효율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CTV 기반 차세대 항행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 Jae-Yong;Park, Se-Gil;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42-244
    • /
    • 2014
  • 최근 해양사고에 따른 피해가 늘어남에 따라 선박의 안전항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사고에 대한 규제 및 사고 방지를 위한 기술의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IT 기술들을 적용한 다양한 항해장비들이 개발되어 항해사의 안전운항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무분별하게 제공하기 보다는 정보를 표시하고 서비스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며, 항해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항해장비는 보다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항행지원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정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문에서는 CCTV 카메라를 기반으로 하는 항행지원 시스템의 설계와 각 모듈의 구현에 대해 설명하며, 선박운항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이러한 증강현실 기반의 항행지원 시스템은 해양사고 방지 및 운항 효율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KARS(KRISO Arctic Routing System) 구축 및 성능 시험에 관한 연구

  • Choe, Hyeon;Baek, Geun-Su;Jeong, Seo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83-185
    • /
    • 2018
  • 북극항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전항해를 위한 지원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지역의 항해지원을 위한 선박 운항성능 추정 모델과 기상 예측 데이터, 빙상정보 예측모델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극항로에서의 최적 항해계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사용자 소프트웨어 시스템, 항로 추론을 위한 육상지원시스템을 구축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을 토대로 선박에 설치하여 통신 및 추론항로 정보제공에 관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향후 북극 항로 항해안전 지원 시스템의 구축 및 원활한 항로 지원 서비스제공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실시간 기상/항해 정보를 이용한 최적 항로 지원 시스템 개발

  • Jeong, Se-Yong;Yang, Jin-Ho;An, G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9-41
    • /
    • 2014
  • 최근 유가인상, 운임하락, 온실가스규제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선박의 운항 효율 관리를 위한 직 간접적인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의 탑재사례가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제운항지원시스템들 중에서 실시간 기상정보와 그에 기초한 선박의 부가저항을 고려한 최적의 추천경로를 제공하는 최적 항로 지원 시스템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주어진 ETA (Estimated Time of Arrival) 범위 내에서, 기상예보를 바탕으로 연비관점에서의 최적의 경로 및 엔진출력을 제안하며, 추천경로 및 실제운항경로 사이의 효율비교와 함께 항해정보분석까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선박의 연료절감과 함께 운항경로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a Navigation Safety Support System (해양레저선박의 항해 안전 지원시스템 개발)

  • Shin, Il-Sik;Kim, Bae-Sung;Yu, Yung-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3
    • /
    • pp.261-267
    • /
    • 2015
  • A support system which allows operator to check the condition of a vessel and to warn the sea risk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of leisure boats, is requir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avigational safety support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vessels by monitoring and managing the status of those ships. In developing a system process, each developed equipment is integrated and verified whether the functional, compositional and operational algorithms are working properly according to the designed object.

연안 항해 중소형 선박을 위한 운영 및 유지보수(O&M) 지원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 Hwang, Hun-Gyu;Kim, Bae-Seong;Kim, Jeong-Hun;Gwon, Hae-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1-122
    • /
    • 2019
  • 차도선과 같은 연안 화물 여객선에는 필수 탑재 항해통신장비 이외에 유지보수 지원이나 운항 효율 향상을 위한 장비는 거의 탑재 되어 있지 않은 상황으로 ICT 기술 기반 운영 및 유지보수(O&M, operating and maintenance)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이에 중소형 선박 기자재의 데이터 수집, 통합, 분석을 통해 선박 관리, 유지보수 지원, 운항 모니터링 등의 스마트 O&M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개발하는 시스템은 빅데이터 분석 기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술, 증강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선박을 구성하는 요소의 상태 모니터링, 최적 관리, 원격 유지보수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육해상 통합 O&M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선단 단위 분석, 중소형 해운선사 소모품 관리 및 운영 지원 등 종합적인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이 완료되면, 실선 시험을 통해 개발 시스템과 서비스의 유용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O&M 지원을 위한 시스템에 관해 소개하고, 앞서 언급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선박 및 육상 측 구성요소 정의와 서비스 아키텍처의 설계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 PDF

클라우드 기반의 항해 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Jeong, Seong-Heon;Im, Jae-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61-63
    • /
    • 2015
  • 본 연구는 모선-자선 구조와 관제센터 지역의 특정 소형어선(선박)에게 클라우드 기반으로 항해에 필요한 전자해도, AIS, RADAR 정보를 제공한다. 현존하는 상용 통신망(3G, 4G 및 RF 네트워크)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실선 테스트를 통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정상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Navigational Support Services for Improving Navigational Safety of Non-SOLAS Ships (비협약선박의 항해안전 향상을 위한 항해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 An, Kwang;Kim, Inchul;Kim, Chol-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4
    • /
    • pp.305-310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necessary navigational support services to prevent accidents through an examination and a survey on the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of non-SOLAS ships. The function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for the identified navigational support services were discussed accordingly. Among the navigational support services proposed are a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ENC) service, a route planning service, an operation monitoring service, and collision prevention support services for ships in coastal areas. To facilitate the identified navigational support services, ship navigation system, shore supporting centre and maritime communication network were discussed as a digital infrastructure. The operational methode for the digital infrastructure were discussed in the service scenarios for ships carrying dangerous cargo, large ships over 200 meters in length and high speed passenger ships over 15 knots in speed. This study will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ship operation management in Korean coastal waters and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navigational safety of non-SOLAS ships.

Navigational Supporting System by using Ships' Collision Risk (선박 충돌위험도를 이용한 안전운항지원 시스템 검증 연구)

  • Son, Nam-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85-186
    • /
    • 2014
  • 전자해도 및 레이더와 같은 첨단운항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나, 선박간의 충돌사고는 줄어들고 있지 않고 있으며 전체 사고의 30%를 차지하는 선박충돌사고의 80% 이상이 운항자의 실수에 의해 발생되고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지능적인 운항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박 충돌위험도 식별 정보를 활용하여 운항자에게 안전운항정보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항해레이더에서는 운항자가 특정 선박을 지정하여야만 선박충돌여유거리 및 선박충돌여유시간 등의 충돌예방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신규로 개발된 시스템에서는 선박들 중에 충돌위험이 높은 선박들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충돌예상선박들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충돌 전에 미리 사고를 예방하고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선박에 탑재하여, 실해역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 충돌 위험도 기반의 안전운항 지원 시스템의 특징과 실해역 시험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 PDF

실해역 운항 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

  • Jeong, Se-Yong;An, Gyeong-Su;Yang, Jin-Ho;Jo, Chu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66-68
    • /
    • 2015
  •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은 실해역 속도 성능 예측방법에서의 선택 근거확보와 정확도 평가를 위한 효과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성능검증에 있어서 동일한 선박에 대한 다양한 대안 항로에서의 동시성능계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효과를 직접 비교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한 간접적인 절차를 제안하였고, 시스템의 내부 분석코드를 이용하여 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그 절차는 1) 계산의 근거 인기상 정보의 정확성 검증, 2) 실제 항로에서의 성능예측계산의 신뢰성 확인, 3) 신뢰성이 확보된 계산방법을 이용한 최적항로선택, 4) 실제 항로와 최적항로의 연료 효율성 비교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대상 선박은 폴라리스쉬핑의 솔라돌핀호(208k BC)이며 실선 운항 데이터는 최적항로 지원 시스템을 통하여 직접 계측하였다. 그 결과 호주-한국 항차에서 최적항로를 항해할 경우 약 6.0%의 연료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