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진균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6초

녹용의 약리학적 성분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VELVET ANTLER)

  • 전길자
    • 월간한국양록
    • /
    • 제7권10호통권48호
    • /
    • pp.60-64
    • /
    • 2002
  • 알려진 녹용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활성성분을 이용하여 신의약품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실에서는 녹용의 가장 대표적인 효능인 조혈작용을 하는 성분을 구조 분석하여 MADG임을 밝히었다. MADG는 조혈촉진기능뿐만 아니라 대식세포 증식기능 그리고 비장세포성장을 촉진하는 등 면역활성 조절제로써의 기능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용에 존재하는 인지질 중에서 포화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phophatidylcholine도 면역활성을 촉진시키었다. 항진균작용을 하는 성분을 구조 분석한 결과 lysophophatidylcholine임을 밝히었으며 그 유도체인 CHJ-ester가 숙주세포에는 해를 주지 않으면서 항진균작용을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골다공증치료효과를 검색하기 위해 녹용 정제성분으로 연구한 결과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100$\%$ 저해함을 밝히므로 녹용이 골다공증 치료효과가 있음을 증면하였다. 녹용성분의 유도체인 SCOH가 파골세포분화를 억제함을 밝혀 현재 골다공증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1999년부터 녹용연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10여 개의 활성성분을 분석한 바 있다. 현재 조혈세포촉진작용, 면역증진작용, 골다공증치료작용, 대식세포 증식작용, 항진균작용, 항간질작용에 대한 성분 분석 및 그 약리 기전을 연구하고 있다.

  • PDF

Bacillus sp. SW29-2의 분리 및 Colletotrichum coccodes에 대한 항진균 활성 (Isolation of Bacillus sp. SW29-2 and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coccodes)

  • 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8-693
    • /
    • 2017
  • 하수 슬러지로부터 감자 뿌리썩음병 및 토마토 탄저병을 유발하는 Colletotrichum coccodes에 대해 항진균 활성이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의 partial 16S rRNA sequence는 Bacillus methylotrophicus CBMB205 및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FZB42와 각각 99%의 상동성을 보여주었다. 분리균은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BlastN 염기서열 분석, 형태학적 및 배양학적 특성에 따라 Bacillus sp. SW29-2로 동정하였다. 분리균 Baciilus sp. SW29-2는 B. methylotrophicus CBMB205 type strain과 비교시 4% 이상 NaCl에서 생육하는 것이외에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이 모두 동일하였다. 분리은 호기성, Gram-양성,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세균이었다. 실험한 $18-47^{\circ}C$(최적, 약 $38^{\circ}C$)의 온도범위에서, pH 3-9(최적, 약 6.0) 범위의 초기 배지 pH에서 모두 생육이 관찰되었다. Baciilus sp. SW29-2의 C. coccodes에 대한 생육저지환(직경)은 23 mm에서 29 mm의 범위이었다. 분리 세균은 또한 사과 푸른곰팡이병(penicillum rot disease)을 유발하는 Penicillium expansum에 대해 우수한 항진균 활성을 보여주었다. 현재까지, Bacillus속 세균의 C. coccodes에 대한 항균활성 연구는 파악할 수 없었다. 이 결과는 분리균 Bacillus sp. SW29-2가 식물 병원성 C. coccodes에 대해 생물학적 방제제로의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추후, 식물병을 유발하는 다른 진균에 대해서 적용할 예정이다.

편백정유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 이현옥;백승화;한동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3-257
    • /
    • 2001
  • 편백의 정유성분을 추출하여 수종의 병원성세균과 진균을 대상으로 항세균 및 항진균효과를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편백정유는 그람 양성균인 S epidermidis, 그람 음성균인 V parahemolyticus와 P. aeruginosa에 대해서는 200 ppm부터 항세균효과를 나타냈고, P putida에 대해서는 400ppm 부터 항세균효과를 나타냈다. 항세균효과가 나타난 균주들은 편백정유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5) 또한 편백정유는 효모형 곰팡이인 C, albicans에 대하여 200 ppm부터 항진균효과를 나타냈으며, 사상형 곰팡이인 A, mali와 A, nidulans에 대해서는 400 ppm부터 F. oxyporum 에 대해서 100 ppm 부터 항진균효과를 보였고 편백정유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균주의 성장억제대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편백을 항균제나 방부제로 사용할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Cinnamaldehyde 유도체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Cinnamaldehyde Derivatives)

  • 방규호;민병선;이영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25-530
    • /
    • 1998
  • Cinnamaldehyde 유도체의 항진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chlorocinnamadehyde$가 가장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lpha}-Chlorocinnamaldehyde$는 피부진균증의 원인균주인 Tricophyton mentagrophytes, Microsporium gypseum, Epidermophyton floccosum, Cryptococcus neoformans, Aspergillus niger, Candida albicans와 Penicillium avellaneum에 대해 $9.8{\sim}19.5\;{\mu}g/ml$의 최소저지농도를 보였으나 시판중인 항진균제 clotrimzole보다는 역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lpha}-Chlorocinnamaldehyde$를 제외한 나머지 관련 유도체를 비교한 결과 phenyl기 주위의 유도체 화합물에서는 우수한 항균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acrolein기가 항균활성에 중요한 관능기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물방제능과 식물성장촉진능을 동시에 가지는 Bacillus licheniformis K11의 non-siderophore 항진균 물질 및 cellulase의 생산조건 확인 (Confirmation of Non-Siderophore Antifugal Substance and Cellulase from Bacillus lichemiformis Kll Containing Antagonistic Ability and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 우상민;김상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83-989
    • /
    • 2007
  • Auxin, siderophore, 그리고 cellulase를 동시에 생산하는 생물방제균주 B. licheniformis Kll을 식물병원성진균을 대상으로 균사 성장억제능을 확인결과 6종의 식물병원성 진균에서 균사체 성장억제능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토마토 시들음병을 유발하는 F. oxysporum(KACC 40037)에 가장 강력한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균주가 생산하는 항진균성 siderophore이외에 세포벽이 cellulose로 구성된 P. capsici의 cell wall을 분해하는 cellulase를 생산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뿐만아니라 B. licheniformis Kll은 nutrient broth(pH 8.0), $30{\circ}C$에서 96시간 배양시 토마토 시들음병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는 cellulase의 활성과 sideropore의 최대 생산조건과는 상이하였다. 또한 탄소원과 질소원으로 starch와 urea를 각각 첨가시 항진균성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 역시는 cellulase의 활성과 항진균성 siderophore의 최대 생산조건과 일치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본균주 B. licheniformis Kll은 식물성장촉진 물질은 auxin, 항진균성 siderophore와 cellulase를 생산함과 동시에 또 다른 강력한 항진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방사선유도 돌연변이체 Bacillus lentimorbus WJ5a17에 의한 Pythium Root rot의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Root Rot by Radiation Induced Mutant, Bacillus lentimorbus WJ5a17)

  • 이영근;김재성;장병일;장유신;이호용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76-285
    • /
    • 2003
  • Pythium ultimum에 의한 뿌리썩음병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있는 세균 Bacillus lentimorbus WJ5를 방사선 ($^{60}Co$)을 조사하여 보다 더 강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돌연변이체 B. lentimorbus WJ5a17을 유도하였다. B. lentimorbus WJ5와 WJ5a17을 각각 활용한 미생물제제 FWJ5와 FWJ5a17을 조제하였으며 균체수는 $1.0\times 10^{11}$ CFU $g^{-1}$ 이였다. 미생물제제는 저장 30일째에도 항진균 세균이 $50.\times 10^{10}$ $g^{-1}$ 이상 생존하였고, 상토와 밭 토양에서는 $1.0\times 10^{7}$ CFU $g^{-1}$이상의 생존세포수를 유지하였다. 또한 P. ultimum의 포자발아를 B. lentimorbus WJ5 제제 (FWJ5)가 71.0% 억제하였고, B. lentimorbus WJ5a17 제제(FWJ5a17)는 81.4%억제하였다. 미생물제제인 FWJ5와 FWJ5a17은 고추, 배추와 무의 종자 발아와 초기생장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물 생육초기와 중기에 1회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P ultimum에 의한 뿌리썩음병징의 발생을 유의하게 (p<0.05) 억제하였기에 매우 효과적인 생물학적 제어제임을 알 수 있었다.

무화과(Fig) 분리 성분의 항균성 규명 및 무화과 비누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ucid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Separated Fig Component and the Preparation of Fig Soap)

  • 류성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69-684
    • /
    • 2015
  • 본 연구는 웰빙(well-being)으로 각광받고 있는 천연물 관련 연구에 무화과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다음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화과를 세척 건조하여 알코올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후, Column chromatography, G-Mass, IR, $^1H$-nmr 방법에 의하여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으며, 무화과 추출물을 두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항균, 항진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무화과 추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은 열매와 잎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두 부분 모두 비듬과 피부병 치료 효능을 가진 항균 및 항진균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화과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액체배지 희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고, 무화과의 산업화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무화과 추출물 함유 수제 투명 및 고형 비누를 제조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 및 essential oil의 피부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and Essential Oil from Pinus densiflora on Skin Pathogens)

  • 박선희;김꽃봉우리;김민지;최정수;조영제;안동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6-651
    • /
    • 2017
  • 본 연구는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을 피부염 유발 균주에 적용함으로써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먼저 paper disc 법을 이용하여 항균 및 항진균 실험에서 송엽, 송절 및 송화 에탄올 추출물은 대부분의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물 추출물은 모든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송엽 및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이 T. rubrum을 제외한 모든 피부염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송화 70% 에탄올 추출물은 C. tropicalis와 P. acens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보였다. 소나무 essential oil의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C. albicans, C. tropicalis, T. rubrum에 대해 1.5~3 mm 정도의 생육저해환을 형성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나무 부위별 70% 에탄올 추출물에 활성을 나타내었던 피부염 관련 균주 6종에 대한 최소생육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송엽 70% 에탄올 추출물은 C. tropicalis 및 P. acnes에 대하여 0.002%와 0.0063%의 낮은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은 0.003% 농도에서 P. acnes의 생육을 억제하여 뛰어난 효과를 보였다. 소나무 essential oil의 최소생육 저해 농도를 측정한 결과, 0.025% 농도에서 C. albicans와 C. tropicalis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송엽 essential oil은 C. albicans, C. tropicalis, T. rubrum에 대해 항진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나무 부위 중 송엽과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뛰어났으며, 특히, 송절 70% 에탄올 추출물이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에 대해 더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소나무 송절과 송엽 에탄올 추출물과 essential oil은 Candida 속과 P. acnes에 대한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나 이와 관련한 피부질환 개선에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