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응고 요법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6초

쇽 혹은 우심실부전을 보이는 중증 폐혈전색전증에서 혈전용해요법과 항응고요법의 효과 (Comparison of Effect Between Thrombolysis and Anticoagulation in Major Pulmonary Thromboembolism)

  • 한송이;송재관;이상도;임채만;고윤석;박찬선;오연목;심태선;김우성;김동순;김원동;홍상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5호
    • /
    • pp.487-496
    • /
    • 2005
  • 연구배경 : 우심실부전 또는 쇽을 보였던 중증 폐색전증에서 혈전용해요법 혹은 항응고요법을 시행했을 때 예후의 차이에 대해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했던 폐색전증 환자 중에서 우심실부전 혹은 쇽이 있었던 총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57명의 환자가 혈전용해요법 또는 항응고요법을 시행 받았으며, 이 중 혈전용해제는 13명(23%)에서, 항응고제는 44명(77%)에서 사용되었다. 혈전용해요법 군과 항응고요법 군에서 APACHEII 점수나 SOFA 점수에 차이는 없었고 사망률은 각각 46% (6/13), 16% (7/44)였다(p=0.054). 쇽이 있는 19명(33%)의 환자 중 혈전용해요법은 9명(47%), 항응고요법은 10명(53%)에서 시행되었고 사망률은 각각 44% (4/9), 30% (3/10)로 차이가 없었다(p=0.650). 38명(67%)의 우심실부전 군에서 혈전용해요법은 4명(11%), 항응고요법은 34명(89%)에서 시행되었고 사망률은 50% (2/4), 24% (8/34)로 차이가 없었다(p=0.279). 중요 출혈부작용은 혈전용해요법 군과 항응고요법 군에서 23% (3/13), 5% (2/44)로 혈전용해요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2). 결 론 : 중증 폐혈전색전증 환자에서 쇽 군과 우심실부전군을 각각 혈전용해요법과 항응고요법으로 치료했을 때, 두 군 모두에서 혈전용해요법이 항응고요법에 비해 사망률을 감소시키지 못했으며, 출혈부작용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출혈성 경향이 높은 소아환자의 지속성 신대체 요법시 사용되는 항응고제로서 Nafamostat mesilate의 사용 (The Use of Nafamostat Mesilate as an Anticoagulant during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for Children with a High Risk of Bleeding)

  • 이상택;조희연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8권2호
    • /
    • pp.98-105
    • /
    • 2014
  • 목적: Nafamostat mesilate는 출혈성 경향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지속적 신대체 요법시 항응고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소아에서의 경험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출혈 성향이 높은 소아에서 지속적 신대체 요법을 시행하는 경우에 항응고제로서 Nafamostat mesilate의 용량,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최소 24시간이상 지속적신대체요법을 받은 40명의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은 출혈 위험군(그룹 1: 항응고제 사용 안함, 그룹 2: 항응고제로 Nafamostat mesilate 사용)과 출혈 위험이 없는 군(그룹 3: 항응고제로 헤파린 사용)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40명의 환자 중에서 남아는 25명 여아는 15명 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8.2{\pm}6.6$세 이었다. 지속적신대체요법의 평균 시간은 13일 이었다. 평균 혈액 필터 수명은 그룹 1에서는 39.3시간 이었고, 그룹 3에서는 11.3시간이었다. 그룹 2에서는 Nafamostat mesilate 사용 전에는 7.5시간 이었으나 Nafamostat mesilate 사용 후에는 27.4시간으로 연장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평균 혈액 필터 수명은 Nafamostat mesilate을 사용한 그룹에서는 헤파린을 사용한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연장되었다(P=0.018). Nafamostat mesilate 사용한 군에서 의미있는 출혈이 동반되지는 않았다. 결론: Nafamostat mesilate은 출혈 성향이 높은 소아에서 지속적 신대체 요법을 시행하는 경우에 헤파린을 대체해서 사용될 수 있는 항응고제로 생각된다.

소아의 지속적 신대체요법에서 Citrate 항응고요법의 경험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nln for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Children)

  • 한혜원;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76-82
    • /
    • 2005
  • 목 적 : 최근 임상 적용이 늘어나는 citrate 항응고요법은 전신적 출혈성 경향을 증가시키지 않으나 여러 가지 대사 이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칼슘포함투석액을 이용한 citrate 항응고요법의 효과 및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3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CRRT를 시행받은 28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항응고요법의 종류에 따른 필터 수명을 비교하고 citrate 항응고요법을 시행한 환아들에서 CRRT 시작 시점과 시행 48시간 후의 전해질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 28명의 환아들 중 모두 5명에서 citrate를 사용하였으며 이중 4명에서 출혈성 경향이 동반되어 있었다. Citrate를 사용하였을 때 필터 평균 수명은 1.60$\pm$0.72일로 CRRT 시행 중 출혈성 합병증은 없었다. 치료 전후의 Pf, aPTT, sodium, t$CO_{2}$, iCa은 차이가 없었으나 치료 48시간 후 총 Ca은 증가하였다. 필터 후 iCa 목표를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0.25-0.39 mmol/L로 하였을 때 5례에서 모두 citrate 주입량이 증가하였으며 Ca 주입량은 감소하였다. 결 론 : 칼슘포함투석액을 이용한 citrate 항응고요법은 소아에서 출혈성 합병증이나 대사 이상을 유발하지 않고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출혈성 경향이 동반된 환아의 CRRT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다만 현재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값보다 필터 후 칼슘의 목표를 상향 조정하는 것이 추천된다.

  • PDF

하지 관절경 수술에 대하여 시행된 항응고 요법에 의한 혈액 응고 검사의 변화 : Enoxaparin versus Rivaroxaban (The Effect of Thromboprophylaxis in Lower Extremity Arthroscopic Surgery on Coagulation Test : Enoxaparin versus Rivaroxaban)

  • 박상은;백영웅;김종대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7
    • /
    • 2012
  • 목적: 관절경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항응고 요법이 응고능에 미치는 영향과 대표적 항응고 약물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항응고 약물 중 두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한 환자들의 혈액 응고 검사를 수술 전후에 시행하여 수술 전 후 및 두 약물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 수술을 시행한 47예의 슬관절 혹은 고관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군을 무작위로 enoxaparin과 rivaroxaban을 사용한 두 그룹으로 나누어 수술 전 및 수술 후 5일째 응고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전후 및 두 약물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시행한 응고 검사에서는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수술 후 5일째 시행한 응고 검사에서는 prothrombin time-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PT-INR),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에서 증가 소견을 보였고 특히 rivaroxaban 환자군의 수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관절경 수술의 약물을 통한 항응고 요법은 혈액 검사를 통한 결과에서 출혈 경향 면에서 안전한 범위에서 수술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rivaroxaban을 사용한 환자 군에서 응고능의 정상 범위를 넘어서는 환자가 있어 rivaroxaban의 사용에 주의를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심방세동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정도 (The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 김경희;송주현;신승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49-258
    • /
    • 2021
  • 본 연구는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심방세동 질병관련 지식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지식측정을 위해 JAKQ와 KAFSP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222명의 대상자가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JAKQ와 KAFSP의 평균 점수는 각 54.7점, 18.5점이었으며. 심방세동 환자들은 대체로 심방세동이 뇌졸중을 유발하며, 혈전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를 복용해야 하는 점에 대해 잘 알고 있었으나, 항응고제 복용 시 주의사항과 심방세동의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였다. 항응고요법에 따른 심방세동 질병관련 지식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VKA 관련 지식의 정도가 낮았다. 또한, JAKQ와 KAFSP 모두 교육수준에 따른 심방세동 질병관련 지식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방세동 환자의 지식 향상을 위해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와파린 및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에서의 치료 내시경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 (Therapeutic Endoscopy-related Gastrointestinal Bleeding and Thromboembolic Events in Patients Using Warfarin or Direct Oral Anticoagulant)

  • 나희경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5호
    • /
    • pp.271-273
    • /
    • 2018
  • 내시경 시술 전 일시적으로 항응고제를 중단하는 것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과 혈전색전증의 위험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잡기 어렵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많다. 와파린은 새로운 경구용 항응고제(direct oral anticoagulant agent, DOAC)보다 임상의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를 쉽고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잡한 약역동학 특징과 좁은 치료적 범위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 반면, DOAC는 약물의 모니터링 및 용량 조절 없이 정해진 용량으로 처방이 가능하며, 빠르게 작용하고, 반감기가 짧아 관리가 쉽지만 해독제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전 연구들에서 DOAC를 복용한 환자들은 와파린을 복용한 환자들보다 시술과 관련되지 않은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높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시술과 관련된 위장관 출혈 위험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미국이나 유럽 내시경 가이드라인들에서는 저위험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는 와파린과 DOAC를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고위험 시술의 경우에는 와파린를 사용하는 환자들에서 헤파린 교량 요법(heparin bridging)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임상적으로 DOAC를 사용하는 환자들 또한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해볼 수 있는데, 와파린 및 DOAC의 헤파린 교량 요법과 관련된 출혈 및 혈전색전증 위험의 차이 또한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1) 와파린과 DOAC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의 출혈, 혈전색전증 및 사망의 위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2)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 중에서 시술별 위험을 비교하고, 3) 헤파린 교량 요법이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는지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본 대규모 국가 입원 환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2014년 4월부터 2015년 5월까지 시술 전 와파린 또는 DOAC(rivaroxaban, apixaban, dabigatran, edoxaban)를 복용하고, 13종류의 고위험 내시경 시술을 시행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환자 총 16,977명을 확인하였다. 고위험 시술은 용종 절제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협착 부위의 풍선확장술, 내시경 지혈술, 내시경 정맥결찰술, 내시경 주사 경화요법, 내시경 괄약근절개술,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 경피적 위루술을 포함하였다. 일대일 성향 점수 매칭 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기저 질환, 병원의 규모, 시술의 종류, 약물의 종류를 매칭)을 시행하여 와파린군과 DOAC군에서 시술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또한 경구항혈전제와 헤파린 교량 치료 시행 유무에 따라, DOAC 단독군, 와파린 단독군, DOAC와 헤파린 교량 요법군,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요법군으로 나누어, 하위군(subgroup) 분석을 시행하였다. 5,046쌍이 성향 점수 매칭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와파린군에서 DOAC군보다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다(12.0% vs. 9.9% p=0.02). 혈전색전증 발생률(5.4% vs. 4.7%)과 입원중 사망률(5.4% vs. 4.7%)은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DOAC 종류별로 나누어 하위군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와파린군은 rivaroxaban군에 비하여 위장관 출혈의 비율이 높았으며, rivaroxaban군, dabigatran군에 비하여 혈전색전증의 비율이 높았고, 입원 중 사망률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내시경 시술의 종류로 보정하였을 때 위장관 출혈 및 혈전색전증, 사망률은 DOAC 단독으로 치료한 환자에서보다 와파린과 헤파린 교량 요법(bridging) 또는 DOAC과 헤파린 교량 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높았다. 시술 종류 중에서는 위루관 삽입술에 비하여 내시경 점막하박리술, 내시경 점막절제술 및 내시경 정맥류결찰술, 내시경 주사경화요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이 가장 높았으며, 하부 내시경 점막절제술, 하부 용종 절제술, 내시경적 유두괄약근절제술 또는 내시경 초음파 유도하 미세침 흡인 검사는 중등도 위험을 보였다.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 (The Efficacy of Endovascular Treatment for Deep Vein Thrombosis)

  • 김선희;정성운;김창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66-272
    • /
    • 2010
  • 배경: 심부정맥 혈전증은 폐색전증이나 만성 심부정맥 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기본적인 치료로 항응고요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식적인 항응고요법은 치료 이후 재발과 혈전후 증후군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나 최근에는 중재적 시술을 이용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하지 심부정맥 혈전증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중재적 치료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심부정맥 혈전증으로 중재적 시술을 시행한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및 치료 방법, 치료 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이전에 항응고제만으로 치료한 45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연령은 중재적 치료의 경우 55.4세, 대조군의 경우 53.7세로 두 군 모두 여자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도관을 이용한 혈전 용해제를 투여한 환자는 총 22명(78.5%)이었고 흡입 혈전제거술을 시행한 환자가 18명(62.0%),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가 25명(86.2%)이었다. 폐색전증의 위험이 있어 하대정맥 내 필터를 삽입한 환자가 15명(51.7%)있었다. 대조군의 경우 저분자량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39명(86.7%), 와파린을 사용할 수 없어 아스피린만으로 치료한 경우가 7명(15.6%), 헤파린으로 치료한 경우가 6명(17.8%) 있었다. 혈전용해제 또는 항응고제 사용 후 출혈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중재적 치료의 경우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전증의 재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전후 증후군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고(p-value=0.008) 사망한 경우가 없어 임상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중재적 치료는 고식적 항응고요법과 비교하여 안전하며 빠른 증상 호전과 낮은 합병증 발생률을 보이지만 아직까지 장기적인 유용성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향후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승모판막 치환술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Experience of Mitral Valve Replacement)

  • 김종원;황수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47-1353
    • /
    • 1996
  •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1982련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승모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하여 승모판막치환술 후 장기성적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 중 남자는 159명이었고 여자는 215명이 었으며 평균연령은 31.8세였다. 병원사망율은 24례(6.4%)였고 가장 흔한 원인은 저심 박출증후군으로 12례였다. 치환된 판막은 기계 판막이 314개, 조직판막이 60개였고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는 31례로 모두 기계판막을 사용하였다. 거의 전환자에게 coumadin을 투여하여 항응고요법을 시행하였고 국제정상화비(INR)가 1.5~3.0이 되도록 하였다. 생존례의 추적관찰은 93%에서 가능하였고 2270환자-년이었다. 만기 사망례는 12례였는데 그 중 3례가 뇌출혈, 3례가 뇌혈관전색으로 사망하였다. 병원 사망율을 포함한 만기 생존율은 술후 10년에 82.3%였다. 만기합병증의 발생율은 전색증이 1.3%환자-년, 항응고요법과 관련된 출혈성함병증이 1.3%환자-년이었다. 술후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으로는 뉴욕심장협 회의 심기능평가를 포함한 술전 환자상태, 첫 수술인 경우, 판막부속기 보전의 수술법 및 너무 크지 않은 기계판막\ulcorner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동맥 판막 및 근부 심내막염에서 자가폐동맥판을 이용한 대동맥근부치환술 (Pulmonary Autograft Replacement in Native Aortic Root Abscess)

  • 나찬영;김수철;오삼세;김욱성;정철현;정도현;김웅한;이창하;이영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1009-1013
    • /
    • 1998
  • 대동맥근부를 포함한 대동맥 판막 심내막염은 적극적인 내과적 및 외과적 치료를 해도 염증의 재발이나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자가폐동맥판막을 이용하여 전대동맥근부치환술은 이식편이 생체 조직이고, 면역학적으로도 안전한 조직이라 술후 항응고요법이 요구되지 않는 술식이다. 저자들은 38세된 여자환자에서 대동맥근부를 포함한 대동맥 판막 심내막염 환자에서 Ross술식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험하였고 수술후 3개월간 추적중 양호한 상태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