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염증작용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수종 생약의 항염증 작용

  • 정다운;강애라;심광효;성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40-240
    • /
    • 1994
  • 1. 천연 항염증 물질의 분리 천연 항염증 약물 개발을 목표로 하여 한방과 민간에서 소염, 진통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식물들을 대상으로 Carrageenin에 의해 유도된 백서 후족 부종의 억제를 지표로 Screening을 행한 결과, 2종의 식물의 부탄을 엑스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즉, 호랑가시나무(flex cornuta L. ) 잎 및 쑥부쟁이 (Aster yomena Makinc)의 부탄을 엑스가 Aspirin(300mg/kg)에 필적하는 항염증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식물들의 부탄을 엑스로 부터 각각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호랑가시나무로 부터는 01eanane type의 monodesmoside와 Pomolic acid bisdesmoside가, 쑥부쟁이로 부터는 Hederagenin bisdesmoside및 구조 미확정의 물질이 각각 분리되었다. 2.천연 항염증 물질의 구조 변환 항염증 약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유효성분인 Saikosaponin-a의 용해도 개선을 위하여 그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Saikosaponin-a hemisuccinate의 K염은, 용해도 시험 결과 현저한 용해도 증가를 보였다.

  • PDF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뽕나무 오디추출물의 항염증(抗炎症).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대한 생리활성(生理活性) 검색(檢索))

  • Kim, Sun-Yeou;Park, Kwang-Jun;Lee, Won-Chu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6 no.3
    • /
    • pp.204-209
    • /
    • 1998
  •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ulberry fruit were investigated by using bioassay screening system. The extract of muberry fruits showed inhibitory effect in phospholipase $A_2$ activity and cyclooxygenase II activity. Among nine varieties of mulberry tre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Shingwangppong, Ficus, Cheongilppong and Keomseolppong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varieties. Also, antioxidative activity of mulberry fruit was examin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mulberry fruit decreased as following order : Shingwangppong > Keomseolppong > tetraploid Ficus> diploid Ficus.

  • PDF

Effect of Soluble EPCR on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by Activated Protein C (수용성 EPCR에 의한 활성화된 단백질 C의 항염증 작용에 관한 연구)

  • Bae, Jong-Sup;Park, Moon-Ki;Park, Sang-Wook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7 no.4
    • /
    • pp.501-505
    • /
    • 2009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soluble EPCR(Soluble Endothelial Protein C Receptor, sEPCR)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by activated protein C(APC) in endothelium. We demonstrated that sEPCR inhibited the barrier protective activity, the inhibition of neutrophils adhesion toward endothelial cells and the inhibition of transendothelial migration by APC in endothelial cells. Interestingly, sEPCR also blocked the mechanism by which APC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ell adhesion molecules(CAM) by TNF-alpha in endothelial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PC was inhibited by sEPCR which blocked the binding motifs of Gla domain of APC to membrane bound EPCR. This finding will provide the important evidence in the development of new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severe sepsis and inflammatory diseases and good clue for understanding unknown mechanisms by which APC show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endothelium.

Aspalatone의 항염증작용

  • 한병훈;서대연;양현옥;이송진;김현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235-235
    • /
    • 1994
  • NSAID의 대표적인 유도체인 acetylsalicylic acid(aspirin)은 항혈전 작용이 있다고 밝혀졌고, 주기적인 aspirin의 투여는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위궤양등 부작용의 발현이 심각하여 위의 목적에 입각한 aspirin의 장기적인 사용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에 더욱 안전한 유도체인 aspalatone을 합성하였고, 이 물질은 낮은 궤양 유발능을 보이는 유망한 유도체로 개발중에 있다. 본 연구는 aspalatone의 in vivo 항염증 활성을 밝히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 PD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야생 복숭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 Cha, Bae-Cheon;Lee, Eun-Hee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 /
    • v.12 no.4
    • /
    • pp.289-294
    • /
    • 2004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continuously produced at a high rate as a by-product of aerobic metabolism.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 and various diseases. High level of hyaluronic acid with decreased molecular weight has been detected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diseases including rheumatoid arthritis. In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imowicz in order to screen the bioactive substances which can be developed as possible anti-inflammatory agents. Among the extracts of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imowicz, EtOAc extract exhibited the strongest effect on antioxidant experiment such as DPPH, Ferric- Thiocyanate and Rancimat. Also, EtOAc extract showed a potent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Ⅵ) - Anti-inflammatory and Anlagesic Effects of Cedrela sinensis, Oenanthe javanica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 (한국산 식용식물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Ⅵ) - 참죽나무 잎, 미나리, 쑥의 항염증 및 진통효과 -)

  • 박종철;유영법;이종호;김남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3 no.1
    • /
    • pp.116-119
    • /
    • 1994
  • The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ons of Cedrela sinensis, Oenanthe javanica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ere carried out. The methanolic extract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carrageenin-induced edema as well as vascular permeability in mice. And we also found the alagesic activity in these plants.

  • PDF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and Helianthus tuberosus L. of Cultivated in Sunchang-gun (순창산 초석잠과 돼지감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활성 평가)

  • Se-Won Lee;Mina Sin;Tae-Hu Jang;Hyun-Jin Tae;Dae-Geun Kim;Kyeon-Ok Jeong;Jeong-Ho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84-84
    • /
    • 2020
  • 염증 (Inflammation)은 병원체, 손상된 세포, 자극물질 등으로 인한 손상에 대해 작용하여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을 재생하는 작용으로써 신체 방어 기전들 가운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증반응이 과다할 경우 각종 염증성 질환 혹은 암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발전할 수 있어 항염증제의 개발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다. 선천적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는 lipopolysaccharide(LPS), 활성산소 (ROS) 등에 의해 자극되어 염증인자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염증 소재 개발을 목표로 하며, 국내 천연소재를 활용한 기능성 항염증 소재로 전북 순창군에서 재배된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과 돼지감자 (Helianthus tuberosus L.)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대식세포주를 활용한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북 순창 지역에서 재배 된 초석잠과 돼지감자를 사용하여 각 조건의 추출 용매, 온도, 시간별 추출물의 Total polyphenol 함량 평가를 통한 최적 추출조건 선정을 진행하고, 선정된 추출조건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분석 및 Total flavonoids 함량 분석을 통해 항산화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또한 항염증 소재로의 활용을 위해 대식세포인 Raw 264.7을 사용하여 농도별 MTT assay를 진행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고, Nitric oxide (NO) 생성억제 효능을 확인하여 항염증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Total polyphenol 함량 분석을 통해 최적 추출조건이 선정된 초석잠 (25℃, 주정 60%, 3 h), 돼지감자 (25℃, 주정 40%, 1 h)은 최적 조건에서 약 58 mg GAE/g 및 158 mg GAE/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Total flavonoids 함량 분석한 결과, 초석잠이 돼지감자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 실험에서의 추출물 처리군의 세포독성 측정 결과, 100 ug/mL 이내의 농도에서 독성활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활성 측정을 통해 LPS 처리군 대비 접종량 100 ug/mL 기준 각각 초석잠 약 47%, 돼지감자 약 49% 수준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