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암

검색결과 3,457건 처리시간 0.046초

급성골수성백혈병환자의 항암화학요법 주기내의 호중구감소증과 영양상태 (Neutropenia & Nutritional status during Chemotherapeutic cycle in Acute Myeloid Leukemia)

  • 김명희;강인순;조호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38-446
    • /
    • 2009
  • 본 연구는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우선적인 치료방법인 항암화학치료제 투여 후 발생되는 호중구 감소기간을 잘 관리하기 위하여 호중구감소증 정도와 영양상태와의 관련성을 규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시 P대학병원에서 1차 강화항암화학치료까지 받고 회복한 성인환자 54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열람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항암화학요법 주기내의 호중구감소증이 지속되는 기간은 6일에서 28일(평균 14.78일)이었으며, 호중구감소증이 시작되는 시기는 5일째에서 15일째 사이(평균 9.54일)에 나타났으며, 최저백혈구수의 시기는 평균 18.41일째였으며, 27.8%에서 19일째 가장 적은 백혈구수를 보였다. 항암요법 주기내의 항암화학요법 시작시와 절대호중구수가 가장 낮은 시기의 총단백질량, 체중, 체질량지수와 같은 영양상태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알부민, 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중구감소증은 성별, 나이, 동반질환유무, 체표면적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호중구감소증과 영양상태간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호중구감소 기간 동안의 영양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젓갈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SW-1의 항암활성 (Antitumor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SW-1 isolated from Jeotgal)

  • 박종기;조용운;최영우;정영기;갈상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15-820
    • /
    • 2004
  • 본 연구에서 미생물유래의 종양 예방 및 억제제 개발을 목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젓갈에서 항암 활성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 동정 하였다. 젓갈로부터 항암물질을 생산하는 균주 SW-1을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는 Bacillus subtillis SW-1으로 동정되었다. 본 균주로부터 항암물질은 실험에 사용한 두가지의 암세포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 중에서 폐암 세포인 A549에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3.0% soluble starch, 1.0% yeast extract 였다. 무기염의 경우는 활성에는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지의 초기 pH 및 배양온도에 따른 항암물질의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초기 pH 5.0배양온도 3$0^{\circ}C$에서 25시 간배양 했을 때 최대 활성을 보였다. Chromosomal DNA단편화 실험에서 Bacillus subtilis SW-1의 배양상등액을 처리했을 때 DNA가 사닥다리모양으로 분해되는 Apoptosis(계획된 세포죽임)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미생물이 생성하는 물질을 현재 HPLC, GC등을 이용하여 분리 중에 있으며 현재까지의 결과로는 당 중합체 인 것으로 분석된다.

Rhanella aquatilis 유래 당단백질과 항암제 혼합물에 의한 인체 대장암 HT29세포에 대한 항암상승효과 (Synergistic Anticancer Activity of a Mixture of Anticancer Agent with Proteoglycan from Rhanella aquatili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 HT29)

  • 박혜지;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79-382
    • /
    • 2013
  • Rhanella aquatilis AY2000 균주가 생산하는 일종의 당단백질인 항효모성 물질 (AYS)에 대한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in vitro에서 암세포에 대한 AYS의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YS는 인체의 Jurkat T 세포와 마우스의 sarcoma 180 세포에 대해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인체 대장암세포인 colon cancer TH20 세포에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 AYS는 62.5에서 500 ${\mu}g/ml$까지 농도의존적으로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 AYS와 시판 항암제를 혼합하여 처리한 결과 시판 항암제를 단독으로 처리한 것 보다 인체대장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가 더욱 상승되었다.

상황버섯 자실체의 in vitro 및 in vivo 항암활성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 이영경;한명주;박순영;김동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77-480
    • /
    • 2000
  • 재배상황버섯의 in vivo에서의 항암효과와 in vitro에서 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재배상항버섯의 물추출물과 이 물추출물의 50% cold acetone 침전분획에 대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거의 없거나 아주 약하였다. 그러나, sarcoma 180을 복수에 이식하여 만든 복수암 생쥐에 대한 항암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물추출물과 acetone 침전분획 모두에서 생명연장효과와 생존율을 높였다. 또한 sarcoma 180을 생쥐의 안와에 이식하여 만든 고암암 모델 동물에서 재배 상황버섯의 물추출물분획은 고형암의 성정억제율이 약하였으나 acetone 침전분획물에서는 아주 높은 고형암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재배상황버섯의 항암효과는 암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기보다는 기존의 버섯들과 마찬가지로 생체의 면역능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lassification models for chemotherapy recommendation using LGBM for the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 Oh, Seo-Hyun;Baek, Jeong-Heum;Kang, Un-G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9-17
    • /
    • 2021
  • 본 연구는 대장암 환자의 치료방법 중 하나인 항암화학요법을 분류할 수 있는 시스템인 CDSS연구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 대장암 치료에서 환자의 상태에 맞는 항암화학요법의 선택은 환자의 생존 기간과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의 개인적, 병리학적 특성을 사용해 기저 모델, 병리학적 모델, 그리고 환자의 두 가지 특성을 모두 사용한 결합 모델을 만들어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분류하였다. Top-n Accuracy와 ROC 곡선, AUC로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결합 모델에서 가장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LGBM 알고리즘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환자 특성별 모델을 분류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맞는 항암화학요법 분류 모델을 구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본 연구 결과를 기초한다면 더 좋은 성능의 항암화학요법 분류 모델을 만들어 CDSS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과라나와 그라비올라가 인체 대장암에 미치는 항산화 및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Guarana and Graviola in Human Colon Cancer)

  • 이명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7-223
    • /
    • 2019
  • 본 연구는 사람의 대장암에 천연물인 과라나와 그라비올라가 어떤 효능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항산화 활성과 항암활성을 분석하였다. 각각 에탄올로 추출하여 control, 25.0, 50.0, 75, 100.0mg/ml의 농도에서 DPPH분석한 결과 과라나는 50mg/ml에서 80.9%, 그라비올라는 71.4%의 소거율을 보여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체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에서 MTT assay와 FACS에 의한 apoptotic rate로 항암효과를 조사한 결과, 과라나와 그라비올라 모두 세포증식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특히 10mg/ml의 농도에서 과라나는 96.65±3.71, 그라비올라는 76.58±2.87%의 높은 apoptotic rate를 나타냄으로써 뚜렷한 항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천연 식물성 성분인 과라나와 그라비올라가 대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항암제로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향후 국민건강 및 의료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재가 폐암환자의 교육요구 :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Educational Needs for Home-Based Lung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focused on the content analysis)

  • 모문희;장희정;김혜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33-41
    • /
    • 2022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재가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D시 일개 대학병원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재가 폐암환자 20명이었다. 2016년 7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Krippendorff의 방법을 사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의 범주, 9개의 주제, 19개의 하부 주제와 54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 교육요구의 3가지 범주는 '심리적 요구', '지식적 요구', '사회적 요구'로 재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환자는 예후와 스트레스를 지지하고 교육을 통해 부작용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사회적 지원체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재가 폐암환자의 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호흡기계암세포주에서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이 항암제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NF-$\alpha$ Gene Transfer to Respiratory Cancer Cell Lines on Sensitivity to Anticancer drugs)

  • 모은경;이재호;이계영;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최형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302-313
    • /
    • 1995
  • 연구배경: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는 다양한 생물학적인 작용을 가지며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그 대표적인 기능중의 하나이다. TNF-$\alpha$는 생체외에서(in vitro) 몇몇 종양 세포주에 대하여 항암제, 특히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agent의 세포 독성 효과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암세포에 대한 cytokine 유전자 요법에서 TNF는 중요한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유전자 이입에 의해 암조직이 TNF를 생성하게 될 경우 암 증식 억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연구자는 암세포에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하여 자신이 TNF-$\alpha$를 생성하도록 형질을 변환시킨 암세포는 topoisomerase II 억제 항암제에 대한 김수성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고 이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외로(in vitro)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하여 TNF-$\alpha$를 생성하는 암세포주에서 topoisomerase II targeted drug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 효과가 모세포주에 비하여 증대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법: TNF-$\alpha$에 감수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인체 중피종 세포주인 NCI-H2058 세포주 및 생쥐의 섬유육종 세포주인 WEHI164 세포주와 인체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주를 배양하여, 먼저 임상에서 흔히 폐암의 항암 화학 요법 치료에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drug인 etoposide(VP-16)와 doxorubicin(adriamycin)을 가하였을 때 관찰된 세포 독성을 MTT assay로 측정하고, 각 모세포주(parenta1 cell line)에 TNF-$\alpha$의 유전자를 이입시켜서 형절 변환한 세포주(transformed cell line)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 관찰된 세포 독성의 정도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모세포주에 외부에서 TNF를 가하여 전처치한 후 동일한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의 세포독성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H2058 세포주에서는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한 세포주 topoisomerase II targeted drug을 가하였을 때, 항암제 감수성이 모세포주에 같은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에 비하여 의미있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p<0.05), WEHI 세포주와 A549 세포주에 있어서는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한 세포주에서 모세포주에 비하여 항암제 감수성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결론: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이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drug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적어도 선택된 특정 종류의 호흡기계 암세포에 있어서는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으로 항암제 감수성(chemosensitivity)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위암세포 사멸에 미치는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의 효과 (The Effects of Mistletoe Extract and Anti-cancer Drugs on the Apoptosis of Gastric Cancer Cells)

  • 이용직;허수학;신동규;강성구;김일명;김태희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3호
    • /
    • pp.120-128
    • /
    • 2008
  • 목적: 여러 암 치료의 보조 및 대체요법으로서 겨우살이 추출물은 주로 유럽지역에서 이십세기 초부터 널리 사용되었고 현재 국내에서도 항암 대체 치료제로 점차 사용하는 추세이나 그 항암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겨우살이 추출물이 위암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주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세포주는 SNU-719 세포주를 사용하였고 처리한 겨우살이 추출물은 (주)한국 아브노바사로부터 제공받은 ABNOBAviscum-Q와 ABNOBAviscum-F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겨우살이 추출물과 함께 처리한 항암제는 5-FU와 Cisplatin을 사용하였다. CCK-8 assay kit를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젖산탈수소효소(LDH) assay kit로써 세포 사멸률을 측정하였다. Caspase 3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caspase 3의 활성 변화를 알아보았고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Bcl2와 p53, 그리고 항암 작용을 하는 PTEN의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겨우살이 추출물 Q와 F를 각각 단독 처리한 실험군 보다 항암제인 5-FU와 cisplatin을 병합처리 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은 더 낮아졌다. Caspase 3의 활성은 겨우살이 추출물 및 항암제 5-FU 처리를 함으로써 대조군에 비해 4~6배 까지 증가하였다. Bcl2의 단백질 발현량은 대조군보다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 처리를 통해 감소하였고 두 약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더 낮아졌다. p53의 발현은 겨우살이 추출물 처리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고 항암제 처리를 통해서만 증가되었다. 또한 항암 작용을 하는 PTEN의 단백질 발현 정도는 겨우살이 추출물 처리를 통해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겨우살이 추출물과 항암제인 5-FU 및 cisplatin 등을 병합 처리 할 경우 위암 세포 사멸에 있어 상승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겨우살이 추출물의 항암효과는 caspase 3의 활성화와 Bcl2 발현의 감소를 통해 세포자멸사를 유발하며 이 세포자멸사 유도 기전은 p53과는 상관없음(p53-independent)을 알 수 있었다.

  • PDF

2기 위암환자의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djuvant Chemoradiation Therapy on the Postoperative 5-year Survival Rates for Stage-II Gastric Cancer)

  • 홍성권;최민규;백용해;노재형;손태성;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81-287
    • /
    • 2005
  • 목적: UICC 분류에 의한 2기 위암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서의 항암, 방사선 치료가 5년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UICC에 의한 병리학적 분류로 병기2기로 판정된 9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항암치료는 수술 후 3주째부터 5-Fluorouracil $400mg/m^2/day$와 Leucovorin $20mg/m^2/day$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선 치료는 총 4,500 cGy를 25회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결과: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의 생존율분석에서 환자의 나이, 수술방법, 종양의 크기와 항암 및 방사선 치료가 의미 있는 예후 인자로 분석되었다. 수술 후 항암 방사선 치료에 따른 생존율 분석에서 보조요법을 시행하지 않은 425예의 5년 생존율은 67.9%, 항암 치료 군 187예는 79.8%, 항암방사선 치료 군 342예는 83.6%로 조사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01) 항암치료 군과 항암방사선 치료 군과의 생존율 비교에서는 항암방사선 치료 군에서 생존율의 향상을 보여주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264). 결론: 2기 위암환자에서 환자의 나이, 수술방법, 종양의 크기 및 수술 후 보조적인 항암 및 방사선 치료가 5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의미 있는 예후인자로 조사되었다. 수술 후 보조요법의 시행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생존율을 보였으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을 고려한 무작위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검증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