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암치료

Search Result 1,17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Cases and Literature Review of Timing for Withdrawal of Palliative Chemotherapy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Jeong, Yun Jin;Kim, Do Ye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9 no.1
    • /
    • pp.70-75
    • /
    • 2016
  • Advanced incurable cancer patients receive palliative chemotherapy to prolong their life and improve quality of life. However, physicians should assess the timing to discontinue the treatment, especially near the final months of life, as palliative chemotherapy may accompany considerable toxicity. Even though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regarding the withdrawal timing for anticancer treatment in palliative setting, it is important clarify the issue for quality of care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Here, we present two patients who received palliative chemotherapy for advanced colon cancer and non-small cell lung cancer, respectively. In both cases, it was jointly determined to stop palliative chemotherapy, and best efforts are made to relieve troublesome symptoms. The cases and up-to-date literature review will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timing of discontinuation of cancer treatments when changes are being made to the health care system and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is taking root in Korea.

Docetaxel-cisplatin-fluorouracil Induction Chemotherapy Followed by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 A Meta-analysis (국소진행성 두경부암에서 Docetaxel, Cisplatin, Fluorouracil 선행항암요법의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메타분석)

  • Hwang, Ilseon;Park, Keon U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1 no.2
    • /
    • pp.21-28
    • /
    • 2015
  • 서론: 국소 진행성 두경부암 환자에서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은 원격 전이를 줄이고, 국소병변을 줄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높이거나, 기관의 기능을 보존할 목적으로 시도된다. 선행 항암요법의 약제로 는 docetaxel, cisplatin, fluorouracil (DPF) 삼제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과 표준치료인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한 3상 연구들이 모두 선행 항암요법이 더 낫다는 결과를 보여 주지 못하였지만, 이 연구들은 충분한 환자를 모집하지 못하고 조기 종료된 불완전한 연구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화학방사선요법과 표준치료인 동시 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하는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소진행성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화학방사선요법과 현재 표준치료인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을 비교한 5개의 3상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는 862 명이었고, 분석 결과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은 표준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반응률, 2년 및 3년 생존율, 2년 및 3년 무진행 생존율, 점막염 및 빈혈 발생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완전관해율과 3~4도의 백혈구감소증 및 혈소판 감소증의 빈도는 선행 항암요법 시행군에서 더 높았다. 결론: 국소진행성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DPF 선행 항암요법 후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시행하는 것은 표준치료인 항암화학방사선요법에 비해 생존율 개선을 보이지 못하였다. 선행항암치료를 추가하는 것이 특정 환자군에서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pplication of sickle red blood cells for targeted cancer therapy (항암치료를 위한 겸형적혈구의 응용)

  • Choe, Se-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715-717
    • /
    • 2016
  • Conventional drug carriers such as liposomes, nanoparticles, polymer micelles, polymeric conjugate and lipid microemulsion for cancer chemotherapy shield normal tissues from toxic drugs to treat cancer cells in tumors. However, inaccurate tumor targeting uncontrolled drug release from the carriers and unwanted accumulation in healthy sites can limit treatment efficacy with current conventional drug carriers with insufficient concentrations of drugs in the tumors and unexpected side effects as a result. In this research, we examined the use of sickle red blood cells as a new drug carrier with novel tumor targeting and controlled release properties. Sickle red blood cells show natural tumor preferential accumulation without any manipulation and controlled drug release is possible using a hemolysis method with photosensitizers.

  • PDF

Role of Locoregional Treatment after Good Response to Systemic Chemotherapy in Metastatic Nasopharyngeal Cancer : A Case Report (원격 전이가 동반된 비인두암에서 항암화학요법 후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에 대한 국소치료의 역할 : 증례보고)

  • Lee, Joo Ho;Wu, Hong-Gyun;Heo, Dae Seo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9 no.2
    • /
    • pp.93-96
    • /
    • 2013
  • 원격 전이된 비인두암 환자에서 주요한 치료 방법은 고식적 항암화학치료에 국한되어왔다. 그러나 적극적인 항암화학치료로 비인두암 환자 중 많은 환자에서 치료 반응을 보이며, 치료 반응을 보인 환자군에서는 국소 제어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저자들은 원격 전이 된 환자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큰 크기의 다발성 전이가 있었으나 항암화학요법으로 관해 상태를 보였다. 이후 공고화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추가하였고 현재 30개월 간 무병상태이다. 원격전이된 비인두암에서 공고화 항암화학방사선 요법의 역할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Oral Complications after Antineoplastic Treatment in Pediatric Patients (소아환자의 항암치료 후 나타나는 구강 내 합병증)

  • Lee, Yongjin;Kim, Jaehwan;Choi, Namki;Kim, Seon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6 no.3
    • /
    • pp.239-24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ntal complication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itial treatment age, treatment modalities, and treatment duration on the disorder after radiation and chemotherapy in pediatric cancer patients. For 93 children with clinical and radiographic data, the number of teeth, the morphology of teeth, the shape of the roots,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dentition were evaluated. Dental development disorders were found in 61.3% of the children. The mostly found abnormality was root deformity with the prevalence of 31.2%. In children submitted to the therapy before the age of 6, the number of missing teeth (p = 0.029) and microdontia (p = 0.003) were greater compared to the children who started to receive the treatment after the age of 6. The combination of radiation and chemotherapy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ncidences of missing teeth (p = 0.030), microdontia (p = 0.046), and root deformity (p = 0.009) when compared with the sole application of chemotherapy. When the children were submitted to anticancer therapy for 18 months or longer duration, greater number of missing teeth (p = 0.032), microdontia (p = 0.011), root deformity (p = 0.025), and total number of teeth affected (p = 0.036) were observed compared with duration less than 18 months. The number of dental abnormalities increased when the children were treated at earlier ages, with combination of radiation and chemotherapy, and for longer period of time.

반응성을 이용한 항암성 2-alkoxy-1-arylsufonylimidazoline 유도체의 설계 및 합성

  • 정상헌;송재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16-16
    • /
    • 1992
  • 1940년대에 처음으로 암의 화학요법이 시도된 이래 많은 항암제들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항암제를 사용하여 비교적 치료율이 높은 암은 leukemia나 lymphoma와 같은 혈액암에 국한되어 있다. 고형암에 대하여는 고환암과 같은 극히 일부가 항암제에 의해 비교적 잘 치료되나 대부분은 여전히 치료가 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 있다. 고형암의 발생빈도는 전체 암의 90%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로 사망율이 매우 높아, 현대의 40대 이상 사망원인의 1위를 나타내고 있어 그 치료제의 개발이 매우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형암의 치료를 목적으로 많은 화합물들이 검토되어 왔다. 이중 최근 매우 큰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diarysulfonylurea 유도체가 발견되어 임상시험에 도입됨으로서 이 화합물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형암의 치료제를 개발할 목적으로 diarysulfonylurea의 특성과 강력한 항암효과를 발현하는 alkylating agent의 특성을 갖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2-alkoxy-1-arylsufonylimidazoline 유도체를 설계하고, 이들 유도체의 합성법을 개발하였다. 이들 유도체들은 일차적으로 생체내에서 DNA 또는 효소등에 alkylation을 일으킨후 diarysulfonylurea로 변하여 작용함으로서 보다 큰 항암효과를 발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ultidrug Resistance in Cancer Chemotherapy (항암화학 요법에서의 다제내성)

  • Kim, J.H.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3 no.1
    • /
    • pp.11-21
    • /
    • 1996
  • 항암치료에 있어 내성기전은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며 동일세포라도 내성이 생긴 항암제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세포종류 및 항암제에 따른 각각의 내성기전을 완전히 알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임상치료에 있어서 항암제의 적용은 대개 내성 생성이 잘 안되는 즉 교차내성이 적게 일어나는 약제끼리의 선택이 화학요법에 유리하며 재발방지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내성억제가 가능한 약제의 개발이 중요하다. 또 암에 따른 정확한 내성기전을 잘 밝힘으로서 내성을 방지할 수 있는 target 약제를 함께 병용 개발하는 것이 암의 치료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

  • PDF

Effectiveness of Once-weekly Compared with Thrice-weekly Subcutaneous Epoetin Alpha for the Treatment of Chemotherapy-induced Anemia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의 치료에서 Epoetin Alpha 주일회요법과 주삼회요법의 약효 비교 연구)

  • Lee, Yoon-Duck;Kim, Kyung-Im;Kim, Young-Ju;Shin, Wan-Gyoon;Oh, Jung-Mi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 /
    • v.19 no.2
    • /
    • pp.146-152
    • /
    • 2009
  • Purpose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환자의 치료에서 epoetin alpha (rHuEPO) 피하주사 시, 주일회 요법과 주삼회요법의 헤모글로빈(hemoglobin, Hb) 상승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Methods : 본 연구는 1999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국립암센터에서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로 epoetin alpha를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n = 127)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n = 81)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경구용 철분보조제를 섭취하였다. Epoetin alpha 치료 시작 후 최대 8주까지 2주 간격으로 Hb 수치변화를 분석하였다. Results : 치료 시작 시점의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의 평균 Hb수치는 유사하였 다 (9.4 g/dL vs. 9.7 g/dL). Epoetin alpha 치료 후 8주까지 두 그룹간의 헤모글로빈 수치의 상승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57{\pm}1.39$ g/dL vs. $1.68{\pm}1.35$ g/dL, p=0.59). 또한 경구용 철분보조제 투여여부, cisplatin 포함 항암제 투여여부 및 성별에 따른 군의 분류에 있어서도 rHuEPO 10,000 IU 주삼회투여군과 20,000 IU 주일회투여군의 평균 Hb 상승수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nclusion : 한국인에서 항암치료로 인한 빈혈의 치료 시에 rHuEPO 20,000 IU 주일회투여 용법은 10,000 IU 주 삼회투여 용법과 유사한 Hb 상승효과를 가진다.

  • PDF

Oncological Treatment of Advanced Gastric Cancer (진행성 위암의 항암 약물 요법에 대하여)

  • Hee Seok Moon;Hyun Yong Jeong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v.6 no.1
    • /
    • pp.16-24
    • /
    • 2018
  • Gastric cancer is not a single, uniform disease, but rather heterogeneous in nature. It is generally not possible to cure patients with inoperable advanced or metastatic stomach cancer. In the absence of chemotherapy, the median survival time is 3 to 6 months. Therefore, several studies have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chemotherapy to the best supportive treatment, in term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longing life. Various chemotherapies have been used in the past to treat advanced gastric cancer. Recently, various target therapies and immunotherapy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compared to other malignancies, the quality of life and life expectancy remain relatively poor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e expect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n the future, with better elucidation of the molecular biology of gastric cancer.

  • PDF

A Case of Metastatic Eccrine Porocarcinom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전이성 에크린 한공암종 1예 및 문헌고찰)

  • Lee, Jung-Hwan;Lim, Joo-Han;Kim, Lucia;Kim, Chu-Soo;Yi, Hyeon-Gyu;Nah, So-Yun;Kim, Seong-Hyun;Jeong, Ji-Joong;Lee, Myung-Dong;Ye, Jea-Ho;Lee, Moon-He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7 no.2
    • /
    • pp.222-225
    • /
    • 2011
  • 에크린 한공암종은 흔하지 않으며, 전이성 에크린 한공암종은 매우 드문 암이다. 에크린 한공암종은 표피내 한관에서 기원하는 피부 부속기 악성 종양으로, 대부분 에크린 한공암종은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에 효과가 없으며, 따라서 유일한 치료방법은 전이되기 전에 국소 및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본 환자는 두피에 발생한 에크린 한공암종이 점점 진행하여 피부, 림프절, 폐 등으로 전이하였고, 다수의 광범위 절제술에 이어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폐전이가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본 저자들은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에 불응한 에크린 한공암종 1예를 치료에 대한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