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 활성

검색결과 5,752건 처리시간 0.038초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 이경석;오창석;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74-4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손바닥 선인장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추출용매별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본 결과 70% ethanol로 추출 하였을 경우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70%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하여 BHA, ${\alpha}$-tocopherol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DPPH를 측정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검토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BHA와 ${\alpha}$-tocopherol 활성과 견줄만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촉진된 자동산화조건에서 AV, POV, TBA 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BHA,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AV와 POV 측정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alpha}$-tocopherol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TBA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 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천년초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과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자소자 항산화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e semen)

  • 김용재;김충기;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8-43
    • /
    • 1997
  • 자소자의 탈지시료로부터 FPA, SPA 및 IPA 형태의 phenol성 물질을 추출하여 이중 항산화활성이 가장 강한 FPA 추출물에 존재하는 항산화성분을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에 의하여 분리하였다. Chlorogenic acid를 표준물질로하여 측정한 탈지된 자소자에 함유되어 있는 phenol성 물질의 총함량은 0.38% 였고, 총 phenol성 물질중 FPA, SPA 및 IPA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71.1%, 15.8% 및 13.1%였다. 세가지 형태의 phenol성 물질의 항산화활성을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와 lin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TBA값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을 경우 FPA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FPA 추출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하여 항산화활성을 비교한 결과 acetone : methanol의 비가 8 : 2인 획분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획분을 HPLC에 의하여 분리한 결과 HPLC chromatogram 상에서 5가지 활성물질 획분이 분리되었으며, 이들 획분을 분취하여 항산화활성을 비교한 결과 F-I 획분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해조류로부터 수용성 항산화 물질의 추출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 이봉호;최병욱;전종한;유병수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069-1077
    • /
    • 1996
  •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하는 여러 가지 해조류로부터 수용성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여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김, 미역, 다시마, 모자반, 청각, 톳, 홑파래 등에서 추출된 물질로부터 항산화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중 홑파래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나 BHA보다 강한 강력한 항산화 성분이 추출되었다. 톳의 경우 홑파래에 필적할만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성분을 확인하기위해 Sephadex LH-20 column 등을 이용해 성분분리를 시도하였는데 각 분획의 활성이 분리전의 활성보다 낮아져 성분분리를 하지 않았으며 이는 단일 성분이 아닌 다성분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발효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Probiotics as Starter)

  • 문영건;이경준;김기영;송춘복;전유진;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8-165
    • /
    • 2006
  • 감귤 과괴 뿐만 아니라 가공부산물 내에는 carotenoid, bioflavonoids, pectin 등의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flavonoids는 항산화 또는 금속이온과 착염을 형성하여 free radical이나 electrophiles 및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막아 세포, 조직, 기관이 손상을 억제 해주며, 노화방지, 순환계 질환을 예방 해주며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과 감귤 가공부산물의 열수 추출액을 가지고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는데,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실험에 있어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추출액에서 저해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Table 3). 반면 항산화활성 측정에서는 감귤 가공부산물 자체도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E. faceium, P. pentosaceus, L. plantarum, L. rhamnosus, B. subtilis, S. cerevisiae를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을 기존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전체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B. subtilis,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보다 높은 89%와 같은 값인 87%에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SOD유사활성 측정에 대한 결과는 Fig. 2에서처럼 L. rhamnosu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를 제외하고 나머지 5개의 실험구에서는 기존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BHA보다 높거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측정에서는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물에 추출액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에 농도에서는 합성 항산화제보다도 좋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특히 B. subtilis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실험구에서는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과정을 거친 감귤 가공부산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나 항산화활성에 있어서 그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발효과정에 있어 첨가되어진 미생물 중에서는 B. subtilis와 S. cerevisiae가 발효 미생물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본 연구에서 Bacillus subtilis 같은 경우는 가장 높은 항균활성과 항산화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최적 발효 미생물로 말할 수가 있을 것이다.

창이자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Xanthium sibiricum)

  • 신선우;이정호;방극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2-378
    • /
    • 2012
  • 창이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VLC column로 분획한 XS-5에서 처리 농도 500 ${\mu}g/ml$에서의 87.53%로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으며, VLC로 분획한 XS-3-2의 처리농도 500 ${\mu}g/ml$에서 78.72%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PCL법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XS-1에서 13.32 nmol과 open column XS-3-2에서 14.34 nmol으로 항산화력을 나타났다.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XS-2의 처리농도가 500 ${\mu}g$/disc에서는 1 mm의 clean zone이 형성되었다. XS-3에서 DPPH와 PCL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높았지만 항균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창이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항균 활성은 상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검은깨의 항산화 활성물질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Black Sesame Seed)

  • 안찬영;현규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1992
  • 검은깨에 포함된 항산화활성물질의 검색을 횐깨와 병행하여 수행한 결과, 흰깨와 같이 검은깨에도 항산화 활성물질의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활성의 크기는 흰깨가 검은깨보다 약간 높았으며 볶음처리를 하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들 참깨에 함유된 활성획분의 chromatography상의 거동에 있어서 상당부분 유사성이 인정되었다. 또 볶은 깨의 기름과 박을 분리하여 활성을 검정한 결과 양자에 포함된 활성본체가 서로 유사하였으며 활성의 강도는 기름의 경우가 훨씬 강하였고, 박의 경우 항산화 활성이 기름에 비해 약하다고는 하나, 상당한 항산화 활성물질의 잔류가 인정되었다.

  • PDF

미생물 발효를 통한 식물자원 활용

  • 유은미;오동순;한갑훈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0-10
    • /
    • 2018
  • 미생물 및 식물 등이 가지고 있는 많은 천연물질은 항균, 항암, 강장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의 원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생물을 통한 발효는 거대분자를 낮은 분자량의 물질로 분해하여 인체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 자체적으로 합성하는 다양한 대사산물과 발효과정에서 기존 물질에 다양한 잔기를 가감함으로서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의 추출물을 바탕으로 발효를 진행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비만 활성 등을 발효 전 후로 비교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구절초 추출물을 활용한 발효제품 개발을 추진하였다. 구절초 잎과 전초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구절초 전초보다는 잎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절초 잎을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는 비타민C보다 3.93%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구절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발효하지 않은 시료보다 발효한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더욱이, 항비만 활성과 추출물의 혈중콜레스테롤 저감 활성도 발효추출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 발효 추출물이 구절초 추출물에 비하여 기능성 활성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기능성음료 등 다양한 제품으로의 응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식용 해조류에서 항산화 물질의 분리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 박재한;강규찬;백상봉;이윤형;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6-261
    • /
    • 1991
  • 본 실험은 동해 주문진 해안에 생육하는 12가지의 식용 해조류에서 새로운 천연 항산화물질을 분리하고자 여러 용매로 추출,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고 항산화 활성측정(AOM법, DPPH법), UV-spectrophotometer 측정, HPLC, GC/MS 분석 등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12가지의 식용 해조류를 hot-methanol로 추출하여 AOM법으로 활성측정한 결과 김>미역, BHT>다시마>넓미역>지누아리>서실 눈으로 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해조류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클로로포름 추출액과 메탄올 추출 혼합액을 석유 에테르, 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등의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 색소제거, 농축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queous-methanol 가용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추출분획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때 김>미역>다시마>BHA>파래>Tocopherol>넓미역>BHT의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특히 김, 미역, 다시마, 파래는 같은 양에서 BHA, BHT보다 높거나 대등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 주었다. 활성물질의 회수율은 1.82%였다. 이들이 극성 용매에서 분리된 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극성을 띤 물질로 보여진다. 또한 이들 활성분획 각각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분획에서 분리된 물질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분리 정제된 항산화성 물질의 UV 흡수특성을 측정한 결과 BHA나 BHT의 흡수파장 보다 단파장인 $235{\pm}5\;nm,\;270{\pm}5\;nm$에서 극대흡수(${\lambda}_{max}$)의 이동을 보였는데, 이는 활성물질 분자에 전기음성도가 비교적 큰 분자가 치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분석에서는 다시마, 미역, 파래의 경우 retention time이 8.5분, 10분인 극성물질이 분리되었고, 김에서는 25분인 대체로 비극성에 가까운 물질이 분리되었다. 이것이 BHA, BHT와 거의 같은 RT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물질로 해석 되어진다. 분리된 항산화성 물질의 분자량은 GC/MS 분석으로 얻은 mass spectrum을 해석한 결과 181, 238의 두 가지 물질로 비교적 작은 안정한 항산화성 물질로 사료되어 진다.

  • PDF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지상부, 지하부 및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Aerial Parts, Roots, and Their Mixtures)

  • 정현정;성혜미;김경미;신유림;위지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157-1164
    • /
    • 2015
  • 본 연구는 민들레 지상부와 지하부의 혼합 추출에 따라 항산화 활성에 상승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민들레 지상부와 지하부를 9:1 또는 8:2 중량 비로 혼합한 혼합 추출분말과 지상부, 지하부 단독 추출분말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민들레의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진 luteolin, chicoric acid를 분석한 결과 지상부의 함량이 지하부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혼합 추출분말의 함량은 지상부보다 낮고 지하부보다 높았다. HepG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방어 효과 및 CAT 활성을 확인하여 효소적 항산화 시스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 민들레 지상부와 지하부 간에 CAT 활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혼합 추출분말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여 혼합 추출을 통한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지질과 산화 억제에 대한 $EC_{50}$ 분석 결과에서도 지상부보다 혼합 추출분말의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 평가 항목에 따라 8:2 혼합과 9:1 혼합의 활성에 차이가 있었는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9:1 혼합의 $EC_{50}$이 더 낮고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에서는 8:2 혼합의 $EC_{50}$이 더 낮았다. 이와 같이 민들레 지상부와 지하부를 혼합하여 추출할 때 지상부, 지하부 단독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상승한 것은 청미래 덩굴잎 열수추출물과 토복령 열 수추출물을 혼합하였을 때 EDA 및 FRAP와 같은 항산화 활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및 로스팅 커피와 홍삼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평가에서 커피와 홍삼의 함량 조절을 통해 항산화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에서 2개 이상의 식품 또는 천연물을 혼합할 때 항산화 활성에 상승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서 민들레 지상부와 지하부에 함유된 각기 다른 화합물들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항산화 활성이 상승한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혼합 추출을 통한 생리활성 물질의 변화 및 상호 작용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기존의 민들레 전초 또는 각 부위별 항산화능을 평가한 연구와는 달리 민들레 지상부와 지하부를 9:1 또는 8:2로 혼합한 추출분말이 단독 추출 분말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함으로써 지상부, 지하부의 혼합을 통해 항산화 활성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 HepG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방어 효과 및 catalase 활성에서 지상부와 지하부 혼합 비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 없이 모두 지상부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같은 총 항산화능 평가에서는 8:2 혼합보다 9:1 혼합 추출분말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으며 수율도 9:1 혼합 추출분말이 8:2 혼합보다 약 1.5배 가량 높게 나타나 9:1 혼합 추출분말이 상업적인 항산화 활성 소재로써의 가치가 더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백피(Ulmi cortex)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

  • 이경행;전은경;유시영;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73-379
    • /
    • 2000
  • 유백피의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로 유백피 추출물을 제조하여 lard emulsion에 첨가하여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용매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분획물의 첨가농도의 결정 및 기질특이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생체내에서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흰쥐 간 micmsome 을 사용하여 유도된 지질 과산화 반응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유백피의 추출물은 물추출물에서 가장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았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 0.05%(w/w) 첨가는 합성 항산화제인 BHA(0.01%, w/w)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 0.05%(w/w)는 돈지, 대두유, 팜유 및 옥수수유에서도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 microsome 분획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는 비효소적 지질 과산화 검정계인 Fe$^{++}$ascorbate system과 효소적 지질 과산화 검정계인 Fe$^{++}$-ADP/NADPH system 모두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 첨가가 caffeic acid보다 강한 억제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