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복치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1초

($\alpha$+$\beta$) 열처리된 지르칼로이-4에서 집합조직의 변화와 그 조직이 항복 강도에 미치는 영향 (Texture Transformations and Its Role on the Yield Strength of ($\alpha$+$\beta$) Heat Treated Zircaloy-4)

  • Yoo, Jong-Sung;Kim, In-Sup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75-85
    • /
    • 1992
  • ($\alpha$+$\beta$) 영역에서 급냉된 지르칼로이-4 판재 시편에서 집합조직의 변화와 그 조직이 0.2% 항복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alpha$+$\beta$) 입자의 크기가 $\alpha$영역에서 소둔된 시편의 입자 크기보다 약간 클 경우 관찰되는 집합조직은 $\alpha$-소둔된 시편의 것 ((0001) 기저폴은 수직 방향에서 방향으로 30$^{\circ}$기울어져 분포)과 비슷하였다. ($\alpha$+$\beta$) 입자 크기가 $\alpha$ -소둔된 시편의 입자 크기보다 2배 정도로 커지면서 기저폴의 최대치는 수직 방향에서 방향 및 압연 방향으로 약 15$^{\circ}$기울어져 분포하여 집합조직은 등방성을 가졌다. 열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Kearns의 집합조직 변수 f는 압연 방향에서 증가하였고 횡 방향에서는 약간 커졌으며 수직방향에서는 계속 감소하였다. 압연 방향의 f가 조금 증가함에 따라 0.2% 항복강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변형 기구에 따른 Schmid인자와 분해전단응력을 구하여 집합조직이 항복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급격한 항복강도의 증가는 주로 미세조직의 변화에 기인하였으며 집합조직이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 PDF

암석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경화재료에 대한 구성모델 (Constitutive Model for Hardening Materials such as Rock or Concrete)

  • 강병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61-171
    • /
    • 1993
  • 본문은 3차원 응력 공간에서 암석이나 콘크리트등 경성기초 지반재료의 응력 - 변형율 거동에 대해 소성이론에 기초를 두고 Desai 등에 의해 제안된 구성식에 대해 기술하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3주응력을 독립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고압력 입방체 3축실험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응력 경로 실험을 한 것으로 사용재료는 콘크리트 시료를 제작 이용하였으며 그 주요한 결론으로서는 1) 경성재료의 구성모텔은 3주응력이 별도로 제어되는 3축실험을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응력경로를 보다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 이점은 경화재료 특히 암석이나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의 구성식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라고 판단한다. 2) 이와같은 경성재료의 구성식은 항복과 경화거동을 유일한 함수로써 연속적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지금까지 두개의 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한 두 항복면의 불연속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두 함수의 교차점에서 sigulality point를 피할 수 있으므로 computer계산에 관련된 난점을 제거할 수 있다. 3) 본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의 경우도 $J_1-{\sqrt{J_{2D}}}$면, 8면체면 그리고 3축면등에서의 항복거동(그림11-그림 14)과 체적변형률(그림 15) 그리고 응력-변형률거동(그림 16-그림 18)에 대해 이론 예측치와 실험결과치가 잘 일치하고 있다.

  • PDF

유한요소해에 기초한 원뿔형 압입 물성평가법 (A Conical Indentation Technique Based on FEA Solutions for Property Evaluation)

  • 현홍철;김민수;이진행;이형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3권9호
    • /
    • pp.859-869
    • /
    • 2009
  • 물성치와 하중-변위곡선을 일대일 대응 시킬 수 있는 함수를 생성함으로써, 미지 재료에 대한 압입시험 데이터로부터 바로 재료물성을 찾는 압입물성평가 기법을 제시했다. 원뿔형 압입 유한요소해석으로 압입자 중심각이 압입 하중-변위 곡선에 주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이로부터 한 압입자 중심각에 대해 같은 Kick's law 계수 C를 갖는 두 재료들이 압입자 중심각이 변하면 서로 다른 C 값들을 가짐을 확인했다. 이어 영률, 항복강도, 변형경화지수와 하중-변위곡선 사이의 상관관계들을 분석하고, 항복변형률이 변형경화 지수와 더불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했다. 이 두 특성들을 바탕으로 이중원뿔형 압입 물성평가 수식들을 작성했다. 1회 압입 후 재료의 영률을 평가하고, 두 압입자를 이용해 얻은 하중-변위 곡선들로부터 곡률계수들을 구해 항복변형률과 변형경화 지수를 구했다. 제시된 물성평가법은 압입 하중-변위곡선들로부터, 압입자 물성과 선단반경에 상관없이, 평균오차 2% 내에서 재료 물성값들을 준다.

강관 보강형 충전 각형강관 기둥-보 플랜지 접합부의 인장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Tensile Behavior of Concrete-Filled Square Steel Tubular Column-Beam Flange Connections with Stiffeners)

  • 유영찬;강현식;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1
  • 본 연구는 콘크리트충전 각형강관을 이용한 기둥-H형 보 접합부에 있어서 시공성과 충전성을 고려하여 강관 기둥을 외부에서 보강한 충전 각형강관 기둥-H형강보접합부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러한 접합방식 개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 보의 인장플랜지와 강관기둥 접합부의 인장거동을 실험적으로 관찰하여 제시한 접합부의 내력 및 변형 특성을 파악한다. 시험체의 변수는 각형강관 기둥의 보강 두께(T=9, 18, 27mm)와 높이(H=50, 80mm)로 계획하여 총 4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접합부의 항복내력의 평가로 항복선 이론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를 수정하여 실험치와 비교한 결과 비교적 좋은 대응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접합방식은 외부에서 강관 기둥을 보강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붕괴형의 강접합을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 충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시공성에 있어서 장점으로 인정된다. 강관기둥의 두께가 8mm 인 것을 고려하면 실제 구조물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구체적인 설계방법을 위해서는 추치해석적인 방법에 의한 연구와 보완적인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포천석분의 응력-변형률 거동특성 (Characteristics of Stress-Strain for Pocheon stone sludge)

  • 김찬기;박권준;조원범;이종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55-64
    • /
    • 2013
  • 본 연구는 포천석분을 재성형하여 등방압축-팽창시험과 구속압력을 달리한 일련의 비배수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Lade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의 토질매개변수를 결정하였으며, 실험결과의 역해석을 통하여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의 적용성과 포천석분의 거동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포천석분은 축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축차응력이 증가하는 경화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큰축변형률에서 파괴되므로 실용적인 파괴기준을 검토할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구성모델의 11개 토질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시험치를 역해석한 결과 응력-변형거동을 양호하게 예측하지만 항복함수에 관련된 토질매개변수를 파괴규준에 관련한 상관식과 상수로 역해석한 경우는 다소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팽창재 종류 및 치환율에 따른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 (A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using Expansive Additives by Kind & Replacement Ratio)

  • 박춘영;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9-106
    • /
    • 2008
  • To improve concrete tensile strength and bending strength, New plan that have more economical and simple manufacture process is groped. By an alternative plan, chemical pre-stressed concrete is present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with the kind and replacement ratio of k-type CSA type expansive additives that is used mainly in domestic. and we suggested that the algorithm of a mixing plan in the chemical pre-stressed concrete and from this, we presented the basic report for the right mixing plan. From the results, Flow increased more or less according to use of expansive additives. This phenomenon was observed by increasing paste amount that shows as substitution for expansive additives that specific gravity is smaller than that of cement. As linear regression a result supposing paste that mix expansive additives by Bingham plastic fluid. The shear rate and shear stress expressed high interrelationship. therefore, flow analysis of quantitative was available. The plastic viscosity following to replacement ratio of expansive additives is no change almost, the yield value i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ded amount of expansive additives. Through this experiment, we could evaluate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using the expansive additives. Hereafter by an additional experiment, we must confirm stability assessment of material separation by using the aggregate with the kind and replacement ratio of expansive additives.

반복하중(反復荷重)을 받는 흙의 역학적(力學的) 특성(特性) (Mechanical Properties of Soil under Repeated Load)

  • 천병식;박흥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3-122
    • /
    • 1990
  • 도로(道路)의 노반(路盤)에 교통하중(交通荷重)이 반복해서 가해질 경우 흙 구조물의 설계기준을 얻기 위해 현장시험이 행해지고 있으나, 본 연구는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흙의 동력학적(動力學的) 성질(性質), 특히 반복응력(反復應力)을 받을 때의 성질을 규명한 것으로 유변학적(流變學的) 모델 해석에 의해 흙의 항복응력(降伏應力) 탄성계수(彈性係數)를 구하고 이에 대한 반복응력재하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考察)한 것이다. 항복응력(降伏應力)은 재하횟수가 많을 수록 경화(硬化) 효과(效果)가 현저하므로 그 값이 크고, 어느 재하횟수에 달하면 한계치에 접근한다. 또한 탄성계수(彈性係數)는 반복응력이 작은 경우에는 재하횟수가 많을수록 현저하게 증가하고, 반복응력이 커지면 반대로 감소한다.

  • PDF

고점도 다당류생산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A Yellow Pigmented Soil Bacterium Producing a Polysaccharide of High Viscosity)

  • 유진영;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3-459
    • /
    • 1989
  • 산업용 다당류의 개발을 목적으로 고점도의 다당류생산 미생물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본 세균은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mendocina로 생각되었다. 본 세균이 생산하는 다당류는 o-acetyl기를 함유한 ${\beta}-glucan$으로 추정되며 구성당으로서는 포도당과 람노오스가 몰비로 2.2 : 1.0 구성으로 되어 있고 수용액은 의가소성 유체이다. 1% 용액은 428mPa.s의 점도를 나타내며 항복치는 8.89Pa이다. 이 용액은 열안정성은 없으며 pH 안정성과 염안정성은 있었다. 유동활성화에너지는 6.57 Kcal 이다.

  • PDF

시멘트 페이스트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혼화재 변수의 영향 (Mineral Admixture Factors Affecting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 허영선;황인성;신현섭;윤섭;이건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7-61
    • /
    • 2005
  • Cement paste is originally the basic material and crucial factor consisting concret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pparatuses, which are ring flow(R-F), flow cone(F-C) and mini slump(M-S), in order to estimate the fluidity of cement Paste.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measured data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alibration of the rheology consistent, such as yield value and plastic viscosity, of cement paste using viscometer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work discussed the influence of 3 typ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with different companies, affecting the fluidity of cement paste. and it also demonstrated the influence of the various kinds of mineral admixtures, such as fly ash(FA), blast furnace slag(BS) and silica fume(SF) and that of incorporating ratio. The author concluded that using R-F apparatus is the most effective flow test method of cement paste and it is exactly proportional to other apparatus' rheological properties.

  • PDF

탄.소성 구성 모델의 초질매개변수 예민성 (Sensitivity of Parameters for Elasto-plastic Constitutive Model)

  • 정진섭;김찬기;이문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2호
    • /
    • pp.81-96
    • /
    • 1992
  • 본 문은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single work-hardening model)을 선정하여 사질토의 거동해석에 필요한 토질매개변수를 실내시험을 하여 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험오차가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는 백마강 모래에 대하여 등방압축-팽창시험과 구속압력을 달리한 일련의 배수삼축시험을 하고 이 시험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질 매개 변수 결정 프로그램에 의해 기찬매개변수를 결정하고 그 평균치에서 표준편차를 증감시켜 축방 향변형률에 대한 축차응력 및 체적변형률의 상계 및 하계 범위를 밝힘으로서 각 토질매개변수의 민감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토질매개변수결정 프로그램의 실용성이 크다는 것을 화인하고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의 예측능력이 좋다는 것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