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만 통합운영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항만공사 운영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Taek-Won;O, Jin-Ho;U, Su-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70-173
    • /
    • 2016
  • 국내 항만공사는 항만공사법이 2003년 제정되고 부산항만공사가 2004년 설립된 이후 인천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항만공사의 운영이 비효율적인 방향으로 흘러감에 따라 정부를 중심으로 공기업 통 폐합 등의 조직 개편 움직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 구상하는 개편 방안 중 항만관리에 대해 통합적 운영이 적절한지, 분권적 운영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항만공사 운영방식 개혁에 대한 논의에 대비하여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방식과 분권적인 접근방식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항만공사제도의 도입배경과 현황, 조직의 통합운영과 분산운영에 대한 이론적 배경, 국내 공기업 통합 사례 및 해외항만 운영 사례, 항만공사 운영 방식의 대안별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항만공사제도는 기존의 항만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이라는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 관리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입된 제도이며, 이러한 제도적 목적을 기반으로 항만공사 운영개선방안 논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기관 운영에 있어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관통합, 기능 조정, 부분통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선이 가능하며 반드시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셋째, 해외 주요 항만의 경우 개별 항만에 항만공사를 운영하는 개별적 운영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대만이 유일하게 통합 운영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였으나 그 통합으로 인해 기대하는 효과가 실현되고 있지 않아 통합운영 방식의 근거가 되기는 어렵다. 넷째, 항만의 운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항만별로 처리하는 화물과 선대의 특성이 차이가 나고 운영방식과 대상이 되는 시장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항만별 운영과 고객의 차이를 감안하면 개별적 운영방식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통합 운영방식의 운영 효율성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만공사제도의 목적과 취지를 감안할 때 현행 개별운영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 PDF

부산항 컨테이너부두 통합운영 방안

  • Gil, Gw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74-176
    • /
    • 2011
  • 부산항 컨테이너 하역시장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시장의 구조적 문제해결이 긴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부산항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후, 컨테이너 물동량과 유효하역능력을 비교 분석하여 운영구조 개편을 위한 컨테이너부두 통합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통합운영 구도 및 프로세스는 물론 신항으로의 북항부두 대체 적정시기를 제안하였다.

  • PDF

Simulated Analysis of the Effect of Integrated Operation on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New Port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운영 효과 분석)

  • Shin, Jae Young;Lee, JangGun;Park, Hyoung J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4 no.6
    • /
    • pp.477-487
    • /
    • 2020
  • The inefficient operation of Busan New Port is due to container-terminal operators being dispersed in small groups, rather than being integrated. This dispersion increased following the reorganization of global shipping alliances in 2016 and causes unnecessary Inter-terminal Transportation(ITT) and ship delays. Studies of integrated operations for larger container terminals show that integration is not going well, however, due to the pre-emptive task that follows the integrated op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integrated operation into stages based on a simulated model of the container terminals in Busan New Port. The simulation took into account future increases in the ship's enlargement and terminal congestion, and the operational effects of each type of integrated operation were analyzed and evaluated.

A Study on the Container Terminal Concentration for Busan Port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에 관한 연구 - 항만집중도분석과 통합효과-)

  • Choo, Yeon-Gil;Ahn, Ki-My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3
    • /
    • pp.207-2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effect of Busan container terminal. Productivity and efficiency have played key role to attract more cargo to a port because these are important factors to select liners’ calling port in vessel deployment. It means that productivity directly links with the liners’ vessel operation cost.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ort concentration by terminal integration can improve the port's external image with recovering tariff competitiveness and also facilitate economic effect of size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 PDF

A Simulation Study on the Integrated Operational Effect Measurement of the Container Terminal in Busan Port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운영 효과측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

  • Shin, Jae-Young;Lee, Ja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40-141
    • /
    • 2019
  • Busan Port is being operated inefficiently by a number of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which are dispersed in small groups. In particular, the small terminal at Busan Port is causing the dispersion of quantity, the increase of ITT cargo and the occurrence of a ship waiting at sea as the ship's Alliance became larger in 2016. As a result, studies such as integrated operations for the larger container terminals are being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set up a type of integrated operation for terminals at the new port of Busan and measure the practical effects through simulation to present an ideal direction for integrated operation.

  • PDF

Integration for Port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항만건설사업관리시스템 통합화)

  • Jeong, Seong-yun;Kim, Young-jin;Kim, Tae-hak;Ok,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3.05a
    • /
    • pp.431-432
    • /
    • 2013
  • 본 연구는 기존에 운영 중인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의 활용성과 시스템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을 통합화하였다. 도로와 항만 건설사업관리는 대상목적물만 다르고 기본적인 업무프로세스는 유사하다. 따라서 통합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안정적으로 통합화하기 위해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을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으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추진하였다. 도로건설사업관리시스템은 항만건설통합정보시스템보다 시스템 사용이 쉽고 편리하며 건설사업관리 업무프로세스 지원 및 관리기능이 안정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시스템 통합화 과정에서 겪었던 애로사항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타 시스템을 통합화할 경우에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차세대 VTS 클라우드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 개발

  • 유경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6-38
    • /
    • 2022
  • 차세대 VTS 통합 플랫폼 개발 연구사업은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구축을 통해 해상교통관제센터에서 수집한 관제정보를 중앙에서 통합하여 관제 및 유관 기관에 선박교통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연구에 구축될 IaaS 클라우드 플랫폼을 쉽고 효율적이며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통합운영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연구과제 특성 및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troduction Plan for Integrated Operation Organization for Improving ITT Efficiency in Busan Port (부산항 ITT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통합운영조직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Lee, Jae-Hyo;Kim, Hwa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69-170
    • /
    • 2020
  • Although Busan Port is a world-class transshipment port, it is geographically divided and, despite the continuous increase in transshipment volume, ITT port integrated operation is not being performed, reducing port operat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 operation raises the problem of inefficiency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transshipment transport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transshipment transport costs. This paper deals with the necessity of forming an integrated operation organization to carry out the ITT joint dispatch in the process of improving the ITT efficiency in Busan Port, and the organization structure centering on the transport companies and freight owners performing the Busan Port ITT. We intend to make a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operation organization in the form of a consortium and support plans.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implications, the role of the ITT stakeholders in Busan Port and related organizations will be addressed.

  • PDF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설계 기술 연구

  • 양서윤;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210-211
    • /
    • 2021
  • 해상 물류 영역별 정보 및 데이터 분석에 따른 단위 서비스, 이벤트 데이터 연계분석, 해상 물류 통합 프로세스 모니터링, 테이터 처리 흐름분석 및 의사 결정 지원 데이터 및 운영 효율성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운영 기반 플랫폼 기술 설계를 목표로 한다.

  • PDF

항로표지 통합관리시스템 관리운영 개선방안

  • Ryu, Taek-Yeol;Choe, Geum-Seong;Han, Jae-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306-308
    • /
    • 2015
  • 항로표지의 관리강화를 위해 구축하여 운영중인 "항로표지 통합관리시스템"의 효율적 관리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