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만구조물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38초

항만 구조물 유지관리를 위한 자가발전기반 저전력 IoT 센서 노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Harvesting-based Low-Power IoT Sensor Node for Harbor Structures Maintenance)

  • 박철;김영석;이승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7-428
    • /
    • 2022
  • 최근 대규모 항만 건설 및 기존 부두 리모델링과 같은 해안 공간 구조물 확충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항만 구조물 거동 장기계측을 위한 센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항만에 적용한 전기식 센서들은 수개월 정도 단기간의 구조물 거동 측정은 가능하지만 수년 이상의 장기계측 시 염수분에 의한 부식 및 내구성에 취약하기 때문에 원활한 측정에 한계점이 있고 센서 설치를 위한 항만 외곽지역 구조물과 육상전원공급설비 배전반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긴 연장의 횡단로 가설전선 보호대 등을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 구조물 거동 장기계측을 위해 기존 전기식 센서들의 부식문제점을 파악하여 해수용 4종 센서 IoT 모듈 패키징을 설계하고 외부 전원공급 방해 영향을 최소화한 태양광 발전을 적용한 항만 구조물 거동 계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기존 월파량산정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Existing Formula for Wave Overtopping)

  • 김영택;이종인;이진우;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07.1-107.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내 및 국외에서 항만 구조물 설계시 적용되는 월파량 산정식을 고찰해 보고 각각의 식에 대한 특성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항만구조물 설계시 대부분 구조물에 직각으로 입사하는 조건을 대상으로 하여 각종 설계 인자를 계산한 후 설계에 적용하게 된다. 그렇지만 실제 항만구조물 설계시 경사입사파 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경사입사파 내습시 직각입사파 조건에 비하여 월파량이 저감되므로 경제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필요한 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직립제에 대한 월파량 산정식의 비교 및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국내 월파량 산정식의 개선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항만구조물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the Under Space Integrated Map for Safety Management of Harbor Structures)

  • 박동현;장용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0
    • /
    • 2016
  •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지반함몰, 도로붕괴 등의 지하안전사고로 인해 정부는 지하안전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사업에 박차를 가하여 지하공간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구축계획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하고 있어,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및 함몰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항만구조물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월파에 의한 경사제 배후면 피해 : 실험사례 (Damages on lee side of breakwaters by wave overtopping: Case study)

  • 김영택;이종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716-716
    • /
    • 2012
  • 최근 항만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대수심 및 고파랑 지역에 설치되는 외곽시설의 상당수는 직립식 케이슨 혼성제 단면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수심이 깊고, 설계파와 같은 외력 조건이 크기 때문에 경사제에 비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유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소규모 항만 및 어항시설에 있어 경사제를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경사식 구조물을 설계함에 있어 월파에 의한 방파제 배후 경사면에 피복된 피복재의 안정성을 검토하며, 실험사례를 통하여 최적 설계안 및 설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사식 구조물 배후 사면 피복재의 안정 중량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의 항만 구조물의 설계기준(항만 및 어항설계기준, 2005) 뿐만 아니라 국외의 설계기준(CEM, Coastal engineering manual, 2005 등)에서도 아직까지 설계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단면 수리모형실험에서는 1/50의 실험축척을 적용하여 대상 외곽 구조물에 대하여 수리특성과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경사제 배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려 동일 구간에 대하여 설계파 조건 등을 중심으로 총 9개의 실험안을 설정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아래 그림은 이중 초기 설계안과 최종적으로 제안된 제시안에 대한 완성모형, 실험장면 및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접안시설과 외곽시설이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어 적정량의 월파를 허용할 수 있는 경우 상치콘크리트의 형상 및 마루높이을 변경하여 월파의 낙하 및 도달거리를 배후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유도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물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만 인근 해안의 인공 구조물 주변 퇴적 작용 분석 (A study on the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near harbor)

  • 김혜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창립 30주년 심포지엄(논문집)
    • /
    • pp.179-183
    • /
    • 2006
  • 해안지역에서의 인간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시설물과 해빈 보호를 위한 많은 인공 구조물이 설치되었다. 인공 구조물과 더불어 준설과 매립, 항만 공사 등으로 해저 지형이 급변하면서, 인공 구조물 주변에서의 퇴적 기능의 약화는 더욱 심각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항만 주변의 인공 구조물들에 대한 퇴적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이동 벡터 모델을 이용하여 표층 퇴적물을 분석하는 것이다. 포항항 주변의 해빈 유실이 심각한 지역에 대해서 인공 구조물 주변의 표층 퇴적물에 대한 입도 특성을 이용하여 퇴적물의 이동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인공 구조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퇴적물은 항만 쪽으로 북상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 PDF

항만구조물의 액상화 대책을 위한 진동대 실험에 대한 연구 (ShakingTest of Waterfront Structure for Liquefaction Counter measure)

  • 박종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8권3호
    • /
    • pp.37-50
    • /
    • 1992
  • 지진으로 인한 액상화현상은 토목구조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화 현상에 대란 대책을 연구할 목적으로 모형 항만구조물을 대상으로 하여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였다. 액상화현상으로 항만구조물에 발생하는 과잉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구간을 설치하고 그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방, 이중 널말뚝벽과 앵커 구조물의 진동대 실험을 통하여, 액상화 지반의 유동변형에 대한 특성과 보강범위에 대한 정량적 자료를 얻었다. 항만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구간의 범위는 진동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구조물의 과잉변형을 보강구간의 범위와 진동가속도의 크기에 따라 나타내었다.

  • PDF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토목-BIM 구축을 위한 표준화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Civil-BIM Construction of Harbor Structure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 민병근;박동현;장용구;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3-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BIM 관련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BIM의 동향과 BIM 관련 소프트웨어 분석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토목분야에서의 BIM 특히,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항만구조물 BIM구축을 위한 레이어 표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 2차원 및 건축기반의 BIM의 문제점과 토목-BIM의 적용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항만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의 레이어를 제시하고,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을 대상으로 구축한 기존 BIM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항만분야의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 표준화 및 적용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상시 진동을 이용한 부유식 구조물의 동적 특성 추출

  • 김한샘;박수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3-255
    • /
    • 2013
  •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부유식 해양플랜트 구조물의 열악한 해양환경에서의 구조물의 노후화, 사고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나, 기존의 구조물에 사용되는 안전성 평가 기법으로는 한계가 있어, 상시적인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기법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상시적인 구조물의 건전성 평가기법을 위해 부유식 구조물의 상시적인 응답 가속도를 추출하여 해당 구조물의 동적특성을 추출 하였다.

  • PDF

잔교식 항만구조물 주변에서 해수유동의 평가 (Evaluation of Tidal Flow around the Pile-supported Pier Structures)

  • 박일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2-88
    • /
    • 2004
  • 투과성 항만구조물 주변에서 해수유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흐름 저항을 고려한 수치모형을 사용하였다 조석 조류수치모형에서 임의 물체에 대한 흐름 저항을 고려하기 위하여 수심적분된 전통적인 동수력학 방정식에 항력항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해수교환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의행보(random walk) 수치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모형은 부산항의 잔교식 항만구조물의 설계에 이용되었으며, 이 때 투과성 구조물은 불투과성 구조물의 경우보다 유속이 증가하고 해수교환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본 모형은 앞으로 투과성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축소모형을 이용한 플로팅 구조물의 손상탐지

  • 박수용;전용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5-127
    • /
    • 2011
  • 구조물의 동적특성인 모드형상을 통해 국부적인 손상을 탐지하는 손상평가 기법은 많은 연구자에 의해 발전되고 있다. 하지만 플로팅 구조물에 대한 손상탐지 기법은 그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플로팅 구조물의 축소모형을 제작하고, 손상을 모사하여 손상전과 손상 후 구조물의 모드형상에서 얻을 수 있는 모달 변위로 나타낸 손상지수를 통해 플로팅 구조물의 손상을 탐지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