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내정온도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Field Application of Harbor Tranquility Model (항내정온도 모형의 현장 적용)

  • 정원무;채장원;이동영;김상익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88-191
    • /
    • 1996
  • 현재 국내에서는 단주기파의 항내에서의 다중반사를 고려할 수 있는 항내정온도 모형으로 Copeland(1985)의 모형을 개선한 한국해양연구소의 수치모형(한국해양연구소, 1987)과 Maruyama와 Kajima(1985)의 수치모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수치모형들은 반무한방파제 후면의 회절이나 이안제 후면의 회절 등에 대해서는 수리실험이나 이론해와 비교되었으나 항만과 같이 다중반사가 발생하는 풍우에 대해서는 비교ㆍ검증이 부족하였다. (중략)

  • PDF

항만정온도 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적용과 상호비교분석

  • Lee, Dong-Hyeon;Kim, Gang-Min;Choe, Se-Ho;Lee, J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55-257
    • /
    • 2014
  • The harbor tranquility is indicating the level of calmness in the mooring basin of harbor. It relates keenly to berthing/unberthing and cargo handling works but also it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get the minimum water area as the safe refu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complex the variation of wave height and direction caused by wave refraction, diffraction, shoaling and reflection from the incident waves from outside the harbor. In order to check the calmness inside a harbor, the numerical models are being used currently need fundamental review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results which depend on their respective features. In this study, hence, it was introduced the validity of numerical models by comparing the computational results for Hupo harbor.

  • PDF

Evaluation of Harbour Tranquility Improvement in Pohang New Port by Detached Breakwater (포항신항 도제 축조에 따른 정온도 개선 효과분석)

  • Ryu, Kyong Ho;Jeong, Weon Mu;Kwon, Jinseong;Chang, Yeon S.;Baek, Won-Dae;Kim, Won G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2 no.4
    • /
    • pp.230-241
    • /
    • 2020
  • Since the construction of Pohang New Port, the problems of the low harbor tranquility caused by decreasing port operation rate has been continuously reported. In order to improve the harbor tranquility, a detached breakwater (DB) has been constructed outside the outer breakwater of Pohang New Port in 2018~2020.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DB was proved by comparing the reduction rates of wave heights that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B. First, the observed data were compared with the numerical model results available from a previous study, and the model data showed reasonable agreement with measured data at 3 out of 4 locations inside the port. The discrepancy in one of the locations was because the model could not accurately calculated the effect of wave interference in the inner corner of the port. The observation data showed excellent results that the number of waves that exceeded 0.3 m, the critical value to reach desired harbor tranquili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B.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the ratio of wave heights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the port, was decreased after the DB construction, which proved that properly designed coastal structures such as DB in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port tranqu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ly applied for solving problems in similar cases.

항내 정온계산 위한 BOUSS-2D 모형의 반사특성 검토

  • Ha, Chang-Sik;Kim, Tak-Gyeom;Kim, Jong-Hun;Yu, Ha-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65-66
    • /
    • 2018
  • 국내 항만의 건설 및 확장 보수를 위한 설계 단계에서의 평면배치 검토시 항내측으로 내습하는 파랑변형특성에 대한 정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많은 수학적 모델들이 연안역과 항만에서의 파랑전파와 변형에 대해 개발되어 왔다. 특히 항내정온도의 해석은 항만 사용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실제 해상의 파랑상태와 유사한 불규칙파로의 해석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항내정온도 해석에 있어서 항내파랑장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물의 반사율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구조물의 반사율은 이론계산이 어렵고, 일반적으로는 모형실험 혹은 현지관측에 의해 추정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우 비용 및 시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평면 파랑모형으로 정온도 해석시 반사율의 적용은 구조형식별로 연구자들에 의해 개략 제시된 반사율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다방향 불규칙파의 적용시에 경계조건으로는 다방향 불규칙파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부분반사 경계면과 계산영역 밖으로 나가는 파랑에 대해서 인공적인 흡수층 또는 감쇠층(artificial damping layer)을 설정하여 반사를 제어하는 기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이때 항만구조물의 부분반사는 파랑제원에 따른 damping layer의 parameter의 조정에 의해 구조물의 구조형식별 반사율을 적절히 재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파를 대상으로 damping layer의 parameter(무차원 감쇠계수, 감쇠층의 두께)등의 변화에 따른 반사율의 변화특성을 고찰하고, 향후 부분반사 경계면으로 damping layer가 적용되는 평면 파랑모형의 정온도 해석시 부분반사의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Harbour Tranquility Analysis using Boundary Element Method (경계요소법을 사용한 항내 정온도 해석)

  • 홍정일;전인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31-134
    • /
    • 1997
  • 항만을 새로 건설할 때에는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 있다. 이 가운데 항내정온도는 가장 기본적이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항의 입구에서 전파되어 오는 입사파로 인해 발생하는 항만 내부의 동요가 너무 크면 하역 작업이 어려워지고 정박되어 있는 선박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항내의 동요에 대하여 가능한 한 정확하게 예측하여 항내 동요가 가장 적은 즉 항내측이 가장 정온한 항만의 형상을 선택해야 한다. (중략)

  • PDF

평상파의 항내정온도 분석을 통한 항만가동률의 산정

  • 정원무;정신택;채봉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7a
    • /
    • pp.34-37
    • /
    • 1993
  • 지금까지의 항만정온도 평가시에는 주로 회귀연도 50연의 설계파를 입사파로 사용하여 대상수역에서의 파고비를 구한 후 평상시의 파랑에 대해서도 이 비율이 선형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하였다. 그러나, 설계액와 평상시 파랑은 주기외 파고가 달라서 파랑경사가 다르므로 위와 같이 파고비가 선형적으로 비례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실제와 상당한 차이를 야기시킬 수 있다. (중략)

  • PDF

Tranquility Reformation of Nearby Fishing Port due to Construction of a New Harbor (항만건설에 따른 인근어항 정온도 개선방안)

  • Seo, Kyu-Hak;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10-11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항만시설물을 계획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인근 소규모 어항의 안정성에 대하여 일예를 들어 검토하였다.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인해 인근어항(강정항)의 기축조분 84m를 제외한 잔량분 126m에 대한 평면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수치모형실험(SWAN)을 통해 강정항의 현 상태 및 기지건설 후의 항내파고 분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남방파제 잔량분이 미 시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항내정온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안을 연구한 결과 제주해군기지 서방파제 시점부에 파제제 50.0m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인근어항(강정항)의 항내정온도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