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공화물 무역 분야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우리나라 항공화물 무역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Korea's Air Freight Trade Field)

  • 임재환;김영록;최연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7-124
    • /
    • 2020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air transport trade patterns using data for 30 years between Korea and its trading partners in order to identify specific factors that determine the size of Korea's air transport trad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DP per capita, capital distance between countries, country area data and number of airports. In addition, it reflected whether it is a landlocked country and whether it has joined the OECD, APEC and ASEAN+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air cargo trade pattern in Korea is proportional to GDP per capita, and the scale increases as the distance is closer. In addition, the national area and the airport capital acted as a factor in increasing air transport trade. However, whether a country is a landlocked country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trade, exports, and imports. The OECD, APEC, and ASEAN+3 variables were found to generally increase air transport trade.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The Origin-Destination analysis of KORUS trade volume using spatial information)

  • 강효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3호
    • /
    • pp.47-72
    • /
    • 2016
  • 그 동안 우리나라 정부의 통상분야에 대한 관심은 한 해 동안 교역활동의 흐름을 통해 최종적으로 산출된 숫자의 적(赤)과 흑(黑)이 의미하는 부호(+, -)에만 관심을 가졌다. 이제는 교역활동의 결과를 대리하는 그 숫자가 의미하는 숨어있는 공간정보에 주목할 때이다. 본 연구는 한미 양국이 제공하는 교역액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였다.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2년간의 교역데이터의 분석결과 분해가 가능한 공간정보를 교역물품 발생지, 경유지 그리고 최종목적지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일반적으로 대미 수출을 뜻하는 한국발 미국향 화물에 대한 공간정보의 특성을 2003년과 비교했을 때 2015년에는 발생지 측면에서 탈수도권화 현상이 나타났다. 국내 경유지 측면에서는 해상 및 항공화물의 비중이 각각 약76%, 23%로 분석되었다. 미국 경유지의 경우 미서부 항만의 경유비율이 줄어들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미남부 항만의 경유는 증가하고 있었다. 화물의 최종목적지는 캘리포니아 주로의 수출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텍사스와 조지아 주의 화물성장세가 증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적으로 대미 수입을 뜻하는 미국발 한국향 화물의 공간정보특성을 살펴보면 발생지 측면에서는 캘리포니아와 텍사스 주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미국 내 경유지인 항만과 공항의 경유비율은 약60%, 40%의 비율로 항공화물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의 경유지 중 공항은 인천공항이 절대적이었으며, 항만의 경우는 부산항의 점유율은 68.2%를 기록하여 12년 전과 큰 변화는 없어 영향력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평택당진항과 인천항과 같이 수도권에 인접한 항만의 성장세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2년간 한국과 미국의 교역액 데이터의 공간정보를 분해하여 양국의 교역구조를 발생지, 경유지, 목적지로 구조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