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공서비스교육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CIPP모형을 활용한 항공서비스교육 평가 -만족도 및 재추천에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Airline Service Education Using the CIPP Model -focus on factors which influenced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 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10-523
    • /
    • 2012
  • 본 연구는 CIPP모형을 활용하여 항공서비스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CIPP모형의 상황평가(Context), 투입평가(Input), 과정평가(Process), 산출평가(Product)를 중심으로 요인을 도출하고 항공서비스교육의 만족도와 재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에는 상황평가(C)의 교육목표, 과정평가(P)의 상호작용, 프로그램관리, 산출평가(P)의 직무성과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투입평가(I)의 인적자원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서비스교육의 재추천에는 상황평가(C)의 교육목표, 과정평가(P)의 상호작용, 교육지원, 산출평가(P)의 직무성과 요인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상황평가(C)의 요구진단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항공서비스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이 아니라 교육의 목표, 상호작용, 프로그램관리, 성과를 높여야 하며, 서비스교육의 재추천을 위해서는 항공사의 요구진단보다는 교육목표, 상호작용, 교육지원, 직무성과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서비스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For Cabin Attendants on Self Efficacy and Service Attitude)

  • 이순우;김지윤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67
    • /
    • 2016
  • 본 연구는 객실승무원 교육훈련 만족이 자기효능감 및 서비스태도(서비스 몰입, 서비스 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바람직한 객실승무원 교육훈련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비행근무 중인 국내 K항공사 객실승무원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효한 설문지 208부를 대상으로 기초 통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훈련 내용(용모 및 태도 관련 내용, 서비스자세 관련 내용, 대처요령 관련 내용)은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객실승무원 훈련담당강사는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객실승무원 교육시스템은 교육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객실승무원 교육만족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객실승무원 교육만족은 서비스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객실승무원 교육만족은 서비스지향의 자발적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비스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on Self-Efficacy and Service Orientation - Centering on Students of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 -)

  • 정민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82-1097
    • /
    • 2011
  • 본 연구는 서비스 교육이 항공서비스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들에 대한 효과적이고 실무중심적인 서비스교육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교육은 크게 서비스 능력 교육과 서비스 성향 교육으로 구분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서비스 지향성은 결과 지향과 과정 지향의 두 가지 요인으로 연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교육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인지적 자기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서비스성향 교육은 서비스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지향성은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NCS 기반 교육과 학습동기에 따른 학업성과 결정요인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 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3-359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 및 학습동기와 학업성과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정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학습모듈 개발 장려에 따른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을 위해 우선, 실무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는 항공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내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학과 학생들을 표본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측정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교육은 학업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영향요인으로 한 학습동기는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식재산권을 연계한 항공서비스학과 융합 캡스톤디자인 교육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the Convergence Capstone Design Education by Connec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or Airline Service Department)

  • 박현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27-132
    • /
    • 2019
  • 본 논문은 항공서비스 분야에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하여 그 결과로 지식재산권 등록을 한 사례 연구이다. 항공 탑승 시 애완견 동반 승객의 편의를 위해 항공사에서 판매중인 종이 케이지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휴대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더한 케이지 제작을 위한 융합 교과과정을 운영한 사례이다. 이는 애완견의 안전성과 편안함, 견주의 편의성과 함께 탑승하는 승객들의 불편함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각 전문과들과의 협업을 통해 상품성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젝트 기간은 15주였으며 참여인원은 학생 18명, 지도교수1명, 산업체 전문가4인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융합 교과과정을 통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항공서비스 분야에 적용하여 항공서비스의 다양성 확보와 더불어 기업과 학생들에게 산학연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안하는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리적환경이 자긍심과 기업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관련 대학교육환경을 중심으로- (Research about Influence of Physical Service Educational Environment on Self-Esteem and Company's Loyalty -On the Physical Evidence of Education Service-)

  • 강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87-294
    • /
    • 2013
  • 최근 들어 대학들은 취업률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취업분야와 관련한 실무지향적 학과들의 교육과정 및 환경에 대한 논거는 취업이라는 가치관에 그 성과를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기업인재 지향적 학습 및 교육이 취업으로 이어지는 결과에서 지인한 것이다. 항공서비스과는 대표적인 예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대학 항공서비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적 교육환경이 자긍심 및 기업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물리적환경이 높을수록 자긍심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자긍심은 기업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서비스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의 인식, 서비스 호스피탈리티 및 서비스 지향성에 관한 연구 :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on Cabin Service Curriculum, Service Hospitality and Service-Orientation focusing on CIPP Model)

  • 박지영;김기웅;최덕진;박성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9-79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he curriculum of the cabin service major students at 2 year colleges through the CIPP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evaluation model and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ir awareness affects Service Orientation and Service Hospitality. It was proven that the CIPP evaluation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ir department, and also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rvice Hospitality and Service Orientation statistically. However, the satisfaction of their department itself is not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Service Orientation and Service Hospitality so it negatively affected them. Moreover, both the Service Management program(Process) and Service Attitude(Produc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rvice Hospitality, and Service Hospitality also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rvice Orientation. So it resulted in a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m. As a result,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promo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will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nd help students to become flight attendants.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Service Management program(Process) and Service Attitude(Product).

조종사양성 교육기관의 안전문화지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Culture Index Measurement of Pilot Training School)

  • 한경근;김영석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32
    • /
    • 2015
  • 조직의 안전문화가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안전문화의 개선과 정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항공법 제49조에 지정전문교육기관은 자체 안전관리시스템을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에는 조직의 안전문화를 조사하여 상태를 파악하고 발견된 문제점을 개선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안전공단에서 개발한 축약형 CASS Scale을 사용하여 조종사양성 교육기관의 안전문화지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안전문화 평균치는 3.711로 나타났으며 하위지표의 측정결과는 직원 권한위임에 대한 평균값이 3.98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상벌체계에 대한 평균값이 3.30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서비스제공자는 이러한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취약부분에 대한 개입전략을 수립, 적용함으로써 조직문화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이미지메이킹 교육이 자아존중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age Making Education on Self-Esteem and Education Satisfaction)

  • 조주은;고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030-10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이미지메이킹 교육이 자아존중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두 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편의표본추출을 통해 240부의 설문지를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회수하였으며,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제외하고 218부를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미지메이킹 교육은 외적이미지교육, 기본인성교육 및 매너교육으로 구분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은 가치감과 존중감으로 구분하였다.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이미지메이킹교육 중 외적이미지교육, 매너교육은 가치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매너교육은 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얼굴표정, 메이크업, 컬러 이미지, 헤어연출, 워킹 등의 교육을 통해 가치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고, 전화매너, 프레젠테이션스킬, 커뮤니케이션 스킬 교육등을 통해 존중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가치감과 존중감은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모두 채택되었다. 즉 자아존중감 중 가치감과 존중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통하여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의 이미지메이킹의 관리가 필요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한계점과 향후 논의방향을 제시하였다.

항공관련학과 교과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Curriculum of Departments related to Airline Service)

  • 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521-535
    • /
    • 2011
  • 본 연구는 항공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항공수요의 증가로 인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에 대한 직업적 선택의 기회가 확대되는 시기에 항공사 객실승무원에게 필요로 하는 교과목의 우선순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항공사에 근무하고 있는 객실승무원과 대학의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t-test, Borich 분석, Herschknowiz의 임계함수 등을 이용하여 교과목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과 객실승무원 모두 외국어 영역에 대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외에 관광학 관련 과목에 대한 우선순위를 높게 매기고 있었다. 이는 세계화의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 외국어 능력뿐만 아니라 관광과 같은 전문적 영역의 과목이 객실승무원에게 필요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항공승무원에게 요구되는 교과목의 개발을 위해 항공서비스 관련 대학들과 항공사 간의 체계적인 산학협력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