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합성연료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Ca^{2+}$ and $Co^{3+}$ cations substitution on the properties of $LaCrO_3$ for SOFC interconnect (SOFC 연결재용 $LaCrO_3$ Perovskite 구조에서 $Ca^{2+}$$Co^{3+}$치환첨가효과)

  • An, Yongtae;Choi, Byunghyun;Ji, Mijung;Kwon, Yongjin;Seo, Han;Hwang, Haej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36.1-136.1
    • /
    • 2010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서 사용되는 연결재의 주 기능은 각 단위 셀의 연료극과 다음 셀의 공기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공기와 사용연료의 분리역할을 하기위해 사용된다. SOFC용 연결재는 다른 구성요소 소재보다 높은 전기전도성, 낮은 이온전도성이 요구되며 SOFC는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다른 구성 소재들과 유사한 열팽창계수와 물리, 화학적인 안정성이 요구된다. 현재 연결재 제조기술은 plasma coating, sputtering, screen printing, 전사법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한 고상반응법을 적용하여 세라믹연결재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세라믹 연결재로서 선정한 합성조성은 $(La_{0.7}Ca_{0.3})(Cr_{0.9}Co_{0.1})O_3$로 SOFC 작동온도에서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LCCO 연결재를 1300, 1400 및 $1500^{\circ}C$에서 합성을 진행하였을 때 출발원료로 $CaCO_3$$CaF_2$로 대체하였을 때의 소결특성을 평가하였고, SEM과 XRD분석을 통하여 균질하고 결정성이 우수한 분말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DC impedance analyzer를 사용하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TMA를 사용하여 열팽창계수를 측정한 결과 YSZ(${\sim}10.8{\times}10^{-6}/^{\circ}C$)와 동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 PDF

Status and Plans on Low Emission Coal Energy (무공해 석탄에너지 현황 및 계획)

  • Jung,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856-856
    • /
    • 2009
  • 석유 및 천연가스를 대체하는 자원으로 석탄이 유망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6대 파괴력이 있는 기술로 청정석탄기술이 선정되었고, 한국에서도 15대 그린에너지 중 하나인 청정연료에 석탄전환기술이 포함되어 전략로드맵이 작성되고 있다.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석탄기술은 석탄가스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석탄가스화는 고체연료인 석탄을 $10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산소와 반응시켜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성분인 합성가스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석탄을 가스화하면 석탄에 포함된 불순물을 쉽고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CO2 제거를 값싸게 할 수 있어 청정화가 가능하다. 최근 고유가를 겪으면서 열량이 높은 고급탄의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가격이 낮고 수급이 용이한 저급탄을 활용하는 기술의 수요가 발생되어 국내에서 기업을 중심으로 저급탄을 고효율로 가스화하는 기술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정제된 석탄가스는 성분을 조절하여 촉매에 의해 메탄으로 전환시킬 수 있고, 이렇게 제조된 가스를 합성천연가스(SNG)라 한다. 값싼 저급탄을 사용하면 SNG를 천연가스보다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국내 기업이 SNG 제조 실증시설을 도입하고, 동시에 핵심기술인 SNG 합성반응공정을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석탄가스를 촉매반응에 의해 디젤 및 �F싸로 전환하는 석탄간접액화기술은 현재 남아공 Sasol사에서 상업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기술이나 국내로의 기술이전이 거의 불가능하다. 철을 기반으로 하는 고유 촉매와 scale-up이 가능한 반응기가 핵심인 기술로 국내에서 세미-파일럿급 액화공정 기술개발이 진행중이다. 전세계적으로 석탄액화공장의 수요가 현재의 15만배럴/일에서 2030년 240만배럴/일로 증가한다고 예측된다. 따라서 200조원 이상의 플랜트 시장이 기대되며 국산 가스화, SNG 및 액화기술로 상당부분의 시장을 장악하고자 한다.

  • PDF

Synthesis of Biodiesel from Vegetable Oil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Low Temperature (식물성 오일로부터 바이오디젤의 합성과 저온특성)

  • Lim, Young-Kwan;Kim, DongKil;Yim, Eui So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0 no.2
    • /
    • pp.208-212
    • /
    • 2009
  • Biodiesel come from animal fat and vegetable oil by methanolysis was known for eco-friendly fuel for the alternative petrodiesel. But, various kinds of biodiesel need to analyze the cold characteristic due to poor fuel properties than petrodiesel in a cold condition. In this paper, 12 types of biodiesel were synthesized in 86~96% yields from 12 kinds of vegetable oil by transesterification. These synthesized biodiesel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ld characteristics like cloud point, pour point, and cold filter plugging point (CFPP). The biodiesel comes from perilla oil which has rich olefin showed the excellent fuel characteristics in a low temperature.

신연료 개발현황과 전망

  • Ga, Ne-Kko
    • LP가스
    • /
    • s.96
    • /
    • pp.62-75
    • /
    • 2005
  • 전세계적으로 신연료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일)프로판산업신문에 LP가스합성 기술 및 경제성 분석에 대한 글이 소개되어 이를 게재한다.

  • PDF

Direct Synthesis of Dimethyl Ether in a Fixed Bed Reactor (고정층 반응기 내에서 디메틸에테르 직접 합성)

  • 최정운;이상호;심규성;명광식;김종원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0 no.1
    • /
    • pp.40-48
    • /
    • 2001
  • 디젤엔진에 적합한 환경 친화적 연료로 평가받고 있는 디메틸에테르(DME)를 기존의 메탄올 탈수화에 의한 간접법 대신 합성 가스로부터 직접 합성법으로 제조하였다. 합성가스에서 메탄올을 합성하는 경우에 비해 화학 평형 상의 이점 때문에 DME를 합성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이는 실험 결과와 일치하였다. 기상 반응기에서 메탄올 탈수촉매의 부가에 의한 메탄올 환산 생산량은 메탄올 합성촉매에 의한 생산량에 비해 두 배 이상의 증가를 보인다. 메탄올 탈수촉매를 Cu로 개질한 효과는 없었으며, 메탄올 탈수촉매로서 순수 감마알루미나가 가장 우수한 반응성을 보였다. 반응 조건이 25$0^{\circ}C$, 30atm일 때 고려된 GHSV 범위에서 촉매 적정 혼합비는 7:3, 합성 가스의 조성비는 $H_2$/CO=1일 때 가장 좋은 선택도와 수율을 나타내었다.

  • PDF

Zr based metallic glass thin films for corrosion protection of the metallic bipolar plate in PEM fuel cell (금속계 연료전지 분리판의 내식특성 향상을 위한 Zr기 비정질 박막 합성기술)

  • Seon, Ju-Hyeon;Mun, Gyeong-Il;Sin,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19-20
    • /
    • 2014
  •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핵심 부품 중 하나인 분리판(Bipolar plate)은 반응 연료인 수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셀(cell)의 전면적에 균일하게 분배, 공급, 배기 및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수집하며, 높은 가스밀폐성, 전기전도성 및 내식성이 요구된다. 분리판 소재로는 흑연, 고분자-탄소 복합체 및 금속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연료전지 스택의 부피, 무게 및 제조비용 감소를 위하여 금속분리판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금속분리판의 경우 연료전지 작동환경에서 부식반응에 의한 이온 용출로 인해 전극촉매나 고분자전해질막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최근 금속계 분리판의 코팅을 통하여 분리판의 내식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