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합동작전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8초

소형표적에 대한 합동 해안경계시스템 작전효과 분석방법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of the Operations Effectiveness of the Joint Coastal Guard System Against Small Targets)

  • 김태호;한현진;이병호;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1권2호
    • /
    • pp.59-66
    • /
    • 2022
  • 합동 해안경계시스템은 해상경계시스템과 해안대침투경계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주로 해군이 해상경계를, 육군이 해안대침투경계를 책임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육군 및 해군의 다양한 무기체계가 복합적으로 운용되는 합동 해안경계시스템이 소형표적을 대상으로 어느 정도의 성공적인 작전수행이 가능한지에 대한 작전효과를 분석하였다. 작전효과 분석은 작전형태별 작전효과 정의, METT-T 요소를 활용한 모의환경 구성과 모의 시나리오 가정 수립, 모의실시 및 기상상태별 모의결과 분석으로 진행되었고 시뮬레이션 도구는 NORAM(해군작전 및 자원소요분석모델)과 EADSIM(통합방공작전분석모델)을 사용하였다. 작전효과 분석결과, 현재 운용중인 합동 해안경계시스템은 표적의 크기와 기상상태에 따라 작전성공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합동 해안경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체계적인 경계작전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합동 해안경계시스템 작전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nalyzing Operations Effectiveness of Joint Coastal Security System)

  • 김태호;한현진;이병호;신용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9-382
    • /
    • 2021
  • 합동 해안경계시스템은 해상경계시스템과 해안대침투경계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주로 해군이 해상경계를, 육군이 해안경계를 책임지고 있는 시스템이다. 해군 및 육군의 다양한 무기체계가 복합적으로 운용되는 해안경계시스템의 작전효과를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작전효과 분석을 통해 현재 운용중인 해안경계시스템의 기상상태별 작전성공률 계량화가 가능하였다.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합동 해안경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체계적인 경계작전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전투발전요소 중심의 상호운용성 평가모델 제안 (A Proposal for the Conceptual Interoperability Measurement Model Based on DOTMLPF-p)

  • 임병윤;이태공
    • 정보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169-180
    • /
    • 2013
  • 합동작전에 참여하는 부대가 효과적으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 시스템, 장비, 교리 절차 등 전 영역(물리 정보 인지 사회)에서의 상호운용성이 우선적으로 달성되어야 한다. 기존의 상호운용성 평가모델들을 분석해보면 하드웨어 중심의 평가에서 시스템, 조직, 작전 등으로 평가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모델들은 전투발전요소를 평가항목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대부분의 모델들은 전투발전요소의 일부만을 평가항목으로 적용하고 있어 전투발전요소 전체에 대한 상호운용성 평가가 제한되고, 모델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구체화와 평가결과에 대한 객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측정기준 개발 등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되는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한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전투발전요소 전체를 평가항목으로 적용하는 '전투발전요소 중심의 상호운용성 평가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능력개념을 도입하였고, 전투발전요소 전체를 적용하여 평가대상의 상호운용성 수준을 보다 총체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델은 각 전투발전요소의 상호운용성 속성 중에서 합동성과 관련된 속성을 선별 및 적용하여 합동작전에 참여하는 부대의 합동성 수준까지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공세적 사이버 작전을 위한 사이버 킬체인 모델 연구 (Research on Cyber Kill Chain Models for Offensive Cyber Operations)

  • 조성배;김완주;임재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1-80
    • /
    • 2023
  • 사이버공간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에 이어 다섯 번째 새로운 전쟁 공간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군사작전 측면에서도 사이버공간이 핵심적인 공격과 방어 목표가 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사이버공간에 대한 공세적 사이버 작전 수행의지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어적 전략인 사이버 킬체인 모델에 합동 항공임무명령서(ATO)의 임무수행주기와 합동표적처리 절차를 융합한 공세적 개념의 사이버 킬체인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사이버 작전의 합동성 측면에서 물리 작전과 사이버 작전의 통합을 통해 전략적 차원의 국가 사이버 작전 역량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LIP 기반의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Joint Tactical Data Link System Based on CLIP)

  • 김승춘;이형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22
    • /
    • 2011
  • 한국군의 효과적인 합동작전 수행을 위한 감시 정찰 정보 및 공통상황인식의 필요하다. 실시간으로 합동전력간 전술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 체계는 기본형(1단계)에서 음성위주의 기존 무전기를 활용하여 필수 전술정보와 상황인식 공유를 제공한다. 완성형(2단계)은 기본형의 기술개발과 상용기술 성숙도를 고려하여 네트워크 중심의 전쟁수행이 가능한 합동데이터링크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는 연합작전 및 합동작전에 참가하는 전력들간에 효과적인 지휘통제를 제공하여 동시성 통합성의 전투력 발휘가 가능한 합동전장체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LIP 기반의 공통 데이터 처리기의 성능이 구현된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의 체계개발을 제시한다. 현재 개발중인 시스템의 시험 결과, QPSK 방식의 변조 신호를 사용한 경우 기존 무전기의 수신감도를 만족하여 시스템 구현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데이터링크 기술 표준화 동향

  • 김한동;최태봉
    • 정보와 통신
    • /
    • 제24권10호
    • /
    • pp.7-14
    • /
    • 2007
  • 미래의 전장환경은 기존의 플랫폼 중심전(PCW: Platform Centric Warfare)에서 센서로부터 들어온 디지털 정보를 타격체계에 곧바로 전달하는 Sensor-to-Shooter 개념의 네트워크 중심전 (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기본 패러다임이 급속히 바뀌고 있으며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 능력의 기반이 되는 전술데이터링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전술데이터링크는 196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정보통신의 발전과 함께 무기체계의 디지털화 및 작전개념의 발전 등으로 다양한 전술데이터링크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미군은 최신의 전술데이터 링크인 LINK-16을 다양한 무기체계에 탑재하고 있으며 연합작전 및 합동작전을 위한 전술데이터링크를 구축하고 있는 반면 아직 우리군은 각 무기체계별로 일부 선진국의 전술데이터링크를 도입하여 적용하고 있을 뿐 모든 무기체계에 적용 할 수 있는 표준 전술데이터링크 및 한국군 단독으로 작전을 수행하기 위한 전술데이터링크가 학보 되지 않아 미래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네트워크 중심전의 핵심인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선진국의 주요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해서 알아보고 현재 한국군의 전술데이터링크 구축 현황 및 미래 한국군 전장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국형 전술데이터링크에 대해서 알아본다.

사이버작전에 대한 공통상황인식 함양을 위한 군(軍) 사이버작전 교육체계 연구 및 방향성 제안 -비(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 교육을 중심으로- (Research and Direction of Cyber Operation Education System for Fostering Common Situation Awareness about Cyber Operation -Focusing on non-Cyber Operations Unit Officer Education-)

  • 이상운;박용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3-22
    • /
    • 2019
  • 본 연구는 사이버작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비(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들을 위한 교육체계를 개발하고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이버작전을 합동작전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들도 사이버작전을 알아야하나 이들을 위한 교육체계는 현재 군(軍)에는 없으며, 이에 대한 선행연구 또한 거의 없어 해당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비(非)사이버작전부대 장교 교육체계는 사전에 실시한 관련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교육체계를 구성할 수 있는 5가지 항목 즉, 교육의 필요성, 교육대상, 교육목표 및 내용, 교육과정에 관한 사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관련 전문가들에게 델파이방법으로 각 항목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일부 향상의 필요성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적합함을 보였다. 향후에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세부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개발될 수 있다.

합동전장 환경에서 효과적인 Kill Chain 지원을 위한 표적정보전달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an Effective Network of Information Delivery for Supporting Kill Chain in the Joint Battlefield Environment)

  • 이철화;이종관;구자열;임재성
    • 정보화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23
    • /
    • 2014
  • 킬체인(Kill Chain)이 최근에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조기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킬체인 구축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센서와 타격무기가 효과적으로 작전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국형 킬체인 네트워크에 대하여 검토해야 한다. 특히, 산악지역 및 해양을 포함한 짧은 종심의 합동전장 환경에서 적 위협으로부터 공격 대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적합한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현재 작전에서는 다양한 유 무선 통신체계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이미지, 문자 등을 작전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킬체인에서 적용될 수 있는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정책적 대안에 대한 확증을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적용하여 킬체인에 적합한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를 식별하였다. 이를 통해 합동 전장 환경하에서 적용 가능한 킬체인 표적정보 전달 네트워크 및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합동작전 지휘통제 효과도 모의분석을 위한 평가기준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for M&S Analysis of Command and Control Effectiveness in Joint Operations)

  • 손영환;김원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7-175
    • /
    • 2011
  • 미래전이 네트워크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변화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지휘통제의 효과도에 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다. 과거의 기동과 타격자산 중심의 소모전 위주의 전투와 달리, 현대전은 정보의 획득과 유통이 중요시되는 정보 네트워크 기반의 전쟁으로서 C4ISR(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체계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데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휘통제가 전투에 기여하는 효과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론이나 효과 반영체계 등을 명확하게 설명할 방법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중심작전의 기반이 되는 C4ISR 체계에 의한 효과도 증진을 개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인 미국방부가 개발한 NCO-CF(Network Centric Operations-Conceptual Framework)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NCO-CF를 기반으로 하여 지휘통제 효과도 모의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로 합동작전의 지휘통제 체계에 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모의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