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합동능력 관리체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6초

합동능력 관리체계 구축 및 활용 방안 (A Proposal for Establishing and Applying of the Joint Capability Management System (JCMS))

  • 이진우;임병윤;이태공;박병진;최항준
    • 정보화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7-199
    • /
    • 2014
  • 미국, 영국, 나토는 불확실한 미래 합동작전을 위한 합동 능력을 구축하기 위해 합동 개념을 발전시켜 적용하고 합동능력 관리체계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 중 미군은 능력을 기반으로 전력을 기획하여, 예산을 편성하고, 집행하여 평가는 PPBEE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미군은 합동능력영역(JCA), 합동과제목록(UJTL) 등을 중심으로 합동능력관리체계(JCAMS)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최근 한국군도 이러한 능력 개념을 도입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군의 합동능력관리체계를 참고하여 한국군에 적합한 능력관리 통합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통합메커니즘을 통하여 우리군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합동능력 관리체계(JCMS)를 구축 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정보보호 국제표준화 분석

  • 염흥열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10
    • /
    • 2015
  • 기업에 의해 수집되어 관리되고 있는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기업의 개인정보보호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체계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1,2]. 국제표준화위원회/전기위원회 합동위원회 1의 정보보호 기술연구반 아이덴터티 관리 및 프라이버시 작업반 (ISO/IEC JTC 1/SC 27/WG 5)에서는 기업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원칙을 제시하고, 개인정보보호 위험 평가 지침을 제시하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각종 통제를 제시하기 위한 국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18]. 정보보호관리체계 작업반(WG 1)에서는 2013년부터 정보보호관리 요구사항을 다룬 ISO/IEC 27001[6]을 이용해 여러 섹터에 적용되는 정보보호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요구사항에 대한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작업반 1과 작업반 5에서 수행되고 있는 개인정보보호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의 동향을 살펴보고,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국제 표준의 배열을 제시한다.

메가프로젝트 기본설계단계의 Master Architect 의사결정지원 도구 (Decision Making Support Tool for Master Architect in Design Development Phase of Mega-Project)

  • 조동현;구교진;박성철;김종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2-206
    • /
    • 2008
  • 최근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등과 관련된 메가프로젝트 들이 계획되거나 수행되고 있다. 메가프로젝트의 설계단계에서는 다수의 설계업체로 구성된 합동설계조직과 의사결정주체가 참여하여 지속적으로 의견을 조율한다. 현재 메가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관들은 합동설계조직으로부터 작성되는 다수의 다양한 도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MA(Master Architect)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된 MA의 능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부재로 설계일정 지연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문헌 분석 및 모델프로젝트 선정과 해당 프로젝트 참여 전문가 면담을 통해 MA방식을 도입한 메가프젝트의 설계조직 구성과 의사결정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기본설계단계에서의 의사결정 특성을 도출한 후 이를 관리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모델을 구축하고 시스템 개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 PDF

국방 NC 기반 C2 시설 I3A Framework (I3A Framework of Defense Network Centric Based C2 Facilities)

  • 김영동;이태공;박범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8호
    • /
    • pp.615-625
    • /
    • 2014
  • 국방부는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한 국방 개혁안을 토대로 2010년 "군사시설 종합 발전계획(Mater Plan)"을 수립하였다. 이것은 합동성 및 3군 균형발전을 고려한 군사력 구조조정 및 군 자산관리를 위해 전국에 산재한 군사시설을 통폐합하기 위한 계획이었다. 그러나 현용 국방 군사 시설기준을 적용하여 "군사시설 종합 발전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시설 기준의 부재 및 비합리적인 시설규모 산정 사례 발생으로 제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미래 전장 환경은 플랫폼(Plat form)기반에서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기반으로 변화하면서 C4I(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 Intelligence) 체계를 이용한 지휘 통제 능력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국방 정보기술(IT)과 시설이 잘 융합되어야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국방부도 시설 통폐합에 따른 지휘통제 시설의 정보통신기반과 설비의 구축을 네트워크 중심전 수행에 맞는 정책, 설계 기준 및 운용 지침을 시급히 갖추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방 I3A Framework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