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수화

Search Result 3,07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ffect of Artificial Zeolite on Fermentation and Emission of Ammonia and Methane during Animal Waste Composting (인공제올라이트 처리가 가축분 퇴비의 발효 및 암모니아, 메탄가스 발생에 비치는 영향)

  • Lee, Deog-Bae;Kim, Jong-Gu;Lee, Kyung-Bo;Lee, Sang-Bok;Kim, Jae-Du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3 no.5
    • /
    • pp.361-368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rtificial zeolite on the change of temperature, gas emission, water content and 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with the mixture of animal feces, broken bark and extruded rice hull. Artificial zeolite was added 0, 0.5, 1, 3 and 5% volume of the raw composting material, and proceeded 1.2m every day with mobile stacking escalator. Temperature was increased, and water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composting pile by addition of artificial zeolite. This caused to accelerat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during composting. $NH_3$ was emitted the highest at 6th day after stacking, then decreased gradually. And addition of artificial zeolite caused to decrease greatly in $NH_3$ emission from composting pile. As result of this, content of nitrogen in the compost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artificial zeolite. Emission of $CH_4$ was the highest at early stacking stage, and that was decreased drastically at 8th day. Emission of $CH_4$ was also decreased greatly by addition of artificial zeolite at 5th days after stacking. It may be resulted from adsorption of $CH_4$ into the molecular sieve structure of artificial zeolite and low water content by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 PDF

Analyzing Passenger Arrival Behavior Based on the Spent Time for Airport Access (공항접근시간에 따른 여객의 공항도착 행태분석)

  • 오성열;김원규;박용화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4
    • /
    • pp.17-27
    • /
    • 2003
  • In general, an airport access system has influenced on airport terminal operation. The congestion and delay in service facilities at an airport are definitely depended on the patterns of passenger arrival behavior and time spent in a termin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ssenger arrival behavior at an airport to improve the operations at passenger terminal. Passenger arrival patterns to an airport are mainly depended on factors such as the length of access time. reliability of access time. and provision of transport modes, etc.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access time and passenger's total time spent to board aeroplane. For this, passenger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Gimpo International Airport for a large airport and Sacheon Airport for a small size airport.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between arrival time at an airport prior to the scheduled time of departure(STD) and access time spent was then estima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reduce congestion and delays, thereb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assenger services at the airports.

Application of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s to the Sampling Error Problem (관측오차문제에 대한 다차원 강우모형의 적용)

  • Yu, Cheol-S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0 no.5
    • /
    • pp.441-447
    • /
    • 1997
  • Rainfall observation using rain gage network or satellites includes the sampling error depending on the observation methods or plans. For example, the sampling using rain gages is continuous in time but discontinuous in space, which is nothing but the source of the sampling error. The sampling using satellites is the reverse case that continuous in space and discontinuous in time. The sampling error may be quantified by use of the temporal-spati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nd the sampling design. One of recent works on this problem was done by North and Nakamoto (1989), who derived a formulation for estimating the sampling error based on the temporal-spatial rainfall spectrum and the design scheme. The formula enables us to design an optimal rain gage network or a satellite operation plan providi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rainfall. In this paper the formula is reviewed and applied for the sampling error problems using several multi-dimensional precipitation models. The results show the limitation of the formulation, which cannot distinguish the model difference in case the model parameters can reproduce similar second order statistics of rainfall. The limitation can be improved by developing a new way to consider the higher order statistics, and eventually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of rainfall.

  • PDF

Changes in Spatial Resolution at Position of the Detector in Digital Mammography System (디지털 엑스선유방촬영장치에서 검출기 위치에 따른 공간분해능의 변화)

  • Kim, Hye-Min;Chon, Kwon 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0 no.3
    • /
    • pp.215-222
    • /
    • 2016
  • X-ray mammography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calcified lesions of various breast diseases. To reduce patient dose and to obtain optimal image required for diagnosis, the performance of the mammography system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Because the target (anode) angle of the X-ray tube is measured from the central X-ray, the effective angle can be slightly different in view of the position on the detector, which can result in degrading spatial resolution of the imaging within the field of view.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TF to examine spatial resolution for positions on the detector in the digital mammography system. For a tungsten wire of $50{\mu}m$ diameter, the highest spatial frequency was obtained. It meant that a wire diameter for measuring MTF through LSF should be small compared to the pixel size of the detector used in the mammography system. The spatial resolution showed slightly different performance according to positions on the detector. The center position gave the best spatial resolution and positions away from the center showed the degraded performance although the difference of the spatial resolution was small. The effective focal spot size of the full width at half maximum also showed similar result. It concluded that the slightly increase of the effective focal spot size gave the degradat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for positions on the detector.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on Chitosan/Zeolite Composites (키토산/제올라이트 복합체의 이산화탄소 흡착 특성)

  • Hong, Woong-Gil;Hwang, Kyung-Jun;Jeong, Gyeong-Won;Yoon, Soon-Do;Shim, Wang Geu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31 no.2
    • /
    • pp.179-186
    • /
    • 2020
  • In this study, chitosan/zeolite composites were prepared by using basalt-based zeolite impregnated with aqueous chitosan solution for the adsorptive separation of CO2. The prepared composites were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Fourier-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and nitrogen adsorp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adsorption equilibrium isotherms for CO2 and N2 were measured at 298 K using a volumetric adsorption syste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pplying adsorption isotherm equations (Langmuir, Freundlich, and Sips) and energy distribution function. It was found that CO2 adsorption capaciti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itosan and zeolite, and the ratio of elements [N/C, Al/(Si + Al)]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Moreover, the CO2/N2 adsorption selectivity was calculated under the mixture conditions of 15 V : 85 V, 50 V : 50 V, and 85 V : 15 V using the Langmuir equation and the ideal adsorption solution theory (IAST).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Recognition Methods of a Touched Area on a Touch-Screen Panel for Embedded Systems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터치스크린 패널의 터치 영역 인식 기법의 성능 비교)

  • Oh, Sam-Kweon;Park, Geun-Duk;Kim, Byoung-K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9
    • /
    • pp.2334-2339
    • /
    • 2009
  • In case of an embedded system having an LCD panel with touch-screen capability, various figures such as rectangles, pentagons, circles, and arrow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delivery of user-input commands.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to have an algorithm that can recognize whether a touched location is within a figure on which a specific user-input command is assigned. Such algorithms, however, impose a considerable amount of overhead for embedded systems with restricted amount of computing resources. This paper first describes a method for initializing and driving a touch-screen LCD and a coordinate-calibration method that converts touch-screen coordinates into LCD panel coordinates. Then it introduces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recognizing touched areas of rectangles, many-sided figures like pentagons, and circles; they are a range checking method for rectangles, a crossing number checking method for many-sided figures, a distance measurement method for circles, and a color comparis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ll figure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se methods, we implement two-dimensional graphics functions for drawing figures like triangles, rectangles, circles, and images. Then, we draw such figures and measures times spent for the touched-area recognition of these figures. Measurements show that the range checking is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rectangles, the distance measurement for circles, and the color comparison for many-sided figures and image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IPA-co-HDO-co-(TPA/MA) Anion-Exchange Membrane for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전바나듐계 레독스-흐름 전지용 IPA-co-HDO-co-(TPA/MA) 음이온교환막의 합성 및 특성)

  • Jung, Jae-Chul;Kwak, Noh-Seok;Hwang, Taek-Sung
    • Polymer(Korea)
    • /
    • v.35 no.6
    • /
    • pp.593-598
    • /
    • 2011
  • The IPA-co-HDO-co-(TPA/MA) copolymers for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were synthesized by melt condensation polymerization using isophthalic acid(IPA), 1,6-hexandiol (HDO), terephthalic acid(TPA) and maleic anhydride(MA). The amination of chloromethylated IPA-co- HDO-co-(TPA/MA)(CIHTM) copolymer was carried out using trimethylamine,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was also prepared by UV crosslinking reaction. The structure and thermal stability of IHTM copolymers were confirmed by FTIR, $^1H$ NMR, and TGA analysis. The anion membrane properties such as water uptake, ion exchange capacity, electric resis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measured by gravimetry, titration and LCR meter. The efficiency of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was analyzed. The ion exchange capacity, electric resista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1.10 meq/g, $1.98{\Omega}{\cdot}cm^2$, and 0.009 S/cm, respectively. The efficiency of charge-discharge, voltage, and energy for the allvanadium redox flow battery were 96.5, 74.6, 70.0%, respectively.

CO2 net atmospheric flux estimation and influence factors analysis in a stratified reservoir (성층화된 저수지에서 CO2 NAF 산정 및 영향 인자 분석)

  • Park, Hyung Seok;Chung, Se Woong;Lee, Eun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73-73
    • /
    • 2019
  • 지구 표면의 약 2%에 해당하는 담수에서 육상계 전체가 흡수하는 탄소의 50%가 배출되며, 이는 토양표면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에 비해 더 큰 수치로 전 지구적 탄소순환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내륙수역과 대기의 경계면에서 $CO_2$ 이동은 전 지구적 탄소순환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평가되고 있다. 호수와 저수지 같은 담수 저류시설은 육상에서 기인한 탄소의 운송 및 처리 역할을 한다. 하지만, 저수지에서 온실가스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명확한 방법론이 부족하며, 전지구 규모 GHGs배출량에 대한 추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히 큰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몬순기후대에 위치한 인공저수지를 대상으로 보다 신뢰도있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을 위해 $CO_2$ NAF 산정하고,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해 $CO_2$ NAF 산정에 필요한 수리 및 수질 인자들을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수집하고, 기초통계량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성분분석(PCA) 및 다중선형회귀모델(MLR)과 랜덤포레스트(RF) 기법을 사용해 변수 중요도를 평가하였으며, $CO_2$ NAF 산정 주요인자인 기체교환 계수를 경험적 모델 3종(Cole and Caraco, Crusius, Vachon), 표면갱신형 모델 4종(Heiskanen, Maclntyre, Read, Soloviev)을 비교, 검토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기체교환계수 산정 결과 Crusius 모델 예측값이 평균 $0.342(0.047{\sim}4.323)cm\;hr^{-1}$으로 검토한 모델중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였으며, Heiskane 모델이 $2.135(0.337{\sim}5.152)cm\;hr^{-1}$으로 가장 큰 평균값을 보였다. 대상 수체는 연주기로 완전혼합되며 수온성층이 약화되는 시기에 저수지 표층 아래에 축적된 탄소가 표층으로 전달되어 높은 수준의 p$CO_2$를 보이며, 수표면에 큰 난류 강도가 작용하는 기간에 대기중으로 배출(pulse emission) 기작이 나타난다. NAF 산정결과 경험적 모델의 NAF값($-1246.0{\sim}6510.3mg-CO_2m^{-2}day^{-1}$)은 표면갱신형 모델 NAF값($-1436.1{\sim}8485.7mg-CO_2m^{-2}day^{-1}$)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풍속의 함수만을 이용하는 경험적 모델보다 부력 플럭스와 난류 혼합의 영향을 고려하는 Macintyre, Heiskanen모델이 성층 저수지의 $CO_2$ NAF 산정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CO_2$ NAF 산정의 주요인자로 MLR모델은 Tw, EC, pH, Chla, TOC, Alk, RF모델은 EC, DO, TOC가 중요 변수로 평가되었다. PCA 분석결과, 수온이 낮고 성층이 약화되며 pH가 낮은 상태에서 NAF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Experimental System for Green Roof System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 개발)

  • Park, JaeRock;Kim, SaeBom;Cheon, JongHyeon;Kim, ByungSung;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5-495
    • /
    • 2017
  •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야기 시켜 물순환 왜곡, 다양한 오염 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비점오염물질 유출, 인공 배출열의 증가로 인한 도시열섬효과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수리수문학적 및 환경생태학적 문제를 저감하기 위하여 도시지역과 같은 개발 사업에서는 수환경을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이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LID기법 중 하나인 옥상녹화는 에너지 이용을 최소한으로 한 자연 녹음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하여 환경공생도시 조성과 식물을 매개로한 자연 순환 과정을 도시구조에 도입하여 순환 시스템 재생이 가능 하도록한다. 노지녹화는 두꺼운 자연 토양을 이용하는 반면 옥상녹화는 적재하중의 제약(옥상의 적재하중 조건은 $150{\sim}180kgf/m^2$이다. 비중이 1.6~1.8인 토양을 20cm 객토한 경우, 약 $320kgf/m^2 $이상의 적재하중이 되기에 식재기반의 경량화는 중요한 사안이다.)으로 인해 용적밀도가 작은 인공경량토양 또는 개량토양을 이용하며, 토양 두께도 얇게 설정된다. 또한 토양의 두께는 식물의 크기와 종류 및 토양의 조성에 따라 다르기에 적재하중 조건을 고려한 적절한 토양과 식재 식물의 크기와 종류 결정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식생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시험 프로세스가 가능한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는 1m*1m*0.6m 아크릴 재질의 녹화셀로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경사변화에 따른 유출, 침투, 증발산량의 탄성도 모의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4점식 형태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녹화셀에서 발생하는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관측된 증발산량은 RS-232c 이상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기적인 관측치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주기적 자료송수신 외에도 옥상 녹화셀의 측면에 하중 표시기를 설치하여 관측이 가능하다. 또한 저면에 바퀴설치를 통하여 이동 실험이 용이하며 현재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한국 GI&LID 실증단지 연구센터 내 옥상녹화 실험장에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 실험 장비를 설치하여 자연 혹은 인공강우를 통한 유출, 침투, 증발산량의 시험계측을 실시중이다. 이러한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는 최대 하중 2,000kg, 측정해상도 0.02kg 이상을 허용하는 로드셀과 녹화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고려한 식생의 종류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므로 최적 식재기반 단면구조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 함수량 변화 측정으로 옥상녹화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염분에 대한 저항성과 식물의 성장능력을 평가하여 녹화공간에 따른 옥상녹화에 사용할 식생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Review of Dam-Reservoir water level considering Dam-downstream situation (직하류 하천환경을 고려한 댐 저수량 수위 확보 검토)

  • Kim, Chang-soon;Kim, Jo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7-377
    • /
    • 2017
  • 다목적댐은 비어있는 저수지 용량을 활용, 상류에서 유입되는 홍수를 저류하여 하류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저류된 저수량을 활용하여 갈수시 생 공 유지용수 등을 목적에 맞게 하류로의 공급에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댐 계획에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목표 빈도 계획홍수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여수로의 계획방류량 등이 포함된 홍수 조절 방안이 수립된다. 다목적댐은 그 중요도 때문에 많은 사회적 재화(財貨)가 투입되어 하천에서 가장 높은 빈도인 200년 빈도 홍수량에 대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댐 하류 하천에서는 긴 연장에 따른 투자비용 등의 한계로 상류 댐에 미치지 못하는 100년 빈도 이하로 설정되어있다. 이런 상 하류의 홍수계획간 괴리로 댐의 계획 방류량 수준의 홍수 조절시에는 하류 하천에 재난상황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상예보의 고도화로 단기 예보의 정밀도가 높아져 단기간 댐 운영에는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5일 이후를 예보하는 중 장기예보는 아직까지도 불확실성이 높은 실정이다. 여기에 기후변화 등 기상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홍수기 초 장마와 태풍 등의 영향에 대비하기 위해 무작정 댐을 저(低)수위로 운영하면 이후 여름 가뭄에 취약해 지고, 반대로 저수량 확보의 고(高)수위 운영을 할 경우 연이은 태풍 등 홍수상황에 취약해 지게 된다. 최근 '14~'15년도 낙동강 수계에 여름가뭄으로 안동 임하댐이 가뭄단계에 돌입하는 등 홍수기초 적정 저수량의 확보는 안정적 수자원시설 운영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확실한 기상상황에 대비하고 댐의 이치수 목적 달성을 위해, 홍수기초 가능한 저수량을 확보하되 계획홍수량이 들어와도 하류피해는 경감시킬 수 있는 저수지 수위를 찾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수계 9개 다목적댐(안동, 임하, 성덕, 보현산, 군위, 김천부항, 합천, 남강, 밀양댐)을 대상으로 댐 설계 및 직하류 하천 상황을 고려한 "홍수기초 댐 저수량 확보 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댐 직하류 하천의 홍수대비 상황 및 홍수조절시 제약사항 등을 조사해 주요지점(Critical Point)을 선정하고 그 지점의 홍수량을 파악한다. 이어서 저류함수 모형을 활용하여 댐별 저수지 모의 운영을 실시하였다. 대상 댐 저수지에 계획홍수량을 유입시키고 수위를 점차 조정하면서 하류 지점의 홍수량 내의 규모로 방류를 하는 저수지 모의 운영을 실시하였다. 이때 저수지의 계획홍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등 안정적 홍수조절이 가능한 특정 수위를 찾아 하류 하천 환경을 고려한 댐 운영 수위로 선정하였다. 최근 홍수기총에는 강수량이 계속 줄어들고 홍수기 이후 더 많은 강수가 내리는 등 기후변화로 댐 운영은 날로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홍수기초 가뭄 및 장마 또는 태풍 등에 대비하여 댐 운영의 이 치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