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함수의 개념

Search Result 82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utomated Development of Rank-Based Concept Hierarchical Structures using Wikipedia Links (위키피디아 링크를 이용한 랭크 기반 개념 계층구조의 자동 구축)

  • Lee, Ga-hee;Kim, Han-jo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4
    • /
    • pp.61-76
    • /
    • 2015
  • In general, we have utilized the hierarchical concept tree as a crucial data structure for indexing huge amount of textual data. This paper proposes a generality rank-based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develop hierarchical concept structures with the Wikipedia data. The goal of the method is to regard each of Wikipedia articles as a concept and to generate hierarchical relationships among concepts. In order to estimate the generality of concepts, we have devised a special ranking function that mainly uses the number of hyperlinks among Wikipedia articles. The ranking function is effectively used for computing the probabilistic subsumption among concepts, which allows to generate relatively more stable hierarchical structures. Eventually, a set of concept pairs with hierarchical relationship is visualized as a DAG (directed acyclic graph).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concept hierarchy of Open Directory Project, we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a representative baseline method and it can automatically extract concept hierarchies with high accuracy.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of Parameter Concept (매개변수 개념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 김남희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4 no.3
    • /
    • pp.305-325
    • /
    • 2004
  • This study is on the teaching-learning of parameter concept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In our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parameter concept is explicitly presented at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But student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arameter concept because this concept is implicitly used in the textbook from 7-grade mathematics. Moreover, it is true that mathematics teacher give a little attention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parameter con- cept. In this study, we analyzed concept definition of parameter and the extension of parameter on the basis of preceding research, our mathematical curriculum, mathematical dictionaries. After that, we concluded that parameter is explicitly called in t where x= f(t), y= g(t) and parameter is implicitly treated in the learning of relation between quantities in our mathematical curriculum. We pointed to the importance of parameter concept in the successful learning of school algebra. Specially, when the level of algebra is in the learning of relation between quantities, parameter is the key concept for understanding and representing of families of equations or functions. In mathematics class, students have opportunity to reflect that what the role of each variable(parameter,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etc.) is, and where the information which determines it comes from. It is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s as well as learning school algebra. Therefore, mathematics teacher's didactical attention is more needed to student have a good concept image of parameter before they learn explicitly its concept definition.

  • PDF

Application study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regionalization of Miho catchment, Chungbuk (미호천 상류유역의 지역화 연구를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평가)

  • Lee, Hyo-Sang;Choi, Ho-Hoon;Joo,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5-285
    • /
    • 2011
  • 우리나라의 하천 상류지역의 유역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문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관행적으로 모형의 변수를 산정하여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류지역의 빈번한 홍수 피해 및 수자원관리의 문제발생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류지역의 중소유역의 신뢰할 수 있는 홍수량산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영국의 국가 홍수량 산정 표준방법(Flood Estimation Handbook)과같이 강우유출모형의 지역화를 통하여 해결 할 수 있다. 지역화를 위한 강우유출모형의 선정을 위하여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을 충청북도 미호천 상류 7개의 소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는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3개의 개념적 토양저류함수 모형(Soil Moisture Accounting: Modified Penman Type Model(MP), Catchment Wetness Index Model(CWI),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PDM))과 3개의 유역유출을 위한 3개의 개념적 유출모형(Routing: 2-Conceptual Reservoir Model(2PAR), 3-Conceptual Reservoir Model(3PAR), Marcropore Model(2PMP))의 조합으로 총 9개의 모형을 검토하였다. 이를 검정기간(2004.01.01-2007.12.31) 과 검증기간(2008.01.01-2009.12.31)의 장단기 유출성능을 Nash Sutcliffe Efficiency 로 평가한 결과, 시간 단위의 단기모의에서는 CWI-2PMP와 PDM-2PMP모형이, 일 단위의 장기모의에서는 CWI-3PAR와 PDM-2PMP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금강 상류유역의 기본 강우유출모형으로 PDM-2PMP모형을 선정한다.

  • PDF

Optimal Design of Outer Rotor Type 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using Improved Particle Swarm Optimization (개선된 PSO 알고리즘을 적용한 의전형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최적 설계)

  • Lee, Sang-Yub;Seo, Jang-Ho;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62-6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알고리즘에 반발 속도 (Repulsion Velocity) 개념을 도입한 개선된 PSO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낮은 적합도를 가지는 지역을 멀리하는 성질을 모사한 것이 반발 속도의 개념이다. 반발 속도의 개념을 도입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서, 더 좋은 수렴 특성을 가지고, 더 빠른 계산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 함수를 통해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검증을 수행하였고, 외전형 영구자석형 전동기의 최적화에 적용하여서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The Concept of 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s And Its Implication On Mitigation Of Peak Flows In Urban Catchments (DCIA 개념을 이용한 도시유역 첨두홍수량 저감방안)

  • Hwang, Junshik;Seo, Y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53
    • /
    • 2017
  • DCIA(Directly Connected Impervious Area) 및 EIA(Efficient Impervious Area)의 개념은 불투수층의 하위 개념으로서, 배수관망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불투수층이다. DCIA는 하천 생태계의 건전성을 예측함에 있어 전체 불투수지역 자료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확성이 높다. DCIA의 가장 큰 장점은 도시환경에서 녹색 사회기반시설(green infrastructure)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영향분석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밀 토지피복도를 이용하여 DCIA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출량 해석을 수행한 결과 전체 불투수지역 자료를 사용한 것 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대상유역의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DCIA와 폭함수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녹색 사회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DCIA의 감소율에 따라 첨두홍수량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유역의 홍수량 저감방안으로서 DCIA 분석을 기반으로 한 녹색 사회기반시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Explanation-focused Adaptive Multi-teacher Knowledge Distillation (다중 신경망으로부터 해석 중심의 적응적 지식 증류)

  • Chih-Yun Li;Inwhee Jo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592-595
    • /
    • 2024
  • 엄청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심층 신경망은 예측결과에 대한 설명이 없는 블랙 박스로 작동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불투명한 표현은 신뢰성을 제한하고 모델의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방해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개의 교사 신경망으로부터 설명 중심의 학생 신경망으로 지식 증류를 통해 해석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이 정의한 개념 활성화 벡터 (CAV)를 통해 교사 모델의 개념 민감도를 방향성 도함수를 사용하여 계량화한다. 목표 개념에 대한 민감도 점수에 비례하여 교사 지식 융합을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증류된 학생 모델은 양호한 성능을 달성하면서 네트워크 논리를 해석으로 집중시킨다. 실험 결과, ResNet50, DenseNet201 및 EfficientNetV2-S 앙상블을 7 배 작은 아키텍처로 압축하여 정확도가 6% 향상되었다. 이 방법은 모델 용량, 예측 능력 및 해석 가능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조화하고자 한다. 이는 모바일 플랫폼부터 안정성이 중요한 도메인에 걸쳐 믿을 수 있는 AI 의 미래를 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 Study of Byproduct Mathematization (Byproduct Mathematization에 관한 연구)

  • Kim, Boo-Yoon;Chung, Young-Wo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0 no.2
    • /
    • pp.145-161
    • /
    • 2010
  • Concepts in mathematics have been formulated for unifying and abstractizing materials in mathematics. In this procedure, usually some developments happen by necessity as well as for their own rights, so that various interesting materials can be produced as byproducts. These byproducts can also be established by themselves mathematically, which is called byproduct mathematization (sub-mathematization). As result, mathematization and its byproduct mathematization interrelated to be developed to obtain interesting results and concepts in mathematics. In this paper, we provide explicit examples:the mathematization is the continuity of trigonometric functions, while its byproduct mathematization is various trigonometric identities. This suggestion for explaining and showing mathematization as well as its byproduct mathematization enhance students to understand trigonometric functions and their related interesting materials.

  • PDF

Study on Fatigue Behavior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imide Composites (탄소섬유강화 복합적층판의 피로특성에 관한 연구)

  • 이창수;황운봉;한경섭;윤병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1
    • /
    • pp.49-60
    • /
    • 1991
  • Fatigue behavior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imide composite materials was studied experimentally and analytically. The physical variables, such as cyclic displacements and hysteresis loop energy were observed during fatigue tests. Fatigue life of the investigated [0/90]$_{2S}$ laminates was predicted by H'||'&'||'H models which was proposed based on the fatigue modulus and resultant strain. The predicted fatigue life by H'||'&'||'H curves was reasonably close to the experimental data. Fractography study shows that fatigue failure mechanism of [0/90]$_{2S}$ laminated composite materials involves failure break, matrix tearing and fiber-matrix debonding as well as delamination of layers.

Estimating Amino Acid Composition of Protein Sequences Using Position-Dependent Similarity Spectrum (위치 종속 유사도 스펙트럼을 이용한 단백질 서열의 아미노산 조성 추정)

  • Chi, Sang-Mu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7 no.1
    • /
    • pp.74-79
    • /
    • 2010
  •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a protein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solving many problems in bioinformatics.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uses biologically relevant similarity between amino acids to determine the amino acid composition, where the BOLOSUM matrix is exploited to define a similarity measure between amino acids. Futhermore, to extract more information from a protein sequence than conventional methods for determining amino acid composition, we exploit the concepts of spectral analysis of signals such as radar and speech signals-the concepts of time-dependent analysis, time resolution, and frequency resolution.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predict subcellular localization of proteins, and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over previous methods for amino acid composition estimation.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Im, Hae-Gyeong;Park, Eu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563-589
    • /
    • 2002
  • 고학년으로 갈수록 지필 환경에만 머무르는 현실 속에서 생활 및 예술 작품 등에서 수학적 원리와 개념을 발견하도록 하는 테셀레이션 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것 이상으로 기하학적 사고의 기초를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4학년까지 적용되고 있는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못한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서 테셀레이션을 활용한 수학 학습의 내용을 분석하여 교사들에게는 테셀레이션의 이해 및 교수 학습 자료로서 , 학생들에게는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테셀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가. 테셀레이션의 정의와 예 그리고 종류를 알아보고 테셀레이션 속의 수학적 개념을 활용방법과 함께 제시한다. 나.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테셀레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영역을 분석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다. 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활용 방안을 탐색한다. 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활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적용 실험을 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학습의 효과를 밝힌다. 제작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의 적용 실험을 위하여 광주대성초등학교 6학년 한 반을 선정하였고 약 4주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를 투입하여 4번의 활동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작성된 학습지와 소감문 및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수업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제7차 초등 수학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을 중심으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자료를 제시한 결과 지필적 환경에서 제한적이었던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역동적인 수학 실험실 환경이 제공됨으로써 도구적 이해가 아닌 관계적 이해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적 개념을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연스런 조작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이해하고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공부한다기 보다는 수학 속에서 재미있게 놀이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고 배우는 즐거움을 알고 자신감을 가지며 더 나아가 창의적인 생각을 하도록 하는 기회를 줄 수 있었다. 둘째, 테셀레이션은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수학이 단순히 책에서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 즉 디자인, 생활 속에서의 벽지문양과 포장지, 예술작품 등에 활용되고 있음을 체험함으로써 수학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알게 하였다. 역으로 생활 속에서의 테셀레이션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찾는 과정을 통해 수학이 아름다우면서도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었다. 셋째, 테셀매니아, GSP, 캐브리, 거북기하 등 평소 수업에서는 활용도가 적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함으로써 컴퓨터 소프트웨어 자체에서 오는 호기심뿐만이 아니라 직접 조작하여 테셀레이션 작품과 개념을 익히고 새로운 작품과 학습을 해 내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에 있어 큰 변화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컴퓨터 기능이 미숙한 학생의 경우 처음에는 당황해 하고 어려워하는 부분도 있었으나 조작할 시간적 여유를 주고 교사와 우수한 학생들이 도우미로서 역할을 잘해내어 나중에는 큰 어려움 없이 마칠 수 있었다. 테셀레이션이라는 용어가 아직은 생소한 현장에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하고 그에 따른 이해도 부족한 현실 속에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테셀레이션 교수 학습 자료가 교수 학습 현장에 투입되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한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의 결과로서 테셀레이션이라는 주제는 도형 영역과 규칙성과 함수 영역에서 평면 도형의 각과 모양 등의 성질을 탐구하게 하고, 대칭변환의 개념을 효율적으로 학습하게 할 수 있고, 반복되는 모양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부분과 전체를 파악하여 패턴을 인지할 수 있게 하며 제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여러 가지 수학적 개념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적인 아름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테셀레이션은 수학적 개념은 물론 수학과 미술, 수학과 일상 생활과의 연결성을 논의하고 확인하는 데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테셀레이션을 활용하여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앞으로는 테셀레이션과 관련된 내용이 직접적으로 교육과정 내에서 다루어지고, 또한 테셀레이션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하학적 사고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