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 클래스 분류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5초

판별 함수를 이용한 문턱치 선정에 의한 약분류기 개선 (Improving Weak Classifiers by Using Discriminant Function in Selecting Threshold Values)

  • 샴 아디카리;유현중;김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84-90
    • /
    • 2010
  • Viola와 Jones가 사용한 Haar-like 특징 기반 약분류기의 분별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2차 판별식에 기반한 판정 경계(decision boundary)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Viola와 Jones가 부스팅된 약분류기 앙상블을 사용해서 강분류기를 만들 때 사용한 단일 판정 경계 기반 약분류기는 특징 공간을 지나치게 단순하게 해석한 산물이어서 대부분의 경우 최적이 아니며, 객체 클래스와 배경 클래스 간을 효율적으로 분별하기에 흔히 너무 약하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2차 판별식 분석에 기반한 방법은 객체 클래스와 배경 클래스 사이에 다중 판정 경계를 사용하는 약분류기를 만들어준다. 1000개의 positive 샘플과 3000개의 negative 샘플을 훈련에 사용하고, 500개의 positive와 500개의 negative를 테스트에 사용한 차량 검출 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단일 문턱치 기반 약분류기 방식에 비해, 제안 기법이 더 적은 수의 분류기를 사용하면서도 더 우수한 분류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환학습을 이용한 장면 분류 (The Combined Effect and Therapeutic Effects of Color)

  • 신성윤;신광성;남수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8-33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변환 학습을 기반으로 한 다중 클래스 이미지 장면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미지 분류를 위해 대형 이미지 데이터 세트 ImageNet에 대해 사전 학습 한 ResNet (ResNet)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CNN 모델의 이미지 분류 방법에 비해 분류 정확도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컬러 영상 화소 분류를 이용한 깊이 영상의 홀을 채우는 기법 (Hole Filling Technique for Depth Map using Color Image Pixel Clustering)

  • 이건원;한종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5-57
    • /
    • 2020
  • 실감미디어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실감 미디어 컨텐츠 제작에 반드시 필요한 깊이영상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계산된 깊이 영상은 물체 주위와 배경 영역에 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깊이영상에서의 홀을 채울 때, 이에 대응하는 컬러영상의 색상 특성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영상의 화소들을 색상 유사성을 이용하여 클래스로 분류하고, 홀의 깊이정보를 예측할 때 같은 클래스의 유효한 깊이값 만을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깊이영상의 홀을 효율적으로 채워 넣을 수 있다. 실감미디어 제작에 있어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사실감 있는 깊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PDF

클래스분류 학습이 Self-Supervised Transformer의 saliency map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class classification learning on the saliency map of Self-Supervised Transformer)

  • 김재욱;김현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7-70
    • /
    • 2022
  • NLP 분야에서 적극 활용되기 시작한 Transformer 모델을 Vision 분야에서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object detection과 segmentation 등 각종 분야에서 기존 CNN 기반 모델의 정체된 성능을 극복하며 향상되고 있다. 또한, label 데이터 없이 이미지들로만 자기지도학습을 한 ViT(Vision Transformer) 모델을 통해 이미지에 포함된 여러 중요한 객체의 영역을 검출하는 saliency map을 추출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ViT의 자기지도학습을 통한 object detection과 semantic segmentation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iT 모델 뒤에 classifier를 붙인 모델에 일반 학습한 모델과 자기지도학습의 pretrained weight을 사용해서 전이학습한 모델의 시각화를 통해 각 saliency map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클래스 분류 학습 기반 전이학습이 transformer의 saliency map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특징선택 기법에 기반한 UNSW-NB15 데이터셋의 분류 성능 개선 (Classificati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UNSW-NB15 Dataset Based on Feature Selection)

  • 이대범;서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5-42
    • /
    • 2019
  • 최근 사물인터넷과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인터넷 기술은 보다 편리하게 정보를 얻고 업무를 수행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나 인터넷이 다양한 부분에 이용되면서 공격에 노출되는 Attack Surface 지점이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정보 획득, 위조, 사이버 테러 등 부당한 이익을 취하기 위한 목적의 네트워크 침입 시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에서 비정상적인 행동을 분류하기 위한 희소클래스의 분류 성능을 개선하는 특징선택을 제안한다. UNSW-NB15 데이터셋은 다른 클래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인스턴스를 가지는 희소클래스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언더샘플링 방법을 사용한다. 학습 알고리즘으로 SVM, k-NN 및 decision tree를 사용하고 훈련과 검증을 통하여 탐지 정확도와 RMSE가 우수한 조합의 서브셋들을 추출한다. 서브셋들은 래퍼 기반의 실험을 통해 재현률 98%이상의 유효성을 입증하였으며 DT_PSO 방법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정보산업 분야 시소러스의 공학적 구축 방안 (Toward IT Domain Thesaurus: An Engineering Approach)

  • 류법모;김재호;최기선;성원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5년도 제1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3-20
    • /
    • 2005
  • 이 논문은 공학적인 접근 방법에 기반한 단계적인 전문분야 시소러스 구축 방법을 제안한다. 시소러스 구축 과정은 용어 추출 단계, 용어 분류 단계, 계층 구조 구축 의 3단계로 구성되고, 모든 단계에서 자동 처리와 전문가 검증 작업을 거친다. 추출된 용어를 미리 정해진 분류 체계에 따라 분리한 후 여러 개의 작은 시소러스를 구축하고, 마지막으로 전체 시소러스로 결합한다. 이 방법은 1) 시소러스를 구축하는 복잡도가 줄어들고, 2) 클래스 단위의 작은 시소러스가 다른 전문분야 시소러스에 쉽게 재사용 될 수 있으며, 3) 각 클래스에 포함된 용어들의 분포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정보기술 분야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시소러스 구축에 사용된 용어들은 정보기술 분야의 최근의 한국어 신문과 특허 문서에서 추출하였기 때문에 한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를 포함한다. 구축된 시소러스는 81 개의 상위 레벨클래스와 1,000개 이상의 용어로 구성된다.

  • PDF

데이터 마이닝에서 패턴 분류를 위한 다중 SVM 분류기 (Multiple SVM Classifier for Pattern Classification in Data Mining)

  • 김만선;이상용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89-293
    • /
    • 2005
  • 패턴 분류는 실세계의 객체를 표현한 다양한 형태의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이것이 어떤 부류(클래스)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패턴 분류 기술은 데이터 마이닝, 산업 자동화나 업무자동화를 위한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패턴 분류 기술의 최대 목표는 분류 성능 향상이며 이것을 위해 지난 40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접근 방법들을 시도해 왔다. 주로 이용되는 단일 분류 방법들로는 패턴들의 확률적 추론에 기반한 베이즈 분류기, 결정 트리, 거리함수를 이용하는 방법, 신경망, 군집화 등이 있으나 대용량 다차원 데이터를 분석하기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상호 보완적인 여러 분류기들을 사용해 결합을 통하여 성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는 다중 분류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기에 관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SVM을 다중 클래스 분류기로 확장하기 위해 일대다 정책을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SVM 출력값을 비선형 패턴을 갖는 신호로 간주하고 이를 신경망에 학습하여 최종 분류 성능 결과를 결합하는 모델인 BORSE(Bootstrap Resampling SVM by Ensemble)를 제안한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분류모형 개발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Model Using Neural Network)

  • 박광박;박영만;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38-64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사전처리 한 후 Fuzzy TAM을 이용하여 분류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사전 처리 방식은 category형 특성인 경우는 그 특성을 이용하여 문제를 분해시키고, 계량형 특성의 경우는 클래스별 영역을 설정하고 겹치지 않는 특성 영역이 있다면 그 영역의 자료를 고정시켜 분류에서 제외시킨다. 이러한 사전 처리를 한 후 Fuzzy TAM을 이용하여 분류를 수행한다.

SVM기반 정보기술 문서분류를 위한 특성 선택 및 추출 기법 (Feature Selection and Extraction for Document Classifier for If documents based on SVM)

  • 강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1년도 추계산학기술 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75-7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의 자동 분류를 위한 특성 선택 및 추출기법을 기술한다.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과 보급으로 전자우편과 웹을 통해 제공되어지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효율적인 문서 분류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디렉토리 내의 문서로부터 추출된 용어 집합을 기반으로 SVM을 사용하여 학습한 후 문서 분류를 수행한다. 본 실험의 문서는 정보통신 분야 디렉토리 서비스 시스템인 itfind로부터 수집된 문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여 각 시나리오 별로 재현율/정확율 및 오분류율을 성능 요소로 계산하였다. 본 실험은 학습 벡터 구성과정에서 잡음에 의해 다른 클래스의 문서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SVM을 기반으로 한 문서 분류 기법이 강건함을 보였다.

한메일넷 질의 자동응답을 위한 이단계 자기구성 지도 (A Two-level Self-Organizing Map for Automatic Response of Hanmail Net Questions)

  • 김현도;조성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481-483
    • /
    • 2000
  •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고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정보가 생산되고, 이러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들도 많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은 쉽게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을 돕는 시스템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메일넷의 경우 전자 우편을 통한 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해 관리자가 직접 답을 해주는데, 사용자의 증가로 질의응답 업무의 양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질의에 자동으로 응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이단계 자기구성 지도(SOM)를 제안한다. 이 방법은 다양한 크기의 질의메일을 정형화된 크기로 만들기 위한 데이터 축약 SOM과 이를 실제 해당 답변 클래스로 분류하는 문서 분류 SOM으로 구성된다. 실제 사용되고 있는 2206개의 데이터에 대한 실험 결과, 95%의 분류 성공률을 보여 그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