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옥인식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7초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이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for Jeonju Hanok Village on the Image of Traditional Cultures and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Korean Restaurants)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6-4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이 전통문화이미지와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 기간은 2013년 6월 1일부터 6월 16일까지 한옥마을에 있는 한정식 레스토랑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전주시민을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 요인은 3개요인으로 음식 요인, 한국미 요인, 역사성 요인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미지에 대한 요인은 2개의 요인으로 전통이미지 요인, 문화이미지 요인으로 명명하여 가설 설정 후 검증을 하였다. 가설 I의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전통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전통미 요인이 전통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은 채택이 되었다. 둘째, 가설II의 "한옥마을에 대한 인식은 문화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음식 요인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I는 채택이 되었다. 셋째, 가설 III의 "전통이미지와 문화이미지는 한정식 레스토랑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분석 결과, 전통미 요인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가설 III은 채택이 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업종별로 레스토랑 만족도 연구가 다양한 연구방법에 의해서 활발하게 진행이 되어야 하며, 한정식 레스토랑 만족을 위해서 한옥마을 이미지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 PDF

스마트 폰을 위한 전주 한옥마을 간판 인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Jeonju Hanok Town Signboard Recognition System for Smart Phones)

  • 전효종;이득용;오일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7-578
    • /
    • 2011
  • 전주한옥마을 간판은 간판의 모양, 글씨체 등이 매우 다양한 모습을 띄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모습의 간판을 인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크기, 회전, 위치, 이동에 불변한 특징을 가지는 SIFT를 이용하여 간판 인식 시스템을 스마트폰에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간판을 인식하여 가게 이름, 홈페이지, 전화번호, 가게 내부 사진, 가게 설명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준다.

  • PDF

전주 한옥마을에서 수집한 간판영상 데이터베이스 (Sign Image Database Collected at Jeonju Hanok Village)

  • 오일석;허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243-248
    • /
    • 2006
  • 간판인식은 관광지의 간판을 자동 인식하여 외국인 또는 외지인에게 편리한 관광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간판 인식 연구에서는 인식기의 훈련과 객관적인 성능 측정을 위해 간판영상 데이터베이스가 필수적이다. 이 논문은 전주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수집한 간판영상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기술한다. 총 45개의 서로 다른 간판에 대해 각각 50개씩 영상을 다양한 조건에서 획득하였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패턴 인식 분야 연구를 위한 중요한 콘텐츠 이다.

  • PDF

청주 지역 도시한옥 거주자의 인식 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Resident's Perception of Traditional Houses "Hanok" in Urban Area of Cheongju)

  • 민새롬;권순찬;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91-98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to survey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s about general contents and current status of urban traditional houses in Cheongju. A study on methods is using questionnaire which 12 items of attraction in Urban Traditional Houses and experimental study focusing on residents in Seowoon-dong and Seokgyo-dong where traditional houses are concentrated. As a result, residents of urban traditional houses were categorized 6 sectors, which 4 sectors of Seowoon dong and 2 setors of Seokgyo-dong, caused by the road constructi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s of these sectors are maintained, comparing with aerial photography on 1960's. And residents recognize eco-friendly attraction higher than awareness on traditionality, locality and aesthetic beauty. It is proposed to prepare political alternative about traditionality, locality and aesthetic beauty. Low awareness about traditionality and locality have influenced that residents hope the change of the traditional houses.

서촌한옥마을 조사에 따른 한옥지구 보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lan of Traditional District by Research in Seochon Hanok village)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013-2020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가치가 재조명되는 상황에서 향후 우리나라 고유의 한옥마을을 보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요구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분석방법은 한옥 거주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 및 개선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한옥자체의 건축적인 요소의 보전도 필요하나 더불어 더 중요한 것은 공동체적인 마을단위의 고유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재창조하여 가치를 높이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보전 및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적인 차원에서 주민의 협조와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배려가 요구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지역적 전통에 기반을 둔 강원도 산간형 현대한옥 계획 연구 (A Design Study of the Mountainous Contemporary Han-ok based on Regional Tradition in Gangwon-do)

  • 김도경;최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89-2796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산간지역의 자연환경 특성을 반영한 현대 한옥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강원도 산간지역 주택의 전통을 바탕으로 이 지역의 기후를 중심으로 한 자연환경 특성에 적응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현대한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강원도 산간형 현대한옥은 우리나라 전통한옥의 외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전통한옥이 지닌 자연환경조절체계를 최대한 지닐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여러 가지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도 지역에 따른 자연환경의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고 강원도 산간지역의 자연환경 특성과 지역적 전통에 부합하는 현대 한옥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계획안이 한옥의 보급 및 현대한옥의 개발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 Awareness for Hanok Style Apartment Plan)

  • 신영숙;조명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90-199
    • /
    • 2010
  • Nowadays the increas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have been required more diversified housing environment. And it also focused on concern about Korean traditional housing style, Hanok. There were several studies applied to traditional style design on Hanok. but few on Hanokstyle apart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nsumer awareness on Hanok style apartment plan and its design details. The research were done by questionnaire methode. It were distributed to 130 city and rural residents. 1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x^2$-test, F-test, ANOVA, t-test, and factor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0% of respondents revealed their intention to live in Hanokstyle housing if it has improved conveniency and lowered maintenance expenses. Second, they preferred under 5 story row house type or apartment type Hanok located in suburbs. Third, Hanokstyle apartment characteristics were expected to have visual openness, good view, traditional decor, functional, rhythmical and transitional space. And also they wanted traditional Madang(inner garden) and Maru(a wooden floor room) located next to living room.

보급형 신한옥 개발을 위한 건설 생산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 김민;김예솔;이윤섭;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07-114
    • /
    • 2013
  • 근래에 들어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한옥에 살고자 하는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한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고 예산을 반영하는 등, 한옥관련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는 한옥의 대중화 및 지속적 발전에 장애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한옥기술개발'의 R&D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논문은 '한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실제 지어진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생산성을 토대로 효율적인 공사비 저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한옥공사의 15개 대공종 중 주요공종을 선정하였다. 전통한옥과 신한옥 공사 중 주요공종에서의 생산성을 분석하여 재료와 공법의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주요공종 모두에서 생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이 공사비 저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공종 중 지붕/홈통의 공종은 주로 재료의 변화, 목공사와 마감공사는 공법의 변화, 기초공사와 창호는 재료와 공법 모두의 변화로 인하여 공사비 저감을 이루었다.

농촌한옥의 정주성 평가 및 한옥에 대한 인식도 비교 연구 -한옥거주자와 건축설계자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Hanok in Rural Area and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Hanok -Hanok Residents and Architectural Designers Comparison Based on-)

  • 이창재;최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77-84
    • /
    • 2010
  • Hanok has been widely distributed as a support policy by local government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is study, Hanok in a rural area was founded was to evaluate the user's satisfaction. Hanok between residents and the perception of architects and trie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Current Hanok resid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but they showed negative response for high construct cost, plane form of building, insulation performance and nois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recognition between residents and architectural designers, they showed differences in "Low soundproofing", "lack of storage space", "Equipment", "Tile", "The modularity of the flat panel design", and "The modular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it was examined that architectural designers group had higher preference for traditional materials and forms. For succeeding to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factors of Hanok and distributing it as modern house, the research on use of modern materials and modulation of plane and members should be performed for reducing construction cost and improving insulation performance.

전문가와 거주자 인식 관점에서 본 한옥의 특성과 적용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Han-Ok in the Perception of their Residents and Experts)

  • 이민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87-50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i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Han-Ok based on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Han-Ok that experts perceived. For the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of 7 experts and 24 Han-Ok resi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arrangements are primarily emphasized and provide emotional stability for the residents. Placement on the ground, a suitable scale, appropriate openings and closures, hierarchical spatial system and a spatial relationship provide a feeling of comfort and protection. Second, the spaces and the materials of Han-Ok ar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elements providing functionality and health.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area makes the air naturally circulate and natural materials such as wood, soil, and paper have the function as natural ventilation, heat storage, and in the prevention of various illnesses. Third, residents in modern society put more of a value on experiences of natural environments that are usually impossible in the city. The simple and incomplete characteristics in using color, materials, and form, provide a culture of story telling and a leisurely lifestyle. Fourth, the cold and spatial inconvenience of Han-Ok are solved by partially using modernized equipment and material. The functionality of spatial systems in Han-Ok needs to be promoted in order to change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cold in Han-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