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부모가족 아동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2초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가 저소득층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y)

  • 김정희;정다운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67-98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in low-income and single-parent families. It was performed for 24 sessions with Lee Hyeon-Jin's(2006) and Shin Ji-Hye and Kim Gui-Bok's(2009)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Park Mi-Ran's self-esteem questionnaire(2007) and Kim Taehee's peer-relationship questionnaire(2005). The subjects are 26 elementary students in low-income and single parent family who are in the 2, 3, and 4 grade and use A-regional children center and B-regional children center which are located in Gyeongbuk province. Means,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ere conducted. Firstly, the change in self-esteem of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s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ir tak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enhancements in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a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enhancements in self-esteem of control group. Secondly, peer-relationships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o no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tak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Thus, the program of group art therapy is thought to be effective therapy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hild in low-income single-parent family.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가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 아동 양육비 및 돌봄 지원 한부모가족 정책의 조절효과 검증 (Influence of Adolescent Female Single-parent's Stress on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Single-parent Family Policy Support for child rearing)

  • 이윤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363-384
    • /
    • 2017
  • The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better support for adolescent single-parent families by expanding the coverage of the Single-parent Family Support Act in 2010.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ingle-parent family policy's support for child rearing in the context of adolescent female single-parent's stress levels and education sustainability. This study utilized part of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olescent Pregnancy, Birth and Rearing Childre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48 adolescent single-parents aged 24 and below. The finding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level of adolescent female single-parent in continuing studies was lower than those for discontinued studies. Students who discontinued their education in the middle of studies showed an increase in life stress level relative to age because they had a low level of education and had discontinued studies before pregnancy. Second, the public nanny service has been verified as an element to increase the continuation of education by controlling the level of stress. It is advisable to fortify and expand the scope of support for childcare services in the form of a study assistant or child education assistant. Last, adolescent single-parent childcare subsidies have been verified as a direct factor that raised the meaningful level of education continuity potential to a meaningful standard that can be seen as a more effective method than general policy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ies.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 관계: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Parental Efficacy on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According to Family Type and School Level)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교육 참여, 부모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구조적 관계의 차별적인 특징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497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t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부모/조손 가정보다는 양부모 가정,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보다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의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학부모의 교육 참여 수준은 부모효능감을 매개로 자녀의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모형이 지지가 되었다. 셋째, 가족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가족 유형에 따른 경로계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경로 모두 한부모/조손 가정보다 양부모 가정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학교급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교급에 따른 경로계수 크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초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경로는 중/고등학생 집단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 유형 및 학교급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 참여가 부모 및 자녀 특성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빅데이터로 살펴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가사노동과 돌봄: 플랫폼을 통한 가사서비스 양상 변화 (Housework and Car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Big Data: Changes in the Aspects of Household Service based on the Platform)

  • 이현아;권순범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1호
    • /
    • pp.13-24
    • /
    • 2023
  • 4차 산업혁명은 가정생활 깊숙이 들어와 가사노동과 돌봄의 방식을 변화시켰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변화로 초래된 가정의 변화는 가사노동 사회화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속화되고 있는 가사노동 사회화 현상을 "플랫폼"을 통한 "가사서비스" 양상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4차 산업혁명 기술변화가 가속화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전국일간지와 경제지를 대상으로 관련 신문기사를 추출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결과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경제가 기업 비즈니스 차원뿐만 아니라 공공정책 차원에서 가사노동 사회화를 급속하게 확산시키고 있음을 보여준다. 플랫폼을 통한 가사서비스 지원이 기업의 새로운 사업 영역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공공정책 차원에서 맞벌이가정이나 한부모가정의 일⸱가정 양립 지원이나 감염병 대응과 관련하여 중요한 정책과제로 다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인한 가사노동과 돌봄의 변화를 통해 향후 가사노동과 돌봄에 대한 가정, 시장, 국가의 역할과 과제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