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 온난화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mpact of East Asian Summer Atmospheric Warming on PM2.5 Aerosols (동아시아 지역의 여름철 온난화가 PM2.5 에어로졸에 미치는 영향)

  • So-Jeong Kim;Jae-Hee Cho;Hak-Su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5 no.1
    • /
    • pp.1-18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warming on PM2.5 aerosol production in mid-latitude East Asia during June 2020 using PM2.5 aerosol anomalies, which were identified by incorporating meteorological and climate data into the Weather Research Forecasting model coupled with Chemistry (WRF-Chem) model. The decadal temperature change trend over a 30-year period (1991-2020) in East Asia showed that recent warming has been greater in summer than in winter. Summer warming in East Asia generated low and high pressure in the lower and upper troposphere, respectively, over China.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tropospheric low and upper tropospheric high pressure sloped along the terrain from the Tibetan Plateau to Korea. The eastern China, Yellow Sea, and Korean regions experienced a convergence of warm and humid southwesterly airflows originating from the East China Sea with the development of a northwesterly Pacific high pressure. In June 2020, the highest temperatures were observed since 1973 in Korea. Meanwhile, enhanced warming in East Asia increased the production of PM2.5 aerosols that travelled long distances from eastern China to Korea. PM2.5 anomalies, which were derived solely by inputting meteorological and climatic data (1991-2020) into the WRF-Chem model and excluding emission variations, showed a positive distribution extending from eastern China to South Korea across the Yellow Sea as well as over the Pacific Northwest. Thus, the contribution of warming to PM2.5 aerosols in East Asia during June 2020 was more than 50%. In particular, PM2.5 aerosols were transported from eastern China to Korea through the Yellow Sea, where the warm and humid southwesterly airflows implied wet scavenging of sulfate but promoted nitrate production.

Applicability of Water Resource Specialized Satellites for Observing Disaster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수재해 관측을 위한 수자원 위성의 적용성)

  • KIM, Dong-Young;BAECK, Seung-Hyub;PARK, Gwang-Ha;HWANG, Eui-Ho;CHAE, Hyo-S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1
    • /
    • pp.85-97
    • /
    • 2017
  • In recent years, the damage scales of water disasters such as typhoons, tsunamis, and heavy snow have been increasing globally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s. In particular, the economic loss caused by typhoons has been increasing for overpopulated areas that have undergone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since the 1960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satellite images captured before and after typhoons on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yphoon Chaba (2016), Typhoon Rusa ('02), and Typhoon Maemi ('03). There was a limitation in utilizing existing satellites. Domestic satellites have mostly been developed and operated for the observation of the weather, ocean, and topography, as well as for use in communication. There are therefore insufficient temporal and spatial observations for water management and disaster response. In this work, we expanded the scope to overseas satellites and collected data from GMS, TRMM, COMS, and GPM.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launch water resources satellites that can provide sufficient temporal and spatial data analysis units to obtain rapid and accurate water hazard information for the Korean peninsul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amage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front Structures (수변구조물 통합관리를 위한 피해정보 시스템 구현 및 설계)

  • Yun, Kwonyoung;Son, Jongkwon;Kim, Juhyeong;Kwon, Joonho
    • Journal of IKEEE
    • /
    • v.18 no.1
    • /
    • pp.45-56
    • /
    • 2014
  • Recently, damages from disasters such as downpours, earthquakes and typhoons are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The downpour days of Korean Peninsula are also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rapid climate change. According to statistics over the last 30 years of the earthquakes in Korean Peninsula, the probability of a future earthquake is very high. In addition, super typhoons will hit Korean Peninsula due to the temperature rise in the nearby sea caused by the deepening of global warming. Thus, damage costs of the waterfront structures by natural disasters are also growing. But damage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front structures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damage inform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front structures. First, we classified damage information caused by natural disaster. Then we designed the databases of damage information and implemented damage information system. Lastly, we checked operations and the feasibility by testing queries on the proposed system.

생물계절변화를 이용한 온난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 Im, Jeong-Seop;Kim, Hae-Dong;Kim, Sang-U;Park, Myeong-Hui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80-8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물의 개화시기가 기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에 근거하여 54개의 기상관측지점을 선택하고 1988년부터 2008년까지 21년간 벚꽃 개화일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들과 3월 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에 기온과 벚꽃개화일의 변화 경향과 도시화에 의한 기온변화가 벚꽃 개화일에 미치는 영향을 대도시와 교외도시와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경험직교함수(EOF) 분석을 통하여 벚꽃개화일의 시 공간 분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3월 평균기온 분석을 통해 1988-2008년 사이에 한반도의 기온은 평균적으로 $0.13^{\circ}C$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평균적으로 남해안이 동해안과 서해안보다 평균기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서해안이 가장 낮은 평균기온을 보였다. 그리고 내륙지역의 경우 위도에 따라 평균기온이 달랐으며, 위도가 낮아질수록 평균기온이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지점에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번째, 벚꽃개화일의 변화를 보면, 개화일은 시간이 지날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벚꽃개화일의 분포를 보면 위도가 낮은 지역이 개화일이 빨랐으며, 해안지역 중에서는 남해안, 동해안, 서해안 순이었다. 세 번째, 2월, 3월, 4월의 평균기온과 벚꽃 개화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3월 평균기온이 벚꽃개화일과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네 번째, 엘니뇨가 발생한 해에는 한반도의 기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시에 벚꽃개화일도 빨라졌다. 다섯 번째, 대도시가 교외도시에 비해서 기온상승이 높았으며, 벚꽃개화일도 빠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험직교함수(EOF) 분석 결과 3월 평균기온과 벚꽃 개화일의 1mode 시계열 패턴이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996년을 기준으로 이전에는 개화일이 느려지고, 이후에는 빨라지는 패턴을 보였다.

  • PDF

Climate Change during the recent 10 years in Korea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 Kwon, Won-Tae;Boo, Kyung-On;Heo, In-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78-280
    • /
    • 2007
  • 우리나라는 지난 94년간 1.5도 상승하여 전지구 온난화추세를 상회하였다. 기온뿐만 아니라 강수량 역시 변화하였는데 변동폭이 크기는 하나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으로 20세기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은 특성을 보인다. 평균적인 기후변화추이와 더불어 특히 최근 10년($1996{\sim}2005$년)은 1850년 이후 지구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기간으로, 세계적으로 열파, 홍수, 가뭄, 태풍 등 기상이변에 의한 인명과 재산 피해, 생물종의 멸종 등 사회경제적 피해가 막대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폭염, 호우등의 빈번한 출현으로 급격해지는 온난화추세 영향을 반영하였는데 이러한 기후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기후 특성과 계절별 현상일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최근 10년(1996-2005년)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특성을 보면 우리나라(15개 관측지점자료)는 평균기온이 과거 30년$(1971{\sim}2000)$ 평균대비 $0.6^{\circ}C$ 상승하였다. 계절별로 봄은 평년대비 $0.7^{\circ}C$, 여름은 $0.4^{\circ}C$, 가을은 $0.6^{\circ}C$, 겨울은 $0.7^{\circ}C$ 상승하여 봄과 겨울의 상승폭이 가장 크다. 연강수량은 30년 평균대비 최근 10년 강수량은 11% 증가하였고 특히 여름은 증가폭이 가장 커서 18% 증가하였다. 계절에 따라 다양한 기상현상의 변화도 나타났다. 3월 이후에 나타나는 늦서리의 종료일은 평균적으로 3월 말경에 나타났는데 최근 10년에는 3월 중순으로 2주 앞당겨졌고 이 추세는 특히 1993년 이후 뚜렷하다. 늦서리의 발생일수도 평균 4일 정도 줄었다. 일평균기온 $20^{\circ}C$이상인 날은 평년에 비해 최근 10년 동안 약 2일 증가하여 여름 시작시기가 빨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열대야는 평년대비 최근 10년간 연간발생일수가 1.3일 증가하였으나 일최고기온 $35^{\circ}C$ 이상인 날의 수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것은 여름철 강수량이 증가하고, 호우발생빈도, 특히 8월의 강수일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여름과 가을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수는 뚜렷한 추세를 보이지 않으나, 2002년 루사, 2003년 매미로 인하여 각각 6조원, 4조원 이상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였다. 태풍에 의한 피해액은 GDP 대비 약 0.9%(태풍 루사)로 최근 경제상장률과 비교해 보면,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연근해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지면 세기가 강해질 가능성이 높다. 폭설과 한파일수도 평년대비 최근 10년 감소하였고 일최저기온이 영하 $10^{\circ}C$ 이하인 날도 연간 발생일수가 감소하였다.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기후의 변화특성은 기온상승과 더불어 서리종료일이 앞당겨지고 열대야가 증가하고 폭설, 한파, 겨울철 일최저기온 영하 10도 이하인 날의 감소 등이 나타나고, 여름철 재해의 원인인 호우일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앞으로 지구온난화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이로 인한 피해규모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기후변화의 추이를 감안할 때, 기후변화에 대한 장기적인 대비책을 마련하여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PDF

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due to Global Warming : 2. Estimation of the Change in Daily Rainfall Depth Distribution due to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2.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 추정)

  • Yun, Yong-Nam;Yu, Cheol-Sang;Lee, Jae-Su;An, Jae-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6
    • /
    • pp.627-636
    • /
    • 1999
  • In 60 years when the double $CO_2$concentration is anticipated the average annual rainfall depth is expected to be increased by 5 10% due to global warming. However, in the water resources area the frequency change of meteorological extremes such as droughts and floods attracts more interests than the increase of annual rainfall amount. Even though recent frequent occurrences of this kind of meteorological extremes are assumed as an indirect proof of global warming, the prediction of its overall tendency has not yet been made. Thu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possible methodology to be used for its prediction. The methodology proposed is based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aily rainfall be Todorovie and Woolhiser(1975), and Katz(1977), where the input parameters are modified to consider the change of monthly or annual rainfall depth and, thus, to result in the change of frequency distribution. We adopt two values(10mm, 50mm) as thresholds and investigate the change of occurrence probability due to the change monthly and annual rainfall depth. these changes do not directly indicate the changes of occurrence probability of floods and droughts, but it may still be a very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prediction. Finally, the changes of occurrence probability were found to be greater when considering the monthly rainfall rather than the annual rainfall, and those in rainy season than those in dry season.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Local Heavy Rainfall Forecasting Service using Wireless Data Broadcasting (무선 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국지성 폭우 예보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설계와 구현)

  • Im, Seokjin;Choi, JinTa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1
    • /
    • pp.223-228
    • /
    • 2015
  • Korean climate becoming increasingly subtropical by climate warming makes local heavy rainfall frequently. To avoid damages from the local heavy rainfall, we need a forecasting service for a great number of clients. However, there is not the framework for the service based on wireless data broadcasting yet.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ervice framework for local heavy rainfall forecasting using wireless data broadcast. The developed service framework has scalability that can adopt various data scheduling and indexing schemes. We show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framework to forecast local heavy rainfall through a simulation study.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of Natural Gas Cooling (천연가스냉방의 경제성 분석 연구)

  • Kim, K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7 no.1
    • /
    • pp.42-48
    • /
    • 2013
  • The global warming of the Korean Peninsula proceeds most rapidly in the world and its abnormal climate is more deepening. In the result of the surged electricity consumption by intense heat of summer and severe cold of winter,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status is in hard situation. Currently, the supply of natural gas is increased because natural gas has the lowest greenhouse-gas emissions among the existed fossil fuel. Natural gas cooling has a lot of advantage such as decreasing electricity peak, reducing construction expenses in additional power plant, operating natural gas storage facilities efficiently, and playing a role as distributed generat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feasibilities of gas cooling as an alternative for electric power load management.

IoW(Internet of Window) (센서와 왕복 모터를 이용한 스마트 창문 여닫이 로봇 팔 개발)

  • Song, Moon-Soo;Yu, Yeong-Jin;Lee, Cheol-Gyu;Park, J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09-1211
    • /
    • 2017
  • 창문을 열고 닫음에 있어서 사람의 신체에 따라, 창문의 위치에 따라 어려움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 대기 오염도가 심해지고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기후 변화로 국지성 집중호우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창이 열려있다면 집 안으로 먼지가 들어올 것이고, 국지성 호우에 의해 비가 들어오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점들에 주목하여, 어플과 연계를 통한 원격 창문 개폐 장치를 고안하였다. 본 장치를 이용한다면 신체적인 한계가 있는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과 같은 이들이 쉽게 창문을 개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환기가 필요한 공장, 격납고 등의 높은 위치에 있는 창문을 쉽게 개폐할 수 있어 분진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 역시 예방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할 때 창문을 닫고 나오지 못한 경우 어플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닫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밖에 황사, 미세먼지가 들어오는 것과 비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열린 창을 닫는다는 것에서 방범의 효과 역시 가져올 수 있다.

Water shortage evaluation of the future An-seong river basins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안성천 유역의 물 부족 평가)

  • Lee, Dae-Wung;Kim, Jeong-Wook;Hong, Seung-Jin;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89-190
    • /
    • 2015
  • 전 세계는 지난 135년간(1880~2014년) 지구온난화에 따른 빈번해진 이상기후로 평균 기온은 $0.85^{\circ}C$ 상승하였으며 이로 인해 강우강도, 강우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수문현상에 많은 영향을 미쳐 물 순환 과정의 정확한 파악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수자원계획 수립에 불확실성을 증대 시키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물 수요 예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한 안성천을 대상으로 준 분포 강우-유출 모형인 SLURP모형에 기후변화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안성천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정확한 물 수요 예측을 위해 K-Weap(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모형을 통해 유역별 네트워크 및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용수이용량(생활, 공업, 농업)의 과거자료를 선형예측함수식을 통해 장래 추정량을 생성 하였다. 이처럼 세분화된 자료를 통한 물 수지 분석 결과, 안성천 유역은 인구 증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용수 이용량 증가 그리고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로 인해 농업용수는 점차적으로 물 부족이 감소하고 있지만, 생활, 공업용수 이용량에 대한 물 부족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물 부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2가지의 대안을 구성해보았으며, 먼 미래의 물 부족시대에 대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