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Change of Flood and Drought Occurrence Frequency due to Global Warming : 2. Estimation of the Change in Daily Rainfall Depth Distribution due to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2.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 추정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In 60 years when the double $CO_2$concentration is anticipated the average annual rainfall depth is expected to be increased by 5 10% due to global warming. However, in the water resources area the frequency change of meteorological extremes such as droughts and floods attracts more interests than the increase of annual rainfall amount. Even though recent frequent occurrences of this kind of meteorological extremes are assumed as an indirect proof of global warming, the prediction of its overall tendency has not yet been made. Thus,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possible methodology to be used for its prediction. The methodology proposed is based o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aily rainfall be Todorovie and Woolhiser(1975), and Katz(1977), where the input parameters are modified to consider the change of monthly or annual rainfall depth and, thus, to result in the change of frequency distribution. We adopt two values(10mm, 50mm) as thresholds and investigate the change of occurrence probability due to the change monthly and annual rainfall depth. these changes do not directly indicate the changes of occurrence probability of floods and droughts, but it may still be a very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prediction. Finally, the changes of occurrence probability were found to be greater when considering the monthly rainfall rather than the annual rainfall, and those in rainy season than those in dry season.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배증 CO2 상태가 되는 약 60년 후의 한반도 평균강수량은 약 5-10%정도의 증가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수자원분야에서 평균강수량의 증가보다 더 중요한 것은 홍수 또는 가뭄과 같은 극치기상의 빈도 변화이다. 현재 국제적으로 이러한 극치기상의 빈번한 발생이 지구온난화의 한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기는 하나 그 양상이 어떻게 되리라고는 예측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변화 양상을 예측해 보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Todorovic과 Woolhiser(1975), katz(1977) 등의 일강수분포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여 월/연강수량의 변화에 다른 일강수의 특성을 매개변수의 변화로 고려하고 이를 통해 일강수의 분포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일강수량(10mm,50mm)을 임계치로 하여 월/연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10mm이하 및 50mm이상의 발생확률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발생확률의 변화가 바로 가뭄과 홍수의 변화로 직결되지는 않으나 그 양상을 짐작하게 하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아울러 연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의 분포변화는 월강수의 변화를 고려하는 경우보다 그 정도가 작았으며, 특히 월강수량의 변화를 고려하는 경우 우기인 여름철에 그 발생빈도의 변화가 아주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수자원학회지 v.28 no.3 대기중 CO₂증가에 따른 한반도 강수량 변화 오재호;홍성길
  2.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1. 연/월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 분포의 변화분석 :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윤용남;유철상;이재수;안재현
  3. 지구온난화가 일본 지역에서 수문순환에 미치는 영향의 예측에 관한 보고서 일본 건설성 토목연구소
  4.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관한심포지움 : Ⅱ. 해양, 수문학분야 한국과학기술원
  5.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심포지움 : Ⅳ. 기후변화 예측시나리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 (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7.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8. 지구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Ⅰ) 한국과학기술연구원;시스템공학연구소
  9. 지구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Ⅱ) 한국과학기술연구원;시스템공학연구소
  10. 지구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연;시스템공학연구소
  11. Water Resources Research v.17 no.3 Determination of rainfall duration statistics for rain-out models from daily records Alexander, K.
  12. reading Assess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natural resource systems Frederick, K. D.;Rosenberg, N. J.
  13. Water Resources Research v.3 no.4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 Huff, F. A.
  14.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16 no.7 Precipitation as a chain-dependent process Katz, R. W.
  15. Water Resources Research v.17 no.2 A stochastic model for the time distribution of hourly rainfall depth Nguyen, V. T. V.;Rousselle, J.
  16.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14 A stochastic model of n day precipitation Todoroviv, P.;Woolhiser, 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