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지역

Search Result 1,73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eriodicities of Rainfall Variation and Forcing Factors Cause Severe Droughts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 변동의 주기성과 유발요소)

  • 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5-95
    • /
    • 2016
  • 한반도 중부지방은 2014년과 2015년에 연이은 강수량 부족으로 많은 지역에서 가뭄 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한반도는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는 몬순기후대에 속하기 때문에 여름철 강수량은 생활용수나 농업용수 확보 등 이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반도(남한)의 중부지역 가뭄을 유발하는 강수량의 부족 현상은 대략 5-10년(평균 7-8년) 주기로 반복된다. 그리고 이러한 10여년 주기 변동성과 더불어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하고 매번 그 심도도 변화한다. 이러한 주기성을 우연이라 보기는 어려울 것이나 예외적인 경우나 심도를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인과관계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확정론적 현상이라 단정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주기적 가뭄을 야기하는 강수량 변동의 원인을 지구물리학적 측면에서 추론해 보고자 한다. 가뭄은 인위적인 조건에 의해서도 발생하고 인과관계에 따른 정의도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강수량의 부족에 의한 가뭄 조건만을 고려하였다. 강수과정은 지구의 물순환 운동에 의해 야기되고 지구의 물순환 운동은 지구의 역학적 운동 및 상호작용 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물리 과정의 일부로 강수과정을 유발하는 지표인자로 SST와 같은 기후 인자에 대해 변동 주기의 상관성을 범지구적인 시공간 규모에서 검토하였다.

  • PDF

Lack of allozyme variation in the two carn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caerulea (Lentibulariaceae) co-occurring on wetlands in South Korea: Inference of population history (한반도 남부 지방 습지에 같이 자생하는 식충 육상 초본 2종 땅귀개 및 이삭귀개 (통발과)의 알로자임 변이의 결여: 집단의 역사 추론)

  • Chung, Mi Yoo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4
    • /
    • pp.297-303
    • /
    • 2017
  •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 the two small insect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 caerulea, often co-occur at wet locations (or in wetlands). The Korean Peninsula (with central China and northern Japan) constitutes the northern edge of their distribution, as their main range is subtropical and tropical Asia. The Korean populations of both species are very likely of post-glacial origin, given that warm-temperate vegetation was absent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Two hypotheses of the post-glacial colonization of the peninsula can be formulated; first, if current populations were founded by propagules coming from a single ancestral population (i.e., a single refugium), we would expect low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lternatively, if contemporary Korean populations originated from multiple sources (multiple refugia), we would expect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on. To test which is more likely, we surveyed the degree of allozyme variation at 20 loci in ten populations for each of the two species from southern Korea. We found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each species. However, their aquatic congener U. australis exhibited allozyme polymorphism across Japan (four polymorphic loci at three enzyme systems). We suggest that southern Korean populations of Utricularia bifida and U. caerulea were established by a single introduction event from a genetically depauperate ancestral population.

Analysis of U.S.-China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Military Puzzle : Under Circumstance of NK's Nuclear, THAAD, US-ROK Alliance (한반도 군사적 현안에 관한 미중관계 고찰 : 북핵, 사드, 한미동맹의 환경 하에서)

  • Woo, Jeongmi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7 no.3
    • /
    • pp.83-93
    • /
    • 2017
  • The U.S.-China Relations could be analyzed two perspectives and their basis under major international p olitics theory-power transition with conditions: (1) North Korean's nuclear puzzle, (2) THAAD in the Kor ean Peninsula and (3) the U.S.-ROK Alliance. One perspective is the global order dominates the regional order, and then stable regional order comes out. The other is the regional order dominates the global ord er, and China wages a regional hegemonic conflict against the United States. Consequently, America's o verwhelming leadership in North Korean's nuclear, THAAD and U.S.-ROK Alliance as national power is expected to endure. But China also has expected empowerment and cooperation for the peace and stabilit y on the Korean Peninsula military problems. In this perspective, South Korea needs to pay attention to the changing power distribution and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needs to strengthen a balancing and harmonious diplomatic strategy, so called 'see-saw diplomacy'.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Matter over South Korea and Their Future Projection (한반도 미세먼지 발생과 연관된 대기패턴 그리고 미래 전망)

  • Lee, Hyun-Ju;Jeong, YeoMin;Kim, Seon-Tae;Lee, Woo-Seop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9 no.4
    • /
    • pp.423-433
    • /
    • 2018
  •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is a serious problem affecting human health and visibility. The variations in $PM_{10}$ concentrations are influenced by not only local emission sources, but also atmospheric circulation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temporal features of $PM_{10}$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and the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f $PM_{10}$ during winter (December-January-February) 2001-2016. Based on those analyses, a Korea Particulate matter Index (KPI) is developed to represent the large-scale atmospheric pattern associated with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f $PM_{10}$. The atmospheric patterns are characterized by persistent high-pressure anomalies, weakened lower-level north-westerly anomalies, and northward shift of the upper-level meridional wind anomalies near the Korean Peninsula. To evaluate the change in occurrence of high concentration episodes of $PM_{10}$ under a possible future warmer climate, we apply KPI analysis to CMIP5 climate simulations. Here, historical and tw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scenarios (RCP 4.5 and RCP 8.5) are used. It is found that the occurrence of atmospheric conditions favorable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tends to increase over South Korea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is suggests that large-scale atmospheric circulation changes under future warmer climate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outh Korea.

고대 역사를 과학으로 푼다

  • Jeong, Chang-Si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3 s.418
    • /
    • pp.34-37
    • /
    • 2004
  • 5만년인가, 4천년인가. 문화재청은 지난 2월 6일 제주도 남제주군 대정읍 상모리와 안덕면 사계리 해안에서 사람 발자국 화석 100여 점과 동식물 화석 수천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화석 발견 지층의 생성 시기는 구석기 중기인 5만년전으로 추정되며 선사인류 발자국 화석은 한국교원대 김정률 교수팀이 지난해 10월 처음 발견했다. 경북대 양승영 명예교수는“사람 발자국 화석은 재주도를 포함한 한반도와 중국 대륙이 육로로 연결됐다는 가설을 뒷받침해주는 증거물”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선사시대 인류발자국의 발견은 세계에서 7번째이며 함께 발견된 코끼리와 말 발자국은 당시 한반도가 온대 지역이 아닌 아열대 지역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했고, 말의 기원이 몽골에서 유래되었다는 기존 주장을 바꾸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화석 발자국 발표 이후, 관련학자들간에 이견이 생겼다. 일부 학자들이 연대측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제주도 지층은 4천년 전에 생성된 것이며 ‘5만년 전 추정’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었다. 한 인류의 이동을 추정하는 데는 5만년 전과 4천년 전은 엄청난 역사적 차이가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시작 된 인류의 조상이 중국과 북방육로를 통해 한반도까지 이동해왔다는 지금까지 학계의 통설은 뒤집힐 것인가. 제주도의 사람 발자국 화석은 그 절대 연대가 정확히 측정된다면 한반도 인류의 일부가 중국 남방의 육로나 해로를 통해서 이동해왔을 가능성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밝혀줄 것이다. 현대 과학이 연대측정기술을 발달시켜서 역사를 풀어나가기 시작한 것은 겨우 50여년 전으로 일천하기만 하다. 그러나, 그 학문의 깊이는 지구 나이 45억년을 밝혀냈고, 35만년 전 유기물의 생성을 추정해내는 등 심오한 경지에 이르고 있다. 현대과학의 연대측정방법론을 소개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ustal structure models using microearthquak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1995 to 1996 (1995-96년 한반도 남동부 지역의 미소지진 자료를 이용한 지각구조 모델의 비교 연구)

  • Lee, Gi Hwa;Jeong, Tae 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2 no.1
    • /
    • pp.1-8
    • /
    • 1999
  • Using the microearthquake data acquired from 1995 to 1996 through the seismic network opera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KIGAM), the three P-wave velocity models proposed by Lee (1979), Kim·Kim (1983) and Kim·Jung (1985) concerning the structure of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least square errors of the P-wave arrival times. The three model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rrival time residuals except that the Lee's model gives slightly deeper focuses than the others. The layering of the crust of the peninsula is not clear as yet and to be studied by more earthquake and explosion data in the future.

  • PDF

Projection of future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over Republic of Korea using a dynamical downscaling technique: Analysis on change of daily maximum precipitation (역학적 상세화 기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극한 강수사상 전망: 일최대강수량 변화 분석)

  • Shin, Jin-Ho;Lee, Hyo-Shin;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0-1584
    • /
    • 2010
  • 지역기후모델 RegCM3 이용하여 역학적 상세화 이중둥지격자체계를 구축하고 관측, ECHO-G/S의 20C3M 및 SRES A2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동아시아(60km 분해능)와 한반도(20km 분해능)에 대한 현재 및 미래(1971-2100, 130년)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생산하였다. 미래 동아시아와 한반도지역은 기온상승에 의해 대기 중 수증기 함유량 증가와 여름 몬순의 강화로 전 계절에 걸쳐 강수량이 증가하고 토양수분, 증발산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상세화된 일(daily)강수량 자료를 일반극치(general extreme value, GEV)분석을 활용하여 20세기 동안 한반도의 일최대강수량의 공간 분포를 분석하고 미래 강수의 일최대강수량 변화를 전망하였다. 20세기 (1971-2000)에는 남해안과 경기 내륙지방에서 일최대강수량의 빈도와 평균값이 나타났다. 21세기에는 일최대강수량의 평균은 현재보다 약 10 $mmday^{-1}$, 20년 빈도 강수량은 60 $mmday^{-1}$ 정도 증가할 것이고, 남해안과 서해안과 충청내륙일부지방, $39^{\circ}N$ 이북에서 뚜렷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Wet Deposition of Acid Precipitation in Korea, 1999 (한반도 강수의 화학적 특성 및 습성강하량 추정)

  • 노혜란;김소영;정일웅;조창래;박철진;한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85-86
    • /
    • 2000
  • 80년대 초기 연구에서는 강수의 산성화 문제가 산업활동이 집중된 서울이나 도시지역에서 대부분 수행되었고 인력과 연구비등의 제한으로 인하여 관측지점이 한정적이어서 산성강하물의 전체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전국적인 감시망을 구성하지 못하고 각 연구기관들의 관심이나 여건에 따라 특정지역에 편중되어 있었다(이보경, 1999). 최근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은 높은 인구밀도와 급속한 산업발전으로 인해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한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대기오염물질 장거리 이동과 관련하여 한반도 강수 산성화 현상 및 추세파악, 원인 규명 및 대책 수립을 위한 지속적인 정밀 관측이 요구되고 있다. (중략)

  • PDF

Provenance Analysis of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Site of Songjeol-dong, Cheongju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 Bae, Go Woon;Lee, Sang Ok;Chung, Kwang Yong;Shin, Seoung Chu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5 no.3
    • /
    • pp.209-216
    • /
    • 2019
  • Lead isotope ratios in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the Songjeol-dong site in Cheongju and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determined by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he lead isotope ratios of the samples with data provenance were plotted in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orse-shaped bronze buckles could be made using galena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archaeological sit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omparison purposes in future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venance of bronze artifacts.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 of Korea in Winter (동계 한국 서부연안지역의 적설과 해양기상요소와의 관계)

  • Go, Woo-Jin;Kim, Sang-Woo;Jang, Le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1
    • /
    • pp.17-24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ocean-meteorological factors and snowfall at Incheon, Gunsan and Mokpo when cold and dry continental air mass passed through the West Sea of Korea in winter. Mean snowfall from December to February showed the order of Gunsan (12.7 cm), Mokpo (9.0 cm) and Incheon (7.8 cm). In particular, the snowfall in the three regions showed the regional difference in December and February. It was well consistent with the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Extension of continental high can cause effect on snowfall at the west regions (Inchoen, Gunsan, Mokpo)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ntinental high extended from the southern China to west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December, it extended from the northern Chin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January. It also extended from the north side of China through Bohai Sea and Yodong Peninsula to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February. Therefore, more snowfall recorded in Incheon is higher in February than December whereas Gunsan and Mokpo is the opposite. The heavy snowfall at the three regions was caused by loss of the heat from the ocean to air when the heat loss was higher than 100 $W/m^2$. The heavy snowfall was also observed when the arrangement of continental high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pressure was high at the west and low at the east, which formed a front in West and when the wind blow from the North or North West at the speed of 4${\sim}$8 m/se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