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지역

Search Result 1,7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yphoon-induced rainfall variability over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SST Evolution patterns (해수면 온도의 진화패턴에 따른 한반도 태풍강우특성 분석)

  • Kim, Jong Suk;Kang, Hyun-Woong;Son, Chan Young;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
    • /
    • 2015
  • 최근 연구에 의하면 엘니뇨 패턴의 중심이 열대 동태평양에서 중앙태평양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태평양 연안 국가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화하는 엘니뇨패턴과 관련하여 한반도의 영향을 미치는 태풍을 중심으로 태풍의 활동특성과 그에 따른 지역별 태풍강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CT/WP 엘니뇨와 관련하여 북서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한 태풍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태풍에 의해 발생한 여름철 강우와 중호우 사상의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CT 엘니뇨해에는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에서 태풍에 의한 여름철 강우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동북부 지역에서는 증가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WP 엘니뇨 해에는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서 태풍에 의한 여름철 강우가 증가하였으며, 중북부지역과 중서부 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패턴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태풍을 고려한 지역 맞춤형 기반시설 확충 및 유역대책 수립, 수자원 확보 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ypology of TC-induced Rainfall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n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한반도 태풍강우의 유형화 및 비정상성 빈도해석)

  • Choi, Ji Hyeok;Kim, Jong Suk;Son, Chan Young;Moo,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54-154
    • /
    • 2015
  • 태풍은 남서부태평양 해상에서 생성되어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강풍 및 폭우를 동반하여 상륙함에 따라 매년 수많은 인명 피해와 사회 경제학적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서북태평양지역의 기온상승 및 태풍 진로 해역의 열용량 증가로 인하여 태풍의 강도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한반도 역시 슈퍼 태풍에 대한 잠재적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태풍에 대한 효율적인 치수 및 방재대책을 위해서는 객관적인 태풍자료 구축 뿐 아니라 한반도에 미치는 지역별, 계절별 태풍활동 및 태풍강우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강우 분리기법을 적용하여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강우 및 비태풍강우를 분리를 하였으며, 호우 특성에 따른 공간적 특성을 유형화하고 태풍정보를 고려한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에 대한 효율적인 치수 및 방재대책의 마련과 지역 내 사회기반시설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베리아 자원활용을 위한 TSR-TKR연결 필요성

  • 김상원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1.10a
    • /
    • pp.35.2-48
    • /
    • 2001
  • 남북한의 경제협력은 한반도 통합과정과 통일 한반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남북한 통합이 아직 속단할 단계는 아니므로 중장기적 전망이 타당하겠지만 러시아의 시베리아지역은 아ㆍ태지역과 유럽(중동과 서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 포함)을 이어주는 교량의 위치에 놓여 있는 중요한 지역이므로 이지역을 둘러싼 국제적인 경쟁과 다양한 형태의 국가간 및 지역간 협력의 시대가 불원간에 도래할 것임을 전망할 수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temperature guidelines of weapon systems test & evaluation in the coast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연해안지역 환경시험기준의 테일러링을 위한 온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Yun, Songhyun;Kim, Siok;Cho, Yuseup;Hong, Yeo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6
    • /
    • pp.1437-1445
    • /
    • 2017
  • This paper suggests a temperature guidance which must be addressed in the preparation of specifications for military equipment used in ocean/coast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It would often be costly to design materiel to operate under the most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ever recorded. Therefore, military planners usually accept equipments designed to operate under environmental stresses for all the time except a certain small percentage of the time. In this study, an 1-percent frequency of occurrence is recommended. Pohang and Shineiju are chosen to represent the hottest and coldest regions, respectively, based on surface weather observations among 28 costal regions from 1904 to 2015. The 1st and 99th percentile temperatures for Pohang and Shineiju are $37.7^{\circ}C$ and $-23.7^{\circ}C$, respectively. Diurnal cycles, including solar radiation, relative humidity and wind-speed are also provided.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기후와 유출량의 변화

  • Lee, Dong-Gyu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1
    • /
    • pp.8-12
    • /
    • 2008
  • 기후변화가 한반도 지역기후와 유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역기후모델과 수문모델을 이용하여 고해상도 한반도 70년 장기 지 역기후와 유출량을 생산하였다. 생산된 자료에 따르면 한반도의 미래 지상온도는 현재에 비하여 $1.5^{\circ}C$ 상승하고, 강수량은 0.2 mm $day^{1}$ 만큼 감소한다. 지상온도는 모든 계절에 상승하고, 강수는 초여름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 감소한다. 미래의 연평균 강수량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강수 강도는 증가하고, 집중호우 일수는 증가하였다. 봄과 겨울의 길이가 감소하고, 여름은 증가하며, 봄의 시작이 빨라진다. 금강유역의 유출량은 이수기에는 감소하고, 홍수기에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한반도의 미래 지역기후 변화로 인하여, 이수기의 물부족, 호우로 인한 재해 피해 증가, 개화시기와 식생군의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 PDF

Review on $M_L$ Scales in Southern Korea (한반도 남부의 지역규모식 검토)

  • Shin, Jin-Soo;Chi, Heon-Cheol;Cho,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8 no.4
    • /
    • pp.207-209
    • /
    • 2005
  • The local magnitude scales yiel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following the Richter's original definition are reviewed. In order to compare the previous ML scales, the new distance correction term of ML scale is derived as - log A 0 = 1.017 log ( r/17) + 0.00028 ( r-17)2 + 2 .0 using broadband velocity seismograms from 126 local events occured from 2000 to 2004. The attenuation rate of this formula fall between those of western and eastern North America. This result is in nearly accord with the ML scales proposed by Kim and Park(2002).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ML scales is owing to insufficient seismic data not to distribute whole area of Southern Korea.

  • PDF

The Future of Extreme Climate Change in Korean Peninsula Using National Standard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ETCCDI Index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와 ETCCDI지수를 이용한 한반도의 미래 극한사상변화 전망)

  • Jeong, Jin Woo;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4-134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기후변화가 한반도에서의 극한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고자한다. 먼저,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SDQDM 편의보정을 거친 CCAW의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 13종을 이용하였으며, 참조기간을 기준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모의 능력을 검토하였다. 이어 미래의 극한기후변화를 전망하기위해 WMO의 ETCCDI 지수를 이용하여 미래 극한기후를 전망하였다. 또한 Mann Kendall tau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강수와 기온관련 극한지수 변화를 전망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온관련 지수에서 Current 기간일 때 WSDI지수가 공간적 변동성이 54%로 예상되며, TXx지수가 지역간의 공간적 변동성이 121%로 가장 클 것이라 예상된다. 강우관련 지수를 살펴보면 Current기간 일 때 r95p지수의 지역별 공간변동성이 59%로, RCP 4.5시나리오일 때 PRCP 지수의 공간변동성이 42%로, CDD지수의 공간변동성이 최대 59%로 분석되었다. 공간분포를 확인해본 결과 기온과 강수관련 지수 모두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큰 상승 경향을 보였고, 미래기간의 경우 북한의 서해안, 남한의 남해안 지역에서 가장 큰 증가경향을 보였다. 즉 일습윤지속일수를 의미하는 CWD지수는 경상도, 전라도 지역에서 증가 경향을 나타냈으며, 충청도와 북한전역에서 감소경향을 나타났다. 또한 일교차를 의미하는 DTR지수는 한반도 전역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Vegetation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Forest Moving Velocity (삼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한반도 자연 식생의 기후변화 적응성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Matsuoka, Yuzur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2 no.5
    • /
    • pp.383-393
    • /
    • 2003
  •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향후 100년 동안 지구의 평균기온이 $1^{\circ}C$에서 $3.5^{\circ}C$ 상승할 경우, 각 기후대가 극방향으로 약 150~550km 이동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나, 과거 기후변동 연구결과들은 삼림의 이동속도를 100년간 4~200km로 추정하고 있어 식생이 기후대의 이동을 따라가지 못하여 사멸되는 지역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약 960km의 남북으로 긴 지형적 특성을 가진 한반도 역시 이러한 영향을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기존의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함께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한 영향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IPCC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SRES 시나리오의 대기대순환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 결과와 AIM(Asia Integrated Model)/Impact[Korea] 모형을 이용하여 제작된 Holdridge 생물기후분류의 연구성과를 이용하여, CO2농도 배증시의 한반도지역의 자연식생 영향과 적응 가능성을 삼림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삼림의 이동속도를 0.25, 0.5, 1.0, 2.0(km/yr)로 변화시키며 2100년 한반도 자연식생의 기후 변화 영향을 평가한 결과, (1)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년간 1km 이상일 경우 삼림 피해가 미미하게 나타났으나 (2) 이동이 느린 0.25km/yr의 경우, 생육위험지역을 포함한 시나리오별 전체 피해규모는 A2(17.47%), A1(9.97%), B1(6.21%), B2(5.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삼림소멸의 경우는 A2, B2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며 A2 시나리오에서 한반도의 약 2.1%로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3) 전반적인 생육위험 지역의 분포는 함흥만, 영흥만의 동해안지역에 집중되었으며, A2 시나리오의 극단적 소멸예상지역은 금오산, 가야산, 팔공산을 연결하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지표형태에 대한 MODIS TOA Radiance 분석

  • Lee, Sun-Gu;Kim, Yong-Seung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190-196
    • /
    • 2003
  • The top-of-atmosphere(TOA) radiance and its seasonal variation for various surface types have been analyzed using the MODIS direct broadcasting data acquired from the KARI ground station for the period between July 2002 and November 2003. The selected study areas considering the MODIS spatial resolu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r are as follows: agricultural land, forest land, inland water, sea water, urban land, wetland, and atmosphere(cloud). The results showed that TOA radiances depend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for the selected sample areas. Furthermore, the MODIS observations appear to well depict the general features of earth radiation properties. The authors hope that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analysis of hyperspectral data.

  • PDF

Creating Mosaic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CORONA Imagery (CORONA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지역 모자이크 영상 제작)

  • Song, Yeong-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4 s.34
    • /
    • pp.67-73
    • /
    • 2005
  • The urbanization of Korea has been rapidly progressed since 1960, but satellite imagery have provided the information only after 1975. Recently released CORONA imagery is one of the few source of satellite image which can provide 1960's topographic inform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It can be applied to change detec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urban, forest, and environmental planning. In this research mosaic image of past Korean Peninsular using CORONA imagery in the 1960s were generated. A polynomial equation and a modified collinearity equation were applied for geo-referencing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research the 2nd polynomial equations were used for geo-referencing of CORONA imagery. After carrying out geo-referencing, mosaic image was generated using Erdas Imagine. It is assumed that this result image is very useful for various fields such as generation of thematic maps, urban planning, and change detection.

  • PDF